광고

POSTECH 노준석·조항진 교수팀, 기존 소재 대비 20배 밝은 퀀텀닷 배열법 개발

박영재 기자 | 기사입력 2021/11/09 [13:36]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첨단원자력공학부 조항진 교수, 김무환 교수, 첨단원자력공학부 한태양 박사,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노재범 씨 연구팀은 현탁액(suspension)이 증발할 때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해 퀀텀닷 배열법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 퀀텀닷이 V자 구조 안에 들어가는 장면(왼쪽)과 이를 이용해 만든 RGB 퀀텀닷 픽셀을 도식화(오른쪽)한 이미지 (C) 포스텍


현탁액이란 흙탕물, 먹물, 페인트 등과 같이 내부에 고체 입자가 분산해 떠 있는 액체를 말한다.

 

수 나노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퀀텀닷은 유체가 흐르는 대로 잘 따라간다. 컵에 커피 방울이 흘러내린 채로 두면 커피 자국이 남듯, 퀀텀닷 입자를 담은 현탁액이 증발하면 이 입자들은 모세관력에 의해 액체 방울의 가장자리와 같은 특정 영역에 자동으로 배열된다.

 

이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됐지만, 실제로 디스플레이에 활용할 수 있는 정도의 밝기 구현은 어려웠다. 지금까지는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 퀀텀닷을 기판 위에 직접 찍어내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제품 단가도 덩달아 높아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준석·조항진 교수팀은 브이(V)자 구조물을 이용해 현탁액 증발 과정에서 퀀텀닷을 아주 작은 크기의 화소 형태로 배열하고자 했다. 액체를 붓고 증발시키면 V자 안쪽에 액체가 빨려 들어가 입자가 쌓이도록 하는 방식이다.

 

연구 결과, 이 방식으로 제작된 퀀텀닷 화소의 밝기는 비교군보다 20배 이상 밝았으며, 각 화소 간 밝기 균일도는 98% 이상으로 매우 균일했다.

 

노준석 교수와 조항진 교수는 “최근 가전 업계에서는 밝고 자연스러운 영상을 보기 위해 퀀텀닷을 TV의 컬러필터에 활용하고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퀀텀닷 배열법을 이용하면 고가 장비 없이도 현탁액을 뿌리기만 하면 밝은 퀀텀닷 화소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퀀텀닷 디스플레이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ACS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 앤 인터페이시스(ACS Applied Materials and Interfaces)’에 최근 게재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글로벌프론티어사업, RLRC선도연구센터사업, 핵융합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아래는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기사 전문이다.>

 

POSTECH Professor Jun-seok Noh and Hang-jin Cho, team developed a quantum dot array method that is 20 times brighter than existing materials


POSTECH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resident Kim Moo-hwan) Professor Noh Jun-seok of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Chemical Engineering, Professor Jo Joo-jin of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Advanced Nuclear Engineering, Professor Moo-hwan Kim, Dr. Taeyang Han of the Department of Advanced Nuclear Engineering, and Jae-beom Roh of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integrated course Suspension evaporated It announced on the 9th that it has developed a quantum dot array method using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Suspension refers to a liquid in which solid particles are dispersed and suspended, such as muddy water, ink, and paint.

 

Quantum dots with a size of several nanometers (nm, 1 nm is one billionth of a meter) follow the flow of a fluid well. Just as coffee marks are left when a drop of coffee is left running in a cup, when a suspension containing quantum dots is evaporated, the particles are automatically arranged in a specific area, such as the edge of a liquid drop, by capillary force.

 

Various methods have been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is property,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realize brightness that can actually be used for displays. Until now, the cost of the product also increased because the quantum dot was printed directly on the substrate using expensive equipment.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Professor Noh Jun-seok and Cho Hang-jin's team tried to arrange quantum dots in the form of very small pixels during the suspension evaporation process using a V-shaped structure. When the liquid is poured and evaporated, the liquid is sucked into the V-shape and the particles accumulat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rightness of the quantum dot pixels produced in this way was more than 20 times bright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brightness uniformity between each pixel was very uniform, over 98%.

 

Professor Noh Jun-seok and Professor Jo Hang-jin said, “Recently, the home appliance industry is using quantum dots in color filters of TVs to view bright and natural images. Because dot pixels are made, the production cost of quantum dot displays can be reduced.”

 

This research was recently published in 'ACS Applied Materials and Interfaces', a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This was done with support from the Basic Nuclear Fusion Research Project.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