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풍류, 자연의 흐름을 타는 시천주(侍天主) 조화정(調和正)

코로나19가 휘 몰아친 세상, 역린의 칼노래 칼춤으로 개벽 세상을 맞을지어다!

김태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1/05/11 [15:05]

 

▲ 김태균 칼럼니스트   ©브레이크뉴스

풍류(風流)는 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으로 위치한다. 풍류만큼 한국음악사를 종횡으로 묶어주며 한국성을 담지 한 담론은 없을 것이다.

 

풍류란 무엇인가. 바람(風)의 흐름(流)을 체감하는 것이다. 고대인은 바람의 혼을 믿었다. 바람이 일으키는 자연의 조화 속은 인간을 넘어선 외경(畏敬)의 경지였다. 최치원은 우리나라에 현묘(玄妙 )한 도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풍류도라 했다. 그리고 풍류도에는 유불선도(儒佛仙道) 진리를 함의하고 있다 했다. 신라는 화랑도를 풍류도라 했다. 고구려, 백제 또한 풍류도가 바로 문화의 중심을 이룬다. 풍류는 자연과의 대화이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말하고 있다. 바로 자연과 인간의 대화법은 악가무를 통해 이루어졌다. 

 

한국음악의 원전이라 할 『악학궤범』서문을 보면 “악(樂)이란 하늘에서 나와서 사람에게 붙인 것이요, 허(虛)에서 발하여 자연에게 이루어지는 것이니, 사람의 마음으로 하여금 느끼게 하여 혈맥(血脈)을 뛰게 하고 정신을 유통(流通)하게 하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악이란 바로 천지인의 기적 유통임을 짐작하게 하는 언급임을 느끼게 한다. 기실 만물천지의 형성과 유통과 관련하여 기의 흐름이 아닌 것이 없다. 자연과 인간을 류(流)하게 하고 인간을 자연 속에서 유(遊)하는 것, 그것이 바로 풍류의 경지이다. 

 

악(樂)의 원의를 보면 굿이다. 고대 제왕의 이름은 곧 제사장이다. 오늘날 무당이다. 악이 바로 하늘과 대화하는 제사장을 상형문자화한 것이다. 제기를 들고 하늘에 제의를 지내는 모습이 바로 악(樂)에 담겨 있다. 그러므로 악은 신과의 대화였다. 그 신이 바로 자연으로, 그리고 불교로, 성리학으로 인식론적 깊이를 가지며 풍류도는 더욱 더 깊이를 갖는다. 

 

인간과 자연의 기(氣)적 호흡과 소통(疏通)을 통해 풍류는 더욱 체계적 이론을 갖는다. 삼국은 화랑도를 통해 고려는 불교를 통해 조선은 성리학을 통해 풍류를 꽃피웠다. 조선조 풍류문화는 한국풍류사의 최고경지이다. 자연과 대화, 자연과 인간의 물아일체를 지향한다. 여기에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을 대입하며 인간과 자연, 천하의 문제를 논하고 있다. 풍류라는 자연과의 대화법을 성리학적 인식으로 체계화했다. 

 

조선조 풍류는 성정미학(性情美學)이라 할 정도로 깊이와 폭을 가지고 있다. 특히나 주기론은 자연과의 대화법에 있어 악가무를 중시했고, 그런 전통을 실학파들의 풍류로 이어졌고, 조선후기 악회(樂會), 시회(詩會)문화를 융성하게 했다. 과연 한국의 문화를 풍류의 속도 모르고 논할 수 있을까! 왜놈들 평대로 놀고먹는 것이 풍류인가?

 

우리음악의 주역을 보면 모두 풍류의 전통과 일치한다. 또한 그들 음악인들은 풍류인이자 도맥(道脈)이었다. 비서(秘書)로 전하는 도맥에 나타나는 수많은 악인들은 곧 도인이었다. 삼국시대에 나타나는 물계자, 백결선생, 원효, 옥보고가 그렇다. 이들 모두 기(氣)에 능통한 인물들이다. 

 

삼국시대 물계자는 검(劍)의 달인으로 기록된다. 그러나 그는 또한 유명한 음악가였다. 재미있는 일화를 보면 물계자가 깊은 산중에 은거할 때 그에게 검을 배우러 가면 그는 먼저 금(琴)을 배우고 오라했던 기록이 있다. 이는 곧 무와 예는 하나의 기(氣)로 통하는 도(道)임을 반증한다. 백결선생은 이미 도가 통하여 금(琴)으로 방아를 찧고, 고려에 오면 수많은 불교인들이 풍류세계를 구가하고, 조선에 오면 거문고의 명인들이 사림(士林)들이 풍류를 구가한다. 무현(無鉉)의 금(琴)으로 풍류를 즐긴 서화담의 일화처럼 깊은 산중에서 거문고와 검으로 도를 구가하던 풍류가 융성했다. 거문고를 검고, 감고라 했는데 금(琴)과 검(劍)은 기의 흐름을 통해 예(禮)를 이루는 예(藝)였다. 

 

요즘 부각되는 동학의 최제우의 도 또한 풍류도의 최상이다. 칼노래 “검결”의 호기로움 속에서 풍류도의 혼을 본다. 

 

"시호(時乎) 시호 이내 시호 부재래지(不再來之) 시호로다

만세일지(萬世一之) 장부로서 오만년지(五萬年之) 시호로다

용천검 드는 칼을 아니 쓰고 무엇하리

 

무수장삼(舞袖長衫) 떨쳐입고 이칼 저칼 넌즛들어

호호망망 넓은 천지 일신으로 비껴서서

칼노래 한곡조를 시호시호 불러내니

 

용천검 날랜 칼은 일월을 희롱하고

게으른 무수장삼 우주를 덮여있네

 

만고명장 어디 있나 장부당전(丈夫當前) 무장사(無壯士)라

좋을시고 좋을시고 이내 신명 좋을시고"

 

삼국시대 명장군이자 가야금명수 물계자의 현신처럼 장부의 기개와 호기로 천하를 희롱하는 풍류가 아닐 수 없다. 

 

음악에 있어 기의 흐름은 호흡과 연관된다. 들숨과 날숨으로서 이루어지는 길고(長), 짧은 숨(短)을 맺고 풀어내며 구조화한 장단(長短)과 선율이 양식화된 음악형식을 통해 드러난다. 맺고 푸는 형식이나, 연음형식, 느리고-보통-빠르게 이어지는 생성론적인 산조형식은 기의 흐름을 체화하지 않고서는 해결할 수 없다. 가곡 장단은 곧 음양오행의 양생법으로 이루어지는 매화점 장담으로 되어 있다. 시나위는 연주자들의 고도의 기 놀음과 같다. 이와 같이 기는 곧 자연을 체화하는 인간의 호흡이 악기를 구현되는 경지를 보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음악의 본질에 대한 해석에 있어 기는 새로운 경지를 보여줄 것이다. 영산회상의 깊이에 대한 체화는 곧 자연과의 물아일체였다. 

 

한편 조선조의 풍류는 삼국시대에 비해 율(律)에 대한 상대적인 천착을 보여준다. 악이야말로 선비가 이룩해야할 최고의 경지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에 한국음악의 양식과 관련하여 장단과 선율구조에 의거하여 연음형식이나 맺고 푸는 형식, 느리게-보통-빠르게 전개되는 생성론적 형식인 산조형식 등 음악형식에서 “기와 외화(外化)”를 볼 수 있다. 

 

풍류에 대한 미래적인 인식을 통해 전통을 전위로 향상시켜나가는 것이 어찌 보면 오늘날 풍류인들의 몫이 아닌가 생각된다. 기와 율을 하나의 경지로 인식하며 이를 현재화하는 작업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늘 아침을 바로잡는 조선(朝鮮)의 의미대로 갈아 없는 부단한 향상을 위한 운동처럼, 풍류로 일어나는 시호 시호. 때가 되니 다시 동학이 일어날 것이다. 바람이 부는 온 세상이 일어나고, 코로나19가 휘 몰아친 세상, 역린의 칼노래 칼춤으로 개벽 세상을 맞을지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as'Google Translate'.

 

Wind currents are the new eyes of the world. There is no discourse that combines Korean music history and contains Korean characteristics as well as Pungryu.

 

What is windflow? It is to feel the current of wind. Ancient people believed in the spirit of the wind. In the harmony of nature caused by the wind, it was a level of external respect beyond human beings. Choi Chi-won said, "There is a limit to Hyeonmyo in Korea, so it is Pungryudo." In addition, Pungryudo Island is said to contain the truth of the Yubulsundo. Silla called Hwarangdo Pungnyudo. Goguryeo and Baekje also have Pungryudo Island as well. Windflow is a conversation with nature. I'm talking about harmony between nature and man. Nature and man's conversation method was accomplished through evil dance. 

 

According to the preface of the "Akhakgwebum," the origin of Korean music, 

 

"The evil is what comes out of heaven and is attached to man, and it is made to nature from falsehood, so that the human heart can feel it, so that the bloodstream can run and the mind can circulate."I'm doing it.

 

 

It makes us feel that evil is a reference to the miracle distribution of heaven and earth. There is nothing other than the flow of energy in connection with the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all things. Making nature and man flow and human drift in nature, that is the level of wind.  

 

It's good to see the original intentions of evil. The name of the ancient king is a priest. Today he is a shaman. Evil is a hieroglyphic version of a priest talking to heaven. It is in evil that a ritual is held in heaven. Therefore, evil was a conversation with God. The god has epistemological depth in nature,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and the Poongryudo is deeper.  

 

Windflow has a more systematic theory through atmospheric breath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Through Hwarangdo, the Three Kingdoms had Buddhism and Joseon had Neo-Confucianism. The Joseon Dynasty's Pungryu culture is the highest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ungryu. It aims to communicate with nature and to unite nature and human beings. In addition, the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is used to discuss the problems of man, nature and the world. The method of conversation with nature, Pungryu, was organized with Neo-Confucian perception.  

 

The Joseon style has depth and breadth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sexual aesthetics. In particular, the periodism emphasized evil chords in conversation with nature, and led to such traditions by the school of practical scholars, and flourished the society and poetry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Can we discuss Korean culture without knowing the speed of the genre? Why is it the wind that plays and eats according to their own standards? 

 

If you look at the main characters of our music, they all coincide with the tradition of the wind. Also, their musicians were an aphrodisiac and a vein of doleaf. Many of the villains who appear in the secretariat were doons. This is the case with Mulgyeja, Baekgyeol, Wonhyo, and Okbogo, which appear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ll of these are energy-savvy character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sage is recorded as the master of the Sword. But he was also a famous musician. In an interesting anecdote, there is a record of Mulgyeja telling him to learn gold first when he hid in the deep mountains. This proves that radish and example are the ways that lead to a single energy. Baekgyeol already buried the mill with gold throughout the province, and when he came to Goryeo, many Buddhists lived in the Pungryu world, and when he came to Joseon, the masters of Geomungo lived in the Pungryu area. Like the anecdote of Seohwadam, which enjoyed Pungryu with Muhyeon's gold, the Pungryu, which used to play the Do with Geomungo and Sword, flourished in the deep mountains. The geomungo was said to be black and winding, and gold and sword were examples of ritual through the flow of chi. 

 

Choi Je-woo of Donghak, which is highlighted these days, is also the best in Pungnyudo. The spirit of Pungnyudo is seen in the curiosity of the sword song "Gumgyul."  

 

Siho is a shiho without a shiho.

It's a book of five thousand years' worth of books.

A dragon sword is not a sword. 

 

Put on the Musujangsam and listen to the juice of this knife.

I'm gonna take you to the whole wide world.

Singing a tune of Carl's song, Shihoshiho. 

 

The sword of the Dragon Sword makes fun of January.

It's covered in the universe. 

 

Where's Mangumjang? He's an armed man.

It's good, it's good, it's good.  

 

Like the current god of a master general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a gayageum master of water, it is a genre that makes fun of the world with the spirit and grace of the books.  

 

The flow of energy in music is related to breathing. The long, short breath, structured short breath, and structured long and short breaths and melodies are revealed through stylized music forms. The form of making and solving, the conjunctive form, and the slow-to-normal-fast-continuous generative form of arithmetic cannot be solved without embodying the flow of chi. The Gagok rhythm is composed of the Maehwa branch, which is composed of the method of curing yin and yang and five haeng. Sinawi is like a high level of excitement from the performers. As such, Gi shows that human breathing, which implements nature, embodies instruments. In that sense, Ki will show a new level in interpreting the nature of Korean music. The embodiment of the depth of Yeongsan Recall was the unity of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customs of the Joseon Dynasty show a relative perversion to the rule of law compare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is because evil was recognized as the best level that scholars should achieve. 

 

Thus, in relation to the style of Korean music, "kgi and foreign currency" can be seen in the form of music, such as the form of a joint or a form of solving, and the form of a slow-usually-fast-developing generative form.  

 

In a way, it seems to be up to the people of today to improve tradition to the potential through future perceptions of wind currents. The tile rate should be recognized as a single level and the work of presenting it should be done. And Siho-shiho, which always happens in the wind, just like the movement for constant improvement that is not changed as the meaning of the Joseon Dynasty, which corrects breakfast. Donghak will happen again in time. The whole windy world will happen, the world dominated by Covid-19, and the world will be opened with the sword dance of Rebellion.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