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폭풍의 화가 변시지 '시대의 빛과 바람' 주제 전시회

10월 16일부터 11월15일까지, 서울 가나아트센터 전관에서 열려

박정대 기자 | 기사입력 2020/10/20 [17:30]

▲ 변시지 화가.     ©브레이크뉴스

변시지 화가(1926-2013)의 전시회인 <시대의 빛과 바람> 전이 10월 16일부터 11월15일까지 서울 가나아트센터 전관(서울시 종로구 평창로 30길 28)에서 열린다. 이 전시는 1975년 화가가 50세 되던 해 제주로 귀향, 38년간의 제주시절(1975~2013) 작업으로 황토빛 노란색이 탈법(脫法)과 진화를 거쳐 자신만의 고유한 화법으로 완성된 주요 작품을 선보인다. 

 

가나갤러리측은 “변시지 화가는 제주 서귀포에서 태어나 여섯 살 때인 1931년, 가족과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미술학교 서양화과에서 그림공부를 했다. 그가 미술에 입문하게 된 계기는 1933년 소학교 2학년 가을, 교내 씨름대회에 출전해 동급생들을 모두 제압하고 상급생과 대결하다가 다리를 다치는 사고였다. 신체적 장애는 꿈 많던 유학파 소년을 화가의 길로 이끌었다. 마음대로 뛰어놀지 못하게 된 소년은 그림에 빠졌고 3학년 때, 아동미술전에서 오사카 시장상을 수상하여 재능을 인정받게 되었다”고 소개하고 “1945년 오사카미술학교를 졸업하고 도쿄로 옮겨 아테네 프랑세즈 불어과에 입학했다. 변시지는 그해 당대 일본 화단의 거장이자 도쿄대 교수였던 데라우치 만지로(1890-1964) 문하생으로 입문하여 서양 근대미술 기법을 배우게 되었다. 인물화로 일가를 이룬 스승 데라우치 만지로에게 후기 인상파의 표현주의 기법을 익히며 인물화와 풍경화에 집중했다. 그는 한국작가임에도 불구하고 1948년 당시 일본 최고의 중앙 화단인 ‘광풍회전(光風會展)’에서 23세의 나이로 최연소 최고상을 수상하고, 24세에는 광풍회의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또한 2007년 미국 스미소니언 박물관에서 작품 2점이 10년간 상설 전시되어 주목을 받았다. 변시지의 스미소니언 박물관 전시는 지역적 소재이지만 인간의 보편적 심상을 다루어 세계적인 공감을 얻었다”고 알린다. 

 

▲ 변시지 작품.     ©브레이크뉴스

 

이어 “1957년 서울대 교수로 초빙되어 일본생활을 정리하고 고국 서울로 돌아왔다. 한국의 미에 눈을 뜨게 된 그는 창덕궁 비원(秘苑)을 중심으로 작업했다. 당시 비원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밝고 섬세한 푸른색 톤이 특징이다. 이후 예술의 모토라고 믿었던 풍토의 원형인 제주로 귀향하여 화풍이 변화하기 시작한다. 변시지의 화풍은 크게 일본시절(1931-1957), 서울시절(1957-1975), 제주시절(1975-2013)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필연적인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 제주시절은 서양화와 동양의 문인화 기법을 융합한 그만의 독특한 화풍이 완성된 시기다. 구도자처럼 그림에 몰두했던 제주시절은 성찰을 통해 세계를 해석하고 현대인의 고독을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제주-오사카-도쿄-서울-제주로 이어지는 과정은 진보적 역행을 통해 변시지의 완성된 화풍을 보여주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번 전시회에서 주로 선보이는 황토색은 작가 변시지 고유의 색이다. 작가는 제주의 아열대 태양빛이 작열할 때 황토빛으로 물든 자연광을 발견하는데 이는 작품의 바탕색이 되고 간결한 먹 선으로 화면을 채워 나간다. 황토색 바탕 위에 검은 선묘로 대상을 표현해 그만의 독창적인 화법이 완성된다. 소년과 지팡이를 짚고 걷는 사람, 조랑말, 까마귀와 해, 돛단배, 초가, 소나무 등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소재다. 작품에 등장하는 사람은 작가 자신이기도 하고 우리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수평선은 변시지에게 꿈과 이상향을 향한 구도(求道)의 상징이며 작품의 조형적인 특징을 잡아가는 중심 추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고 “가나아트와 공익재단법인 아트시지는 이번 전시를 통해 제주로 귀향한 변시지가 그만의 독창적인화법으로 완성된 회화를 재조명하고, 관람객들로 하여금 심신의 위로와 그가 추구한 고결한 정신성을 찾아보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변시지 작품.     ©브레이크뉴스

▲ 변시지 작품.     ©브레이크뉴스

 

[평론글]황토빛 노란색은 어디에서 왔는가? 

-송정희 (공간누보 대표)

 

황토빛 노란색을 사상思想으로 삼아 그만의 독특한 화법과 화풍을 일궈낸 화가, 변시지(1926~2013). 그의 그림은 누렇거나, 누리끼리하거나, 노랗거나, 노리끼리하거나, 샛노랗거나, 혹은 찬란한 황금빛으로 화면 전체가 온통 출렁인다. 

 

1975년 그의 나이 오십, 제주로 귀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작가는 석양에 물든 제주 바다와 대지를 내려다보며 온통 노란색으로 승화되는 첫 경험을 한다. 

 

“...나도 그 때까지 제주라고 하면 푸름을 떠올렸는데, 석양에 물든 바다나 땅이 모두 황금색으로 변할 때, 풍요로움을 뛰어넘어 경외감마저 느꼈다.”

 

그렇게 그의 숙명이 된‘노란색.’하나의 색으로 모든 색을 표현했던 작가의 집요함은 제주에서 38년 동안이나 작품으로 이어진다. 변시지의 상징이 된 노란색의 뿌리는 어디에 닿아 있을까? 일본에서 인상주의의 빛과 색감을 일찌감치 익혔던 서양화가 변시지의 화려한 색은 다 어디로 사라졌을까? 서울시절‘비원’ 그림에서 보여주던 밝고 섬세한 푸른빛은 왜 숨어버린 것일까? 

 

변시지는 제주 서귀포에서 태어나 여섯 살 때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이주했다. 1945년 오사카 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한 후, 20살이 되던 해 도쿄로 옮겨 본격적인 전업 작가의 길을 걷는다. 변시지는 정통 서양화의 계보를 잇는 데라우치 만지로(1890~1964)를 스승으로 두어, 사실주의 기법과 후기 인상파의 표현 요소들을 익혔다. 그는 일본 화단에서 서양화가로서의 최고의 영예를 이미 20대 청년 시절에 누려본 조선인 화가였다. 

 

빛을 통해 사물이 갖는 고유의 색은 달라진다. 이것이 후기 인상주의의 요체다. 변시지 역시 빛과 색채의 연관성을 배우며 일본 시절 인물화와 풍경화를 주로 그렸다. 젊은 시절 가장 좋아하고 존경했던 작가가 누구냐는 질문에 그는 후기 인상파의 대가인 반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라고 이야기하곤 했는데, 이는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다. 

 

남프랑스 아를지방의 강렬한 태양빛을 보고 고흐는 ‘나에게 태양은 노랗다’고 토로했다. 제주로 돌아와 아열대 태양을 만난 변시지는 어떠했는가? 

 

“제주는 아열대 태양 빛의 신선한 농도가 극한에 이르면 흰 빛도 하얗다 못해 누릿한 황토빛으로 승화된다. 나이 오십에 고향 제주의 품에 안기면서 섬의 척박한 역사와 수난으로 점철된 섬사람들의 삶에 개안했을 때 나는 제주를 에워싼 바다가 전위적인 황토빛으로 물들어 감을 체험했다.”

 

변시지의 황토빛 노란색은 이렇듯 일본에서 습득한 인상주의 표현요소와 후기 인상파의 색을 수용, 변용, 재창조하는 과정 속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변시지의 색은 독창적이다. 자연광에서 얻은 색일지 모르나, 작가의 눈으로 재해석된 마음의 색이기도, 더 깊게는 인간과 자연의 본질을 성찰하며 나온 원형의 색이기도 했다.

 

현란한 색으로 아무리 제주를 표현해도 어색했다는 그가 40년 넘게 익숙하던 모든 색과 기법을 버리고 나온, 단 하나의 색, 바로 황토빛 노란색이다. 

 

한국의 미를 찾으며 깊어진 색 

 

서양화가로서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동양정신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그의 황토빛 사상은 의미와 지층을 확장한다. 38년의 제주시절(1975~2013)은 변시지의 노란색이 탈법脫法과 진화를 거듭하며, 자신만의 화격(畵格)을 완성해가는 과정이다. 

 

제주초기와 중기에는 주로 꺼칠꺼칠한 황갈색, 쓸쓸하고도 따뜻한 누런색, 모노크롬한 노란색, 그리고 푸른빛이 엷게 감도는 황토빛 노란색이 중첩되어 나온다. 후기와 말기 작품을 보면 그야말로 찬란한 황금빛 노란색이다. 황갈빛의 누런색에서 순도높은 황금빛 노란색에 이르기까지 그가 제주에서 남겨놓은 천 점이 넘는 작품들은, 한 가지 색으로 얼마나 끊임없이 밝음과 어둠의 세계를 왔다 갔다 하며 그가 새로운 모색과 출발을 했는지 엿보게 된다. 

 

평론가 오광수는 이런 변시지의 바탕색을 ‘누런 장판지색’으로 비유한다. 혹자는 만물을 키워내는 대지의 색, 곧 생명의 색이라 하다. 변시지 자신은 고향 초가의 마당에서 비가 내려 질퍽질퍽한 땅 위를 깔던 보리낭, ‘짚’의 투박하고 정감어린 색이 떠오른다고도 했다. 이런 독자적인 변시지만의 색채는 그의 표현대로 ‘피부에 닿는 향토적인 것에 매료’되어 나온 것이다. 

 

변시지에게 또 하나의 중요한 색은 형태를 잡아가는 검은 먹색이다. 작가는 검은 색에 숙달된 민족으로서 한국의 아름다움을 창조하는데 검은 색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누런 바탕위에 검은 색으로 형태를 만들었다. 한국 사람들은 예로부터 먹필로 편지를 썼다. 머리고 까맣고, 눈동자도 까맣고, 먹필도 까맣다. 선은 먹색으로 하는 편이 우리들 정서에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민족정신이 깃든 전통적인 풍토 위에,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세우고 싶었던 변시지는 누런색과 검은색을 주조로 삼게 된다. 제주에 정착한 후, 동양미를 탐구하고 추사 김정희의 예술세계에 심취하며 그의 색은 깊어갔다. 더구나, 한학과 수묵화에도 능했던 그가 아닌가? 수묵화와 서양화를 경계 없이 넘나들며 작업하던 그에게 형태를 그린 검은 먹색은 동, 서양을 연결하는 통로의 색이요, 한국의 아름다움을 대변하는 정서의 색이다. 

 

유화든 수묵화든, 그의 작품은 검은 먹색 선으로 형태를 표현함에 있어‘갈필법’과‘일필법’이 특징이다. 서양화가 안진희는 ‘변시지의 회화세계’라는 박사논문에서“서양의 기법에서 시작하여 오랜 실험과 탐색을 거친 후, 동양의 정신과 기법을 수용한 결과물들이다... 그의 그림은 단순히 풍경화가 아니라, 동양의 문인화 정신을 반영한 한 편의 시다”라고 평가했다. 

 

동양미학을 공부한 그의 작가노트의 첫 구절은 이렇게 시작된다. 황토색과 검은색의 뿌리가 어디로부터 왔는지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동양미의 관찰은 천지의 관찰로부터 시작된다. 천지현황(天地玄璜), 검은 현玄은 하늘의 색이요, 누를 황(璜)은 땅의 색이다. 하늘은 모든 것의 시작이요, 땅은 하늘로부터 받아들여 모든 형태를 만들어낸다. 사람도 그 소산이다.”

 

바람은 그에게 무엇이었나?

 

제주에서 바람은 자연의 불모성을 상징한다. 제주사람들은 용암분출로 이루어진 현무암이란 표층 위에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 흙 속에 묻혀있는 돌들을 꺼내어 땅을 추리며, 매서운 바람을 막아 생존을 확보해야했다. 남성들은 어로작업을 하거나 타지를 항해하다 풍랑을 만나 죽기도 한다. 해녀들은 돛단배에 의지하여 마파람과 샛바람을 달래가며 바다 건너 육지로 출항을 했다. 육지와 격절된 섬에 부는 외세의 바람도 매서웠다. 제주 4·3이라는 비극의 광풍이 휩쓸고 간 섬이 아니던가? 영등할망의 바람신 신화도, 구멍 숭숭 뚫린 돌담을 쌓아 바람을 다스렸던 삶의 지혜도 섬사람들의 삶과 죽음이 오직 바람의 순환에 맞물려있었음을 보여준다. 변시지는 고향의 품에 안기어 이 바람을 만난다. ‘예술의 모체는 풍토’라고 자신의 작품세계를 정리하던 그가 풍토의 숨골을 바람에서 찾은 것이다. 자연지리학적인 풍토와 정신적 풍토를 넘어서 그가 그토록 추구하던‘인간 본연의 풍토’가 바람 속에 숨 쉬고 있었다. 변시지는 바람이 갖는 의미를 이렇게 설명한다. 

 

“유독 내게는 바람을 소재로 한 그림들이 많다. 바람 부는 제주가 나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고독, 인내, 불안, 한(恨), 그리고 기다림 등이 그것이다.” 

 

이렇듯 작가는 제주풍토의 요체와 인간 본성의 보편성을 바람을 통해 통합해가고, 더 나아가서는 한국의 고통과 수난의 역사를 바람으로 상징화한다. 시대와 작가는 독특한 방식으로 관계 맺고 연결되기 마련이다. 

 

“태풍이 초가 뒷마당에 몰아친다. 그 폭풍을 이길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 속의 사람은 태풍에 날아가지 않게, 살아남으려고 구부리고 있는 것이다. 내 작품에서의 폭풍은 독재정권 하의 시달림에 대한 마음 속 저항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작품은 그 작가가 살던 시대의 마음, 심상의 표현이다.”

 

하늘과 땅과 바다가 하나 되어 온통 황토빛 바람으로 일렁이면, 근경(根景)에는 폭퐁 속에서 웅크려있거나 지팡이를 짚고 걸어가는 구부정한 사내가 나타난다. 때로는 조랑말과 부둥켜안으며 바람을 같이 맞닥뜨린다. 중경中景에는 몰아치는 바람에 휘어지는 소나무와 초가가 보인다. 소나무의 형상을 보면 뼈대로만 버텨내는 작가의 결기가 느껴지고, 추사의 ‘세한도’정신을 연상시킨다. 원경遠景에는 바다 한가운데 아스라하게 작은 돛단배 하나가 흔들리고 있다. 바람을 거스르지 않고 자기의 존재를 낮춰서 거대한 자연과 한 시대의 폭풍에 그렇게 저항했던 작품 속 이미지는 자신이기도 하다. 

 

‘폭풍의 화가 ’변시지, 일본에서 소학교 2학년 때 다리를 다쳐 평생 지팡이를 짚고 걸었던 작가는 스스로 작품 속으로 들어가 노인이 된다. 그 노인은 자신이기도 우리의 모습이기도 하다. 말년의 추사 김정희는 자신의 노쇠한 얼굴을 그린 자화상에 이런 글을 덧붙였다고 한다. ‘이 사람이 나라고 해도 좋고 내가 아니라 해도 좋다. 나이고 나 아닌 사이에 나라고 할 것도 없다.’ 변시지식으로 표현하자면 이런 뜻이 아니겠는가?

 

“사람들은 나를 가리켜 제주도를 대표하는 화가라 한다. ...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진정으로 내가 꿈꾸고 추구하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제주도’라는 형식을 벗어난 곳에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란 존재의 고독감, 이상향을 향한 그리움의 정서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것이고, 인간이면 누구나 갖는 것이다.”

 

수평선- 피안과 파안의 경계에서 

 

지팡이, 노인, 조랑말, 까마귀, 해, 바다, 수평선, 돛단배, 돌담, 초가, 소나무는 그의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소재다. 

 

특히, 그의 그림에는 수평선과 돛단배가 거의 예외 없이 등장한다. 그의 설명을 살펴보자. 

 

“....수평선은 하나의 환상이며, 뛰어난 감각의 상징이다....변화무쌍한 수평선의 굴곡은 신비롭고, 세월의 흐름과 아픔의 사연을 잊게 하는 진실한 무언의 대화를 맛보게 한다...”고 설명한다. 

 

수평선은 그에게 감각적인 구도(構圖)의 상징인 동시에, 꿈과 이상향을 향한 끊임없는 구도求道의 상징이다. 한편으로는, 수평선이 중심추처럼 흔들리며 면을 가르고 작품 전체의 균형과 조형을 세워간다. 또 한편으로는 이 수평선은 이상과 현실, 삶과 죽음, 파안과 피안을 가르는 경계가 된다. 이 경계를 황토빛 노란색이 온통 출렁이며 넘나든다. 수평선이 하늘과 바다와 땅의 경계를 짓고, 노란색이 하늘과 바다와 땅의 경계를 지워간다. 환상과 현실, 삶과 죽음, 고통과 위안, 하늘과 바다와 땅이 뒤범벅되어 넘나들며 결국 하나로 되는 과정이 바로 이 수평선에 담겨있다. 침몰할 듯 위태로운 작은 돛단배 한척은 이 수평선의 경계 끝까지 다가서고 있다. 노인의 시선은 고개는 숙이지만, 발걸음은 늘 그 수평선 너머로 향하고 있다. 

 

변시지는 제주사람들의 꿈과 이상향인 ‘이어도’를 소재로 끌어들여 자신의 예술세계와 중첩시켰다. 

 

“인간의 삶이 고달플수록 이상향을 꿈꾸게 마련이다... 제주인에게 이어도는 바로 그런 곳이다... 그들은 죽어야 갈 수 있다는 환상의 섬, 이어도를 꿈꾸며 살아왔다. 척박한 풍토와 수난의 역사를 겪으며 가난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제주인에게 이어도는 천국으로 존재하는 위안의 세계였던 것이다.” 

 

그의 그림이 외롭고 쓸쓸하고 무거운 분위기가 짓누르는 것 같지만, 위로가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변시지는 인간이라면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보편적 심상을 표현하고, 그를 극복하려는 고결한 정신성을 추구했던 것이다. 

 

변시지의 진보적 역행, 그리고 시대의 빛과 바람 변시지

 

작가 스스로도 ‘나의 화풍은 세 번의 변신을 한 것 같다’고 말한다. 일본시절 (1943~1956)은, 인상파적 구도에 구상적 표현을 즐겨 썼다. 변시지의 그림에는 우리들과 뭔가 다른 게 있다’라는 일본 내에서의 평가는 그가 예술의 혈통이 한국에 있음을 깨닫고 귀국을 결심한 이유였다. 

 

서울대학교의 초청으로 그는 32살에 한국으로 귀국한다. 일본에서 쌓은 탄탄한 명성과 지반을 버리고,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며 한국으로 귀국한 변시지. 18년을 보낸 서울시절 (1957~1974)은 비원 등을 소재로 섬세하고 우아한 한국의 전통미를 표현하려고 했다. 극사실주의의‘비원파’화가로 분류되는 시기이다. 

 

그의 나이 오십에 고향 제주에 돌아와 삶을 마칠 때까지 붓을 놓지 않았던 38년 동안의 제주시절 (1975~2013)은 풍토에 매료되어 자신만의 독특한 황토빛 노란색과 화풍을 일궈낸 시기였다. 

 

일본에서 일찌감치 사실주의와 인상주의 기법을 익혀온 그가 일본을 떠나 서울에 정착해서는 민족예술을 탐색하기 위해 극사실주의 화법으로 역행했다. 이어, 1970년대 한국의 미술계가 서양미술의 급진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시기로 당시 주류의 화가들이 인상파, 야수파, 표현주의와 엥포르멜 등 추상미술의 기법을 추구하며 유럽으로 향할 때, 그는 반대로 예술의 불모지인 변방의 섬, 제주로 향한다. 한국 미술계의 보편적 흐름을 거스르며 전개되었던 그의 작품 세계. 제주-오사카-도쿄-서울-제주로 이어지는 87년의 삶의 궤적은 어쩌면 ‘진보적 역행’이었던 셈이다. 

 

이제 제주작가라는 좁은 울타리에 갇혀 있던 변시지를 좀 더 넓은 지평에서 새롭게 조망해야하는 시간이 왔다. 

화법(畫法)을 앞세우는데 그치지 않고 화도(畫道)의 경지에까지 이끌어가는 것을 평생의 업으로 삼았던 변시지. 동, 서양 미술의 재료와 기법을 아우르면서 고독한 인간에 대한 연민을 놓치지 않았던 변시지. ‘예술은 완성이 없다. 예술에서 깨달음을 얻는 경지에까지 이르러 작품을 남기는 것이다’라던 변시지. 

 

한국의 민족예술과 현대미술이 나아갈 방향은 어디인가? 자본주의에 매몰되어 지구 전체가 겪고 있는 이 난세 속 고통의 뿌리는 무엇이며, 미술이 거기에 어떻게 답할 수 있는가? 변시지가 그 대답 하나를 내놓고 그가 그려놓은 수평선 너머로 떠나갔다. 그리고 우리 곁으로 다시 찾아왔다. 시대의 빛과 바람’ 변시지 전(展). 

 

그의 그림 속, 폭풍이 몰아치는 저 망망대해에 위태롭지만 침몰하지 않고 떠있는 저 돛단배를 보라. 가녀린 돛단배 하나가 작품 전체를 끌고 가지 않는가? 이번 전시회가 절망적 세계의 늪에 침몰하지 않는 돛단배처럼 작은 위로와 희망의 초대장이길 바란다. 

 

▲ 변시지 작품.     ©브레이크뉴스

▲ 변시지 작품.     ©브레이크뉴스

 

아래는 작가의 약력이다.

 

변시지(1926-2013) 작가의 약력

 

-학력

1945 오사카미술학교 서양학과 졸업 

     아테네 프랑세즈(Athenee Francais) 불어과 입학

 

-주요 개인전

2020 「시대의 빛과 바람」, 가나아트센터, 서울

     「폭풍속으로 변시지」, 제주돌문화공원, 제주

2014 「변시지 대표작 특별전: 빛과 바람, In Full Spectrum」,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기획전시실, 제주

2010 「검은 바다, 변시지전」 롯데갤러리 본점, 부산, 대전

     「울주문화예술회관 명작초대전」, 울주

     「폭풍, 갈 수 없는 곳」, 제주방송총국 개국 60주년 기념 초대전

     「나를 따르지 마라」,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07 미국국립스미소니언박물관 초대전 「이대로 가는 길」 및 「난무」 10년간 상설전시, 

워싱턴 D.C

2004 「마음의 풍경」, 기당미술관, 서귀포

     「덕양 어울림누리 문화체육센터 개관기념 초대전」, 고양어울림누리 체육센터, 고양 

1999 제34회 개인전 「그림갤러리 특별 초대전」, 그림갤러리, 창원

1997 「제주 화집출품 및 기념전」, 제주

1995 제32회 개인전 「변시지 고희 기념전」, 제민일보 주최, 제주

1992 제30회 개인전, 예맥화랑, 서울

1990 제27회 개인전 「변시지 제주풍화초대전」, 백송화랑, 서울 

     제28회 개인전 「정년퇴임기념 변시지초대전」, 예향화랑, 제주

1987 서귀포시립 기당미술관 「변시지 상설전시실」, 서귀포

1981 제16회 「변시지 초대전」, 아스트로라비오(Astrolabio) 화랑, 로마 

     제15회 「변시지 예술세계 방법전」, 탐라화랑, 제주

     제14회 개인전, 남양미술회관, 제주

     제13회 「유화 도화 작품 초대전」, 해목(海木)화랑, 목포 

1979 제10회 개인전 「변시지 작품회전」, 산호전시실, 제주 

     제9회 개인전 「변시지 작품전」, 동덕미술관, 서울

1971 제6회 개인전, 후지화랑, 도쿄

1959 제5회 개인전, 국립중앙공보관 화랑, 서울 

1958 제4회 개인전 「유화회고전」, 화신화랑, 서울

1953 제3회 개인전, 양화랑(洋畵廊), 판급백화점(阪急百貨店), 오사카

1951 제2회 개인전, 시세이도화랑(資生堂), 도쿄 

1949 제1회 개인전, 시세이도화랑(資生堂), 도쿄

 

-주요 단체전

2003 「근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9 「한국미술 ’99 인간, 자연, 사물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8 「정부 소장미술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근대유화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3 「예술의전당 개관기념전」, 예술의전당, 서울

1992 「92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TIAS국제전」, 도쿄

1987 「87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85 「85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서울

     「한일미술교류전」, 지구당화랑, 도쿄 

1984 「84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3 「83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1 「한국미술 81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오리엔탈 7인전」, 동덕미술관, 서울

1974 「오리엔탈미술협회전」, 국립중앙공보관, 서울

 「한국거장명화전」, 고려미술화랑(주최), 오사카 

1972 「한국현대미술계 최고 일류 저명작가전」, 후지화랑, 도쿄

 

-수상

2016 「2016 문화예술발전유공자」, 보관문화훈장 수상, 문화체육관광부

1986 제주도문화상(예술부분) 국민훈장, 서귀포시 시민상

1948 제34회 「광풍회전」 최고상 수상(역대 최연소) 

1947 제33회 「광풍회전」 입선

     일본 문부성 주최 「일전」에서 조선인 최초로 입선

 

-그 외

2020 『바람의 길, 변시지』 출간, 송정희, 누보

2016 7월 29일 변시지 추모공원 설립

2006 ‘제주의 빛과 바람, 변시지’ 연주회 - 제주도 KBS교향악단(지휘: 오트마 마가) 

2000 『변시지:폭풍의 화가』 출간, 서종택, 열화당

1988 『예술과 풍토』 출간, 변시지, 열화당 

1974 「오리엔탈미술협회」 창립 

1949 광풍회 심사위원으로 위촉

1948 광풍회 정회원으로 추천

▲ 변시지 작품.     ©브레이크뉴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with Google Translate.]

 

Byeon Si-ji, the painter of the storm,'The Light and Wind of the Era' exhibition

Open from October 16th to November 15th, at the Gana Art Center in Seoul

-Reporter Park Jeong-dae

 

▲ 변시지 화가.   ©브레이크뉴스

The exhibition <Light and Wind of the Era>, an exhibition by artist Byeon Si-ji (1926-2013), will be held in the entire Gana Art Center, Seoul (28, Pyeongchang-ro 30-gil, Jongno-gu, Seoul) from October 16th to November 15th. In 1975, when the painter was 50, he returned to Jeju, and for 38 years of Jeju-do (1975-2013), the main exhibition was completed with his own unique method of painting, after the ocher yellow color went through decapitation and evolution. Show off your work.

 

Gana Gallery said, “Painter Byeon Si-ji was born in Seogwipo, Jeju, and in 1931, when he was six years old, went to Japan with his family and studied painting at the Department of Western Painting at Osaka Art School. In 1933, in the fall of his sophomore year in elementary school, he participated in an in-school wrestling contest, overpowering all his classmates, and injuring his leg while confronting a senior student. His physical disability led a dreamy Confucian boy into the path of a painter. The boy, who couldn't play freely, fell into painting, and when he was in the 3rd grade, he received the Osaka Mayor's Award at the Children's Art Exhibition and was recognized for his talent.” He introduced, “After graduating from Osaka Art School in 1945, he moved to Tokyo and entered the Francaise French Department in Athens. . In that year, Shiji Byun entered the school as a student of Manjiro Teruchi (1890-1964), a master of contemporary Japanese art and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Tokyo, where he learned the techniques of modern Western art. He learned the post-Impressionist expressionist technique from his teacher Teruchi Manjiro, who made his family through portrait painting, and focused on portrait painting and landscape painting. Despite being a Korean artist, he won the youngest and best award at the age of 23 at the “Gwangpung-Rotation,” the best central painting group in Japan at the time, in 1948, and served as a judge of the Gwangpung Society at the age of 24. In addition, two works were permanently exhibited for 10 years at the Smithsonian Museum in the United States in 2007, drawing attention. Byun Si-ji's Smithsonian Museum exhibition is a regional subject, but it deals with the universal image of humans and gains global sympathy.”

 

“In 1957, I was invited as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organize my life in Japan and return to my hometown of Seoul. Having opened his eyes to the beauty of Korea, he worked mainly on the Biwon of Changdeokgung Palace (秘苑). Works based on Biwon at the time are characterized by bright and delicate blue tones. Afterwards, he returned to Jeju, the archetype of the climate that he believed was the motto of art, and the style of painting began to change. The painting style of Byeon Si-ji can be classified into Japanese period (1931-1957), Seoul city period (1957-1975), and Jeju city period (1975-2013), which can be said to be an inevitable journey to find the identity of art. Among them, Jeju City was the time when his unique style of painting was completed by fusion of Western and Eastern literary techniques. Jeju City, which was immersed in painting like an investigator, interpreted the world through reflection and sublimated the solitude of modern people into works. The process leading from Jeju-Osaka-Tokyo-Seoul-Jeju showed the completed style of Byeonshiji through progressive retrogression,” he added.

 

Also, “The ocher color that is mainly shown in this exhibition is the unique color of artist Byun Si-ji. When the subtropical sunlight in Jeju is burning, the artist finds natural light dyed with ocher, which become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work and fills the screen with simple ink lines. His original method of speaking is completed by expressing the object with black line drawing on an ocher-colored background. Boys and people walking with canes, ponies, crows and suns, sailboats, thatch, and pine trees are repetitive materials. The people who appear in the work are both the artist himself and us. The horizon is a symbol of the composition of dreams and utopia to Byun Si-ji and serves as a central weight to capture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work.” He emphasized, “Gana Art and Art Siji, a public interest foundation, returned to Jeju through this exhibition. It is expected that Byeon Si-ji will re-examine the paintings completed with his unique method of painting, and that it will be a place for visitors to find comfort in mind and body and the noble spirit he pursued.

 

[Review] Where did the ocher yellow come from?

-Jeonghee Song (CEO of Space Nouveau)

 

Byun Si-ji (1926-2013), a painter who created his own unique method of speaking and style by using ocher yellow as his ideology. His paintings are yellow, between Nuri, yellow, between nori, bright yellow, or a brilliant golden hue, and the entire screen fluctuates.

 

In 1975, when he was fifty years old, on a plane returning to Jeju, the artist had the first experience of being sublimated to yellow while looking down at the sea and land of Jeju dyed by the sunset.

Until then, when I thought of Jeju, I thought of blue, but when the sea or land stained with the sunset turned golden, I felt awe beyond the abundance.”

 

The artist's persistence in expressing all colors with one color, which became his destiny, “yellow”, continues to work in Jeju for 38 years. Where do the yellow roots that became the symbol of Byeon Si-ji reach? Where did all the brilliant colors of Byun Shi-ji, who had learned the light and color of Impressionism in Japan, disappear? Why did the bright and delicate blue light that was shown in the “Beewon” painting in Seoul City Hidden?

 

Byeon Si-ji was born in Seogwipo, Jeju, and moved to Japan with her family at the age of six.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Western Painting at Osaka Art School in 1945, he moved to Tokyo at the age of 20 to pursue a full-fledged career as an artist. By taking Manjiro Teruchiro (1890-1964), who inherits the genealogy of traditional Western painting, as a teacher, Siji Byeon learned the techniques of realism and the elements of post-Impressionism expression. He was a Korean painter who had already enjoyed the best honor as a Western painter in Japanese paintings in his 20s.

 

The unique color of an object changes through light. This is the essence of Post-Impressionism. Siji Byeon also studied the connection between light and color, and mainly painted portraits and landscapes in Japan. When asked who was his favorite and admired writer in his youth, he used to say that he was the master of Post-Impressionists, Vincent Van Gogh (1853--1890), which would never be a coincidence.

Seeing the intense sunlight in Arles, southern France, Gogh complained, "The sun is yellow for me." How was Byeon Si-ji who came back to Jeju and met the subtropical sun?

 

“Jeju is sublimated into a soft yellow clay because the white light is not white when the fresh concentration of the subtropical sunlight reaches its limit. When I was held in the arms of my hometown of Jeju at my age of fifty and opened up to the lives of the islanders, filled with the island's barren history and hardships, I experienced that the sea surrounding Jeju was dyed with an avant-garde ocher color.”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ocher yellow color of Byeon Si-ji was influenc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ransforming, and recreating the expression elements of impressionism and the colors of post-Impressionism acquired in Japan. However, Byeon Si-ji's color is original. It may be the color obtained from natural light, but it was also the color of the mind reinterpreted with the artist's eyes, and it was also the color of the original shape that came out of reflecting on the essence of humans and nature.

 

No matter how awkward he expresses Jeju with brilliant colors, the only color that he has been familiar with for more than 40 years is ocher yellow.

 

Colors deepened as we search for the beauty of Korea

 

As a Western painter, in the process of pursuing Korean beauty and exploring the Eastern spirit, his ocherous thoughts expand the meaning and strata. The 38th year of Jeju City (1975~2013) is a process in which the yellow color of Byeonsiji repeats its evolution with the decapitation method and completes his own painting.

 

In the early and mid-Jeju period, a rough yellowish brown color, a lonely and warm yellow color, a monochrome yellow color, and an ocher yellow color with a pale blue color are superimposed. Looking at his later and late works, it is truly a brilliant golden yellow. His more than a thousand works he left in Jeju, ranging from yellowish-brownish yellow to high-purity golden yellow, have a glimpse of how he constantly went back and forth in the world of light and dark in one color, and that he started a new search.

 

Critic Kwang-soo Oh compares the background color of Byeon Si-ji to “yellow jangpanji color”. Some say it is the color of the earth that nurtures all things, that is, the color of life. Byun Si-ji himself said that the crude and affectionate color of "straw," the barley nang, which was laid on the scuffed ground when it rained from the thatched yard of his hometown. This unique color of Byeonsiman, as he expressed it, came out as'fascinated by the locality that touches the skin'.

 

Another important color for Byeon Si-ji is the black ink that takes shape. The artist has the idea that black is very important in creating the beauty of Korea as a people who are adept at black.

 

“...I made a shape in black on a yellow background. Koreans have been writing letters in ink from ancient times. The head is black, the eyes are black, and the ink brush is black. I thought it would suit our emotions to make the line black.”

 

Byun Shi-ji, who wanted to build his own art world on the traditional climate of the national spirit, made yellow and black as the main elements. After settling in Jeju, his color deepened as he explored oriental beauty and immersed himself in the art world of Chusa Kim Jung-hee. Moreover, isn't he who was also good at Korean and ink painting? For him, who had been working on ink and western paintings without boundaries, the black ink color depicted is the color of the passage connecting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color of emotion representing the beauty of Korea.

 

Whether it's oil painting or ink painting, his work is characterized by “writing method” and “one writing method” in expressing the form with black lines. In his doctoral dissertation,'Byeon Siji's Painting World', Western painter Jin-hee Ahn is the result of embracing the spirit and techniques of the East, starting with Western techniques and after long experiments and explorations... His paintings are not just landscape paintings, but Eastern It is a poem that reflects the literary spirit of the people.”

 

The first verse of his artist's note, who studied oriental aesthetics, begins like this. It is a part where you can get a glimpse of where the ocher and black roots come from.

 

“The observation of Dongyangmi begins with the observation of heaven and earth. The heaven and earth status (天地玄璜), the black hyeonis the color of the sky, and the yellow yellow () is the color of the earth. Heaven is the beginning of everything, and the earth takes it from heaven and makes all its forms. People are also the product of that.”

 

What was the wind for him?

 

In Jeju, the wind symbolizes the barrenness of nature. The people of Jeju had to prepare a place of living on the surface layer of basalt made of lava eruptions, take out the stones buried in the soil, dig the ground, and block the biting wind to secure survival. Men sometimes die in storms while fishing or sailing abroad. The haenyeo depended on the sailing boat to soothe Maparam and the fresh breeze and sailed across the sea to land. The foreign wind blowing on the isolated island from the land was also bitter. Wasn't it the island that was swept away by the tragedy of Jeju 4·3? The myth of the wind god of Yeongdeunghalmang, and the wisdom of life that governed the wind by stacking stone walls with holes, show that the lives and deaths of the islanders were only intertwined with the cycle of wind. Byeon Si-ji meets this wind in the arms of her hometown. When he organized his art world as “the mother body of art is the climate,” he found the hideousness of the climate through the wind. Beyond the natural geographic and spiritual climate, the “human natural climate” he pursued was breathing in the wind. Byeon Si-ji explains the meaning of the wind.

 

“To me, there are a lot of pictures with wind as a subject. The windy Jeju makes me think a lot. Solitude, perseverance, anxiety, coldness, and waiting.”

 

As such, the artist integrates the essence of the Jeju climate and the universality of human nature through the wind, and further symbolizes the history of suffering and suffering in Korea with the wind. The times and the artist are bound to connect and connect in a unique way.

 

“The typhoon hits the backyard with thatch. No one can overcome the storm. The person inside is bent over to survive the typhoon so as not to fly away. The storm in my work is also an expression of inner resistance against suffering under dictatorship. The work is an expression of the mind and image of the time in which the artist lived.”

 

When the sky, the earth, and the sea become one, and the winds sway all over, a crooked man crouching in the explosion or walking with a cane appears in the near scene. Sometimes they hug the pony and face the wind together. In the middle of Chongqing, you can see pine trees and thatched houses bent by the rushing wind. When you look at the shape of the pine tree, you can feel the artist's determination to endure only with the bones, and it reminds you of Chusa's "Sehando" spirit. A small sailboat swaying in the middle of the sea in the far-view landscape. The image in the work that resisted the enormous nature and storms of a period by lowering his existence without against the wind is also himself.

 

“Storm Painter” Shiji Byeon, who injured her leg in her second year of elementary school in Japan, and walked with a cane her entire life. The old man is both himself and us. It is said that Kim Jung-hee, the late Chusa, added this to her self-portrait depicting her senile face. 'It is okay if this person is me or not me. There is no such thing as me between me and me.

 

“People refer to me as a painter representing Jeju Island. ... but not really. What I truly dream and pursue is because, ironically, I am in a place outside the form of “Jeju Island”. The loneliness of being human, the feeling of longing for the utopia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everyone has.”

 

Horizon-at the border between Pian and Pian

 

The cane, the old man, the pony, the crow, the sun, the sea, the horizon, the sailboat, the stone wall, the thatch, and the pine trees are constantly repeated materials in his work.

 

In particular, in his paintings, horizontal lines and sailboats appear almost without exception. Let's look at his explanation.

 

“....The horizontal line is an illusion and a symbol of outstanding senses.... The curves of the ever-changing horizon are mysterious and let you taste the true silent dialogue that makes you forget the story of the passage of time and pain... "It explains.

 

For him, the horizon is a symbol of a sensuous com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a symbol of a constant composition towards dreams and utopia. On the one hand, the horizontal line shakes like a central weight, splitting the plane, and establishing the balance and shape of the whole work. On the other hand, this horizontal line becomes the boundary between ideal and reality, life and death, and peace and peace. An ocher yellow swaying across this border. The horizon forms the boundary between the sky, the sea, and the earth, and yellow erases the boundary between the sky, the sea, and the earth. Fantasy and reality, life and death, pain and comfort, the sky, the sea, and the earth cross over and eventually become one. This is the horizon. A small sailing boat that is in danger of sinking is approaching the edge of this horizon. The old man's gaze is lowered, but his steps are always heading beyond that horizon.

 

Siji Byeon brought in the dreams and ideals of Jeju people, “Ieodo,” and overlapped them with her artistic world.

 

“The harder human life is, the more people dream of a utopia... This is the same place for Jeju people... They have lived dreaming of Ieodo, an island of fantasy that they must die. It was a world of comfort that existed as a heaven for Jeju people who had no choice but to live poorly through a barren climate and a history of suffering.”

 

His paintings seem to be crushed by a lonely, lonely, and heavy atmosphere, but this is the reason for comfort. Shiji Byun expressed a universal image that could be encountered by any human being and pursued a noble mentality to overcome him.

 

Byeon Shi-ji's progressive retrogression, and the light and wind of the times.

The artist himself says,'My style seems to have changed three times.'

 

In the days of Japan (1943-1956), he enjoyed using figurative expressions in impressionist compositions. The evaluation in Japan that Byeon Si-ji's paintings have something different from ours was the reason he decided to return to Korea after realizing that the art lineage was in Korea.

 

At the invit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returns to Korea at the age of 32. Byeon Si-ji, who abandoned the strong reputation and ground he had built up in Japan, returned to Korea despite the opposition of his family. The 18-year-long Seoul Festival (1957~1974) attempted to express the delicate and elegant traditional beauty of Korea with Biwon as the subject matter. It is a period when he is classified as a "non-wons" painter of hyperrealism.

 

When he returned to his hometown of Jeju at the age of fifty, the 38-year period of Jeju (1975-2013), when he didn't let go of his brush, was a time when he was fascinated by the climate and created his own unique ocher yellow and style.

 

Having learned the techniques of realism and impressionism early in Japan, he left Japan and settled in Seoul, and he went backwards with hyperrealism to explore national art. Then, in the 1970s, when the Korean art world actively embraced the radical changes in Western art, when the mainstream painters of that time headed for Europe while pursuing abstract art techniques such as Impressionists, Beasts, Expressionism and Enformel. Head to Jeju, an island in the wasteland. The world of his work unfolded against the universal trend of the Korean art world. The trajectory of the 87-year life spanning from Jeju-Osaka-Tokyo-Seoul-Jeju was probably a “progressive retrogression”.

 

Now, the time has come for a new view of Byeonsiji, which was trapped in a narrow fence called a Jeju artist, from a wider horizon.

 

Byeon Si-ji made her lifelong vocation not only to put Hwabeop in front of her, but to lead to the state of Hwado. Byun Si-ji did not miss out on compassion for lonely humans, encompassing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Eastern and Western art. 'Art is not complete. Byun Si-ji said, "It is to reach the level of enlightenment in art and leave the work."

 

Where is the direction of Korean national art and contemporary art? What is the root of this turbulent suffering that the entire planet is suffering from being buried by capitalism, and how can art respond to it? Byun Si-ji gave the answer and left over the horizon he had drawn. And came back by our side. The Light and Wind of the Era' Byun Si-ji exhibition

 

In his paintings, look at the sailing boats that are insecure but not sinking in the vast sea of ​​storm. Doesn't one delicate sailing boat drag the whole piece? We hope that this exhibition will be an invitation of hope and consolation like a sailboat that does not sink into the swamp of a desperate world.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