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주시,자원회수시설기본구상용역 중간보고회개최…DJ센터서

시, 29일시민·자치구 등 대상…시설규모·주민지원·환경관리계획 등 설명

이학수기자 | 기사입력 2023/03/26 [16:44]

▲ 광주광역시청 전경     



(광주=브레이크뉴스) 이학수 기자= 광주시는 오는 29일 오후 3시 김대중컨벤션센터 208호에서 자원회수시설(소각) 설치사업 추진을 위한 ‘광주시 자원순환형 폐기물 처리체계 구축 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한다.


이번 용역은 광주시가 2030년부터 가연성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는 상황에 대비하고 지역 내 자체 처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했다.


용역은 소각 등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계획을 검토하는 첫 단계인 기본구상 용역으로, 지난해 11월 시작됐다.


자원회수시설(소각)은 여가공간 등을 함께 조성해 주민 수용성을 높이고 오염물질 최소화, 에너지 활용 극대화 등을 통해 기피시설이 아닌 환경 친화형시설로 구축된다.


보고회는 지난 2월 실시한 소각시설 관련 설문조사(광주on)에서 ‘투명한 절차 공개 및 소통’을 원하는 의견을 반영하고, 자원회수시설(소각) 추진계획(안)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오픈형으로 열린다.


이 자리에서는 ▲자원회수시설 설치계획 수립을 위한 2030년 기준 생활폐기물 발생량과 시설규모 ▲부지면적과 주변지역 주민지원계획 ▲시민이 우려하는 환경오염물질 관리계획 ▲향후 입지선정 절차 등을 설명하고 질의 응답을 진행한다.


광주시는 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수렴해 시설계획을 확정하고, 4월 중에 자원회수시설(소각) 입지선정 계획을 결정 공고할 예정이다.


공모 결과에 따라 입지후보지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최종 입지를 선정하고, 기본계획 등 법적절차를 추진한다.


손인규 광주시 자원순환과장은 “자원회수시설(소각) 신규 건립은 지역의 안정적인 생활폐기물 처리를 위해 가장 중요하고 꼭 필요한 역점사업이다”며 “많은 시민의 관심과 참석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wangju City holds an interim report on the basic concept of resource recovery facilities... at the DJ center

Targets such as cities, 29th citizens and autonomous districts… Explanation of facility scale, resident sup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etc.


(Gwangju = Break News) Reporter Lee Hak-soo = Gwangju City's 'Gwangju City Resource Recycling Waste Treatment System Establishment Planning Service Interim Report' to promote the resource recovery facility (incineration) installation project at Kimdaejung Convention Center Room 208 at 3:00 pm on the 29th. to hold


This service was promoted by the city of Gwangju to prepare for the situation where direct landfilling of combustible domestic waste is prohibited from 2030 and to strengthen its own processing capacity in the region.


The service is a basic design service, which is the first step in reviewing the installation plan for waste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incineration, and began last November.


The resource recovery facility (incineration) will be established as an environment-friendly facility rather than a facility to be avoided by creating a leisure space together to increase resident acceptance, minimizing pollutants, and maximizing energy utilization.


The briefing session reflects the opinions that want 'disclosure and communication of transparent procedures' in the survey on incineration facilities conducted in February (Gwangju on), and to form a consensus and interest in the resource recovery facility (incineration) promotion plan (draft) open in an open way.


At this meeting, ▲ household waste generation amount and facility size as of 2030 for establishing a resource recovery facility installation plan ▲ site area and support plan for residents in the surrounding area ▲ environmental pollutant management plan that citizens are concerned about ▲ future site selection procedures, etc. were explained and asked questions. proceed with the response.


Gwangju City plans to collect opinions presented at the briefing session, finalize the facility plan, and announce the decision and public announcement of the site selection plan for the resource recovery facility (incineration) in April.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competition, the final location is selected through a feasibility study of the location candidate, and legal procedures such as a basic plan are promoted.


Son In-kyu, head of the Resource Circulation Division of Gwangju City, said, "The construction of a new resource recovery facility (incinera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priority project for the stable treatment of municipal waste in the region."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전남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