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서 조태일 시인 추모 문학축전 개최

9월 3일 오후 3시 곡성군 조태일시문학관 …제4회 조태일 문학상에 송경동 시인의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

이학수기자 | 기사입력 2022/08/28 [19:19]



(곡성=브레이크뉴스) 이학수 기자= 오는 9월 3일 곡성군 조태일시문학기념관에서 ‘2022 죽형 조태일 문학축전’이 개최된다.


이번 조태일 문학축전은 곡성 출신 죽형(竹兄) 조태일 시인(1941~1999)의 23주기(양력 9월 7일)를 맞아 ‘나의 가장 소중한 생명으로’를 주제로 열린다. 시 낭송과 공연, 시화전, 제4회 조태일 문학상 시상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문학 축전에서는 권혁소 시인과 곡성 어린이들이 함께 조태일 시인의 추모 시를 낭송하게 된다. 또한 조태일 시인의 제자인 손병현 소설가가 이야기 손님이 되어 학창 시절 조태일 시인과 얽힌 일화를 소개한다.


지역 음악 단체 ‘담소’에서는 조 시인의 시에 곡을 붙여 공연을 선보인다. ‘오 솔레미오’, ‘축배의 노래’, ‘우정의 노래’ 등 바리톤 황성철, 소프라노 임현진 성악가의 축하 무대도 준비되어 있다.


조태일시문학기념관 일대에서는 추모 시화전이 열린다. 조태일 시인 대표작과 박남준, 손택수, 이대흠 등 역대 조태일문학상 수상 시인 작품을 비롯해 전국 시인들의 시 50여 편을 상설 전시한다.


제4회 조태일문학상에는 송경동 시인의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창비 간’)가 선정됐다.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2천만 원과 함께 조 시인의 대표 시 ‘국토서시’를 새긴 정병례 전각가의 전각 작품을 부상으로 수여한다.


이번 조태일문학상은 지난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공모와 추천을 통해 접수된 시집을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했다. 심사에는 고영서(시인), 김청우(시인, 문학평론가), 이은규(시인), 임헌영(문학평론가), 곽재구(시인), 박남준(시인) 참여했다.


심사위원회는 “조태일 시인의 문학 정신과 얼마나 그 연결의 수평적 고리가 닿아 있는가. 거기에 더하여 또한 시대정신을 잃지 않고 살아있는 시인의 문학적 실천성은 얼마나 담보되어 있는가를 살펴봤다.”라며, “송경동 시인의 이번 시집은 그 심사의 기준에 맞춤처럼 딱 들어맞는 시집이다. 12권의 시집을 들여다보는 시간은 무척 길었으나 그에 비하면 수상작을 뽑는 심사위원들의 결론을 일치시키는 시간은 아주 짧았다.”라고 밝혔다.


한편 송경동 시인은 수상 소감을 통해 “제가 감히 조태일이라는 이름을 감당할 수 있을지 두렵기만 하다. 여전히 갈라진 우리의 땅과 우리의 하늘과 우리의 가락을 위해 ‘일렁이는 피와 다 닳아진 살결과/허연 뼈까지를 통째로 보탤’(「國土序詩」 중에서) 용기도 없는 자가 감히 선생님의 영전 앞에 설 수 있는지 초조해지기마저 한다. 덜컥 이 상을 받고 나면 또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눈앞이 캄캄하다. 결국 이렇게 조태일이라는 짐을 져야 한다면 어디에서 꺼꾸러지든, 자빠지던 작은 풀씨 하나 되어 후회 없이 주어진 이 길을 걸어가 보겠다.”라고 밝혔다.


송경동 시인은 1967년 전남 벌교에서 태어났다. 2001년 ‘내일을 여는 작가’와 ‘실천문학’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대표작으로 시집 ‘꿀잠》(2006),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2009),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2016), 산문집 ’꿈꾸는 자, 잡혀간다‘(2011)가 있다.


1992년~2004년 구로노동자문학회, 2008년 기륭전자비정규직 공대위, 2009년 용산철거민참사 진상규명범국민대책위, 2014년 노동법개악저지 ‘을들의 국민투표’ 공동상황실장, 2014년 세월호 만민공동회, 문화예술인 연장전, 2016년~2017년 광화문 캠핑촌 촌장, 2017년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규명위원회 총괄간사 등으로 활동했다. 현재 익천문화재단 길동무 상임일꾼, 비정규노동자의집 꿀잠 운영위원, 사회연대쉼터 인드라망 기획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Held a literary festival in memory of poet Jo Tae-il in Gokseong-gun
September 3 at 3 pm Gokseong-gun Jo Tae-il Poetry Museum … The 4th Cho Tae-il Literary Awards: Poet Song Kyeong-dong's 'I'm Falling Down With a Sound of Dreaming'-


(Gokseong = Break News) Reporter Lee Hak-soo = On September 3rd, the ‘2022 Jo Tae-il Literary Festival’ will be held at the Jo Tae-il City Literature Museum in Gokseong-gun.


This year's Jo Tae-il Literary Festival commemorates the 23rd anniversary (September 7th in the solar calendar) of the poet Jo Tae-il (1941-1999), a Juk-hyeong from Gokseong. Poetry recitals and performances, poetry exhibitions, and the 4th Cho Tae-il Literary Award Ceremony will be held.


At the literary festival, poet Kwon Hyuk-so and the children of Gokseong recite a poem in memory of poet Jo Tae-il. In addition, novelist Son Byung-hyeon, a disciple of poet Jo Tae-il, becomes a guest of the story and introduces an anecdote related to poet Jo Tae-il during his school days.


The local music group 'Damso' presents a performance with a poem by Poet Cho. There will also be celebration stages by baritone Seong-cheol Hwang and soprano Hyun-jin Lim, such as ‘Oh Solemio’, ‘Song of Toast’, and ‘Song of Friendship’.


A commemorative poetry exhibition is held in the area around the Jo Tae-il Poetry Literary Museum. More than 50 poems by poets from all over the country are on permanent display, including representative works of poet Jo Tae-il and works of poets who have won the Cho Tae-il Literary Award, such as Nam-Jun Park, Tae-Soo Son, and Dae-Heum Lee.


The 4th Cho Tae-il Literary Award was awarded to the poet Song Kyung-dong's 'I'm Falling Down With a Sound of Dreaming (Changbi Gan'). The winner will be awarded a plaque and 20 million won in prize money, along with an engraving of Jeong Byeong-rye, a sculptor who engraved Cho’s representative poem, “National Poetry,” as a prize.


The Cho Tae-il Literary Award was judged on the collections of poems received through public competition and recommendation from May 1 to June 30. Ko Young-seo (poet), Kim Cheong-woo (poet, literary critic), Lee Eun-gyu (poet), Lim Heon-yeong (literary critic), Kwak Jae-gu (poet), and Park Nam-joon (poet) participated.


The jury said, “How much horizontal link does the literary spirit of poet Jo Tae-il touch? In addition, we looked at how well the literary practicality of a living poet without losing the spirit of the times is guaranteed. It took a very long time to look through the 12 volumes of poetry, but compared to that, the time for the judges to choose the award winners was very short.”


Meanwhile, poet Song Kyung-dong said, "I'm afraid that I will be able to bear the name Jo Tae-il. For our land, our heavens, and our melodies that are still divided, 'to add shimmering blood, worn out flesh and empty bones' It even makes you anxious. After receiving this award, it is dark in front of my eyes as to how I will live my life again. In the end, if I had to carry the burden of being Jo Tae-il like this, no matter where I fell, I would walk down this path given no regrets as a single little grass seed.”


Poet Song Gyeong-dong was born in 1967 in Beolgyo, Jeollanam-do. She started her work in 2001 with 'Writers Who Open Tomorrow' and 'Practical Literature'. Her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her collection of poems 'Guljam' (2006), 'Answering trivial questions' (2009), 'I'm not Korean' (2016), and a collection of prose 'The Dreamer, Get Caught' (2011).


1992-2004 Guro Labor Advisory Association, 2008 Kiryung Electronics Temporary Workers Engineering Captain, 2009 Yongsan Demolition Accident Fact-finding Criminal Countermeasures Committee, 2014 Joint Situation Office Director of the ‘Eul-eul People’s Referendum’ to stop the corruption of labor laws, 2014 Sewol Ferry People’s Association, Culture He worked as an artist overtime, as the mayor of a camping village in Gwanghwamun from 2016 to 2017, and as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Blacklist Facts Committee in 2017.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permanent worker at the Ikcheon Cultural Foundation, a member of the Ikcheon Cultural Foundation, a member of the operation committee of irregular workers' house, and a member of the planning committee of Indraman, a social solidarity shelter.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전남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