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탄희 의원, 민사배심제법 대표발의

법원 접수 소송 72.3% 민사, 민사재판도 국민의 눈높이 필요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 기사입력 2022/01/28 [15:43]

이탄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용인정)은 28일(금), <민사배심제법(국민의 민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탄희 의원은 “국민참여 재판이 도입된 지 14년째지만 형사에만 적용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며,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을 회복하고 신뢰받는 법원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국민참여 재판을 민사로 확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국민참여 재판이 민사재판에까지 확대되면 사법부의 신뢰 회복은 물론 재판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참여 재판은 국민이 재판절차에 참여하는 것을 독려하는 세계적 추세와 국민의 사법 참여 열망에 힘입어 2008년 도입됐다. 하지만 형사재판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며 참여 재판의 본래 취지가 반감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실제 2020년 기준 법원에 접수된 소송사건은 667만9,233건인데 이중 민사사건이 482만9,616건으로 전체 사건의 72.3%를 차지했다. 반면 형사사건은 151만6109건으로 22.7%에 불과했다.

 

국민의 눈높이로 재판한다는 참여 재판의 본래 취지가 실제로 구현되려면 국민이 일상에서 주로 접하는 민사재판에까지 참여재판 제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의원의 생각이다.

 

이미 2018년 사법발전위원회는 “국민참여 재판 제도의 장점은 민사재판절차에서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집단적 분쟁 등 제한된 영역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했으며 김명수 대법원장도 인사청문회 당시 “국민참여 재판을 민사재판에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이탄희 의원은 “국민참여 재판이 도입된 지 14년째지만 형사에만 적용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며,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을 회복하고 신뢰받는 법원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국민참여 재판을 민사로 확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resentative Lee Tan-hee, representative of <Civil Jury Law>

72.3% of lawsuits filed in court Civil and civil trials also need the public's eye

 

Representative Lee Tan-hee (Democratic Party, Yongin-jeong, Gyeonggi-do) proposed the <Civil Jury System Act (People's Participation in Civil Trial)> on the 28th (Fri).

 

If the participatory trial is extended to civil trials, it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restoring the trust of the judiciary and enhancing the transparency of the trial.

 

The public participation trial was introduced in 2008 thanks to the global trend of encouraging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judicial process and the public's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judicial process. However, it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limited to criminal trials and halving the original purpose of participatory trials.

 

In fact, as of 2020, there were 6,679,233 lawsuits filed with the court, of which 4,829,616 civil cases accounted for 72.3% of the total cas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1,516,109 criminal cases, accounting for only 22.7%.

 

In order for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articipatory trial to be judged at the level of the people in reality, it is the opinion of Rep. Lee that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should be expanded to cover civil trials that the public mainly encounters in their daily life.

 

In 2018, the Judicial Development Committee already said, “The merits of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can be expected in civil trial procedures, 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 to limited areas such as collective disputes.” We will consider how to introduce it,” he said.

 

Rep. Lee Tan-hee said, “It has been 14 years since the participatory trial was introduced, but it has limitations such as being applied only to criminal cases. ” he insisted. hpf21@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