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이슬람 원리주의 상징 지하드의 참 의미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2/04 [22:44]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지하드의 어원은 아랍어 자흐드(Jahd)에서 유래했다. 자흐드는 “노력” 이라는 뜻으로 흔히 이를 ‘성전(聖戰)’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노력이라는 뜻의 아랍어 자흐드(Jahd)가 지하드(Jihad)로 변모된 것은 우선 이슬람의 국제질서관(國際秩序觀)을 이해해야 한다. 본래 자흐드가 아닌 지하드는 아랍어로 고투 혹은 분투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성전(Holy War)은 지하드에 포함되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지하드가 곧 성전이라고 하는 것은 전혀 다른 해석이다. 이러한 세속적인 지하드가 아닌 라마단 기간에 해 떴을 때 욕구를 참고 금식을 하는 것도 영적인 지하드, 영속적인 지하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속적인 지하드의 일부가 전쟁이라는 것은 국제적인 대외관계 문제와 직결되어있고 이러한 세속적인 지하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슬람이 바라보고 있는 국제관을 생각해야 한다. 

 

이에 따른 이슬람의 국제관은 출현한 초기부터 그들의 세계를 이슬람 방식의 정의가 실현된 ‘이슬람의 영역(Darul Islam)’ 과 비(非) 이슬람의 질서가 공존하는 ‘전쟁 영역(Darul Habr)’ 으로 나누어 판단하였고 그들과의 대응관계를 모색하면서 결정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슬람의 영역 안에서도 무슬림 공동체와 무슬림이 아닌 ‘피 보호민(Ahlul Jimma)’의 공동체로 구성되어지며, 피 보호민들은 이슬람 정복지에서 이슬람 율법을 존중하며 인두세(지즈야)를 내는 대가로 생명과 재산의 보호를 받으며 자신들의 신앙과 법률을 지켜나간 자들이었다. 무슬림의 관점에서 이들 피 보호민은 언젠가는 병합해야 하는 대상이었는데, 그 병합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이 전쟁과 평화적일 수도 있는 지하드였던 것이다. 

 

이슬람에서 지하드는 이슬람 세계와 비(非) 이슬람 세계의 관계를 처리하기 위한 시소 역할을 하는 수단이었다. 또한 단순히 종교적인 면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간 생활 전반에 걸쳐 자신이 처한 상황을 개선하려는 모든 노력도 지하드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노력의 예시로 학생이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 사회 안에서 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 자신의 종교적 신념에 합일된 생활을 하려고 노력하는 것, 자신의 직업에 충실하게 임하는 것 등의 생활상의 개선 의지 및 노력 등등이 지하드 중 하나이다. 그렇다고 이슬람이라고 해서 모두가 지하드를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수니파에서는 지하드를 교리에 넣지 않지만 카라지(Khariji) 파에서는 교리에 포함된다. 이슬람 대다수를 차지하는 수니파는 지하드를 격려하면서도 원래 실천 의무는 개인 차원의 의무 사항이기에 개인 차원과 집단 차원의 이중적 성격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무슬림들이 꼭 수행해야 할 의무도 아닌 지하드를 일반 무슬림들의 종교적 실천 의무로 규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다수 정통파의 주장을 따라 이슬람의 종교적 실천 의무는 5가지, 혹은 이슬람의 다섯 기둥으로만 한정되고 지하드는 그 의무에서 제외된다. 소수파인 시아파의 경우 지하드를 실천 의무로 간주하고 행한다고 하면서 오늘날까지 그 수행을 강력히 촉구하는데, 여기서는 지하드를 알라에 가까이 가기 위한 정신적 지하드인 대(大) 지하드와, 전쟁수단에 의한 소(小) 지하드로 나누고, 종교 신앙적 가치로 보았을 때 대(大) 지하드가 소(小) 지하드보다 훨씬 높다고 주장하고 있다. 무슬림에 의하면 이슬람교 역시 평화와 건설을 사랑하는 종교이지 결코 전쟁과 파괴를 지향하는 종교는 아니다. 이러한 이슬람에는 순종은 물론 평화의 의미도 있다고 한다. 평화를 추구하는 이슬람교는 신앙을 칼로 강요하지 않으며 신앙의 자유를 설교하고 있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이는 중세의 기독교 신학자들이 이슬람교를 추하고 호전적인 종교로 매도하기 위해 “한 손에 꾸란, 한 손에 칼” 을 지침으로 삼는다고 비난했을 뿐, 이슬람교는 근본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종교라는 것이다. 

 

그러나 무슬림들은 결코 전쟁을 회피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른 어떤 종교의 신도들 못지않게 포교를 위한 전쟁에 적극적이었다. 그들은 포교를 위한 전쟁을 성전(지하드)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의 성전 개념은 기독교의 십자군 개념과 유사했다. 이른바 기독교도들인 스페인의 “재정복” 과 200여 년에 걸친 십자군 전쟁에서의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그들의 전쟁을 흔히 성전으로 미화했다. 물론 전쟁만큼 야만적인 행위는 없지만 인류는 신의 이름으로 무수한 전쟁을 해왔고 또 신의 이름으로 전쟁을 미화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신의 이름을 빙자하여 전쟁의 명분과 정당성을 찾던 기존 종교와는 달리 이슬람은 다르 알 하릅(Dar al-Harb)이라는 명목으로 확장시키거나 이른바 이교도의 위험에서 이슬람을 지키기 위한 반드시 필요한 종교 전쟁이다. 성인 남성은 필요하다면 반드시 참여해야하지만 충분한 숫자가 채워지면 파르드 알 키파야(Fard al-Kifayah)라는 공동체의 의무가 나타난다.

 

지하드는 그들 모두 참전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야 하는 의무 또한 아니다. 지하드에 관한 또 하나의 중요한 전제조건은 지하드가 발발될 경우, 성공에 대한 합리적인 전망이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순나(Sunnah)에 따르면, 불신자들을 믿음으로 불러야만 지하드는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되며, 또한 질서가 잡혔을 때, 다시 말해 불신자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이슬람 통치에 순종하여 이슬람 내부에서 보호를 받는 경우, 이슬람에 더 이상 위협이 되지 않는 부분과 판단에 한하여 지하드는 종결된다. 그리고 무슬림에 반대하여 지하드를 일으킬 수 없다. 그러나 서구 열강 식민지 시대에 많은 이슬람 국가들이 비(非) 무슬림의 지배하에 있거나 이슬람 법에서 보면 비정상적인 공동체 상태로 남아있을 때, 이슬람이 허용되고 이슬람 공동체 안에 이슬람의 고유한 제도가 금지되지 않는다면 지하드도 정당화할 수 없다. 

 

그러나 특정 지도자들의 이익이나 이해관계를 위해 기회주의적으로 지하드를 외치는 것은 그것이 상황을 호전시키고 산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하더라도 종교 권위자들로부터 일반적인 지지를 받은 적은 없다. 그리고 이러한 합법적이고 진정한 지하드에서 전사한 교인들, 물론 이것을 결정하는 법이나 교리들은 다소 복잡하나 이들을 공통적으로 순교자(Shuhada)로 여기며 이 순교자들은 특별한 이익을 갖게 되면서 낙원으로 직행한다. 하와리즈 파는 지하드를 이슬람의 6번째 신앙의 기둥으로 정하였고, 오늘날 그 분파인 이바디(Ibady)파도 그렇게 여기고 있다. 

 

한편, 지하드는 열두 이맘 시아파에게 있어 "숨은 이맘"이 부활할 때까지 교리상 불가능하다. 이는 사라진 12번째 이맘이 지하드를 선포할 수 있는 권위자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단순한 정치 전쟁과는 달리, 진정한 지하드는 메카 인에 대항하여 싸웠던 이슬람의 초기 전투 이후로 좀처럼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 진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True Meaning of Jihad, the Symbol of Islamic Fundamentalism

Columnist Jeong Gil-seon

 

The etymology of Jihad comes from the Arabic word Jahd. Jahd means “effort,” and it is often perceived as a “holy war.” If so, the transformation of Jahd, the Arabic word for effort, into Jihad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Islam’s view of international order. Originally, Jihad, not Jahd, meant struggle or struggle in Arabic. Therefore, although Holy War is included in Jihad, it is a completely different interpretation to say that Jihad is the same as Holy War. Fasting during Ramadan, which is not a secular Jihad, can also be considered a spiritual Jihad, an eternal Jihad. The fact that some of this secular jihad is war is directly related to international relations issues,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is secular jihad, we must first consider the international view that Islam views.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view of Islam, from the beginning of its emergence, has divided their world into the ‘Islamic realm (Darul Islam)’ where Islamic justice is realized and the ‘War realm (Darul Habr)’ where non-Islamic order coexists, and it seems that it was decided while seeking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them. Even within the Islamic realm, it is composed of a Muslim community and a community of non-Muslim ‘protected people (Ahlul Jimma)’, and the protected people were those who respected Islamic law in the Islamic conquered lands and paid the poll tax (jizya) in return for receiving protection of their lives and property and protecting their faith and laws. From the Muslim perspective, these protected people were targets that had to be annexed at some point, and the method to achieve that annexation was war and jihad, which could be peaceful.

 

In Islam, jihad was a means of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lamic world and the non-Islamic world. Also, it is not limited to the religious aspect, but all efforts to improve one's situation in all aspects of human life can be jihad. Examples of such efforts include the will and efforts to improve one's life, such as a student studying hard, maintaining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society, trying to live in accordance with one's religious beliefs, and being faithful to one's job.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ll Muslims recognize jihad. While Sunnis do not include jihad in their doctrine, Kharijis include it in their doctrine. Sunni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Muslims, encourage jihad, but they argue that it is unfair to define jihad as a religious practice for general Muslims, since the original duty to practice it is an individual duty, and it has a dual nature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and it is not a duty that all Muslims must perform. As a result, the religious practice obligations of Islam are generally limited to five, or the five pillars of Islam, following the claims of the majority orthodoxy, and jihad is excluded from the obligations. In the case of the minority Shia, they consider jihad as a practice obligation and strongly urge its performance to this day, dividing jihad into great jihad, a spiritual jihad to get closer to Allah, and small jihad by war, and claiming that great jihad is much higher than small jihad in terms of religious faith value. According to Muslims, Islam is also a religion that loves peace and construction, and is by no means a religion that pursues war and destruction. They say that Islam, which pursues peace, has the meaning of peace as well as obedience. They claim that Islam, which pursues peace, does not force faith with the sword, but preaches freedom of faith. This means that while medieval Christian theologians criticized Islam as a religion that is ugly and warlike, using “the Quran in one hand, the sword in the other” as a guideline, Islam is fundamentally a religion that loves peace. However, Muslims never avoided war. Rather, they were as active in wars for proselytization as believers of any other religion. They called wars for proselytization jihad. Their concept of jihad was similar to the concept of the Christian crusades. Their wars were often glorified as holy wars, as can be seen in the so-called “reconquest” of Spain by Christians and the 200-year-long crusades. Of course, there is no act as barbaric as war, but mankind has waged countless wars in the name of God and has glorified wars in the name of God. However, unlike existing religions that sought justification and legitimacy for war in the name of God, Islam expands under the name of Dar al-Harb or is a religious war that is absolutely necessary to protect Islam from the danger of the so-called infidels. Adult males must participate if necessary, but when a sufficient number is met, the community duty called Fard al-Kifayah appears. Jihad is not a mandatory duty, as it is not mandatory for all of them to participate. Another important prerequisite for jihad is that there must be a reasonable prospect of success if it is launched. According to the Sunnah, jihad is legitimate only when the disbelievers are called to faith, and when order is established, that is, when the disbelievers convert to Islam or obey Islamic rule and are protected within Islam, jihad ends only to the extent that it no longer poses a threat to Islam and is judged to be so. And jihad cannot be launched against Muslims. However, when many Muslim countries were ruled by non-Muslims or remained in an abnormal community state under Islamic law during the colonial period of Western powers, jihad cannot be justified if Islam is allowed and its own institutions are not prohibited within the Muslim community.

 

However, opportunistic calls for jihad for the benefit or interests of certain leaders, even if they improve the situation and have been sporadic, have never received general support from religious authorities. And the believers who died in this legitimate and genuine jihad, of course the laws and doctrines that determine this are somewhat complicated, but they are commonly considered martyrs (Shuhada) and these martyrs receive special benefits and go straight to paradise. The Hawarij sect has established jihad as the sixth pillar of Islam, and its offshoot, the Ibadhi sect, also considers it that way today.

 

On the other hand, jihad is doctrinally impossible for the Shiites of the Twelve Imams until the "hidden imam" is resurrected. This is because the disappeared 12th imam is the authority to declare jihad. Unlike this simple political war, it seems that genuine jihad has not appeared since the early battles of Islam against the Meccans.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