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2심 17년형 받은 정명석 목사, 대법원에 상고...“무죄희망 기도운동"

“JMS 교단 내부적으로는 기도운동을 통해, 정명석 목사의 무죄(無罪)를 기원”

문일석 발행인 | 기사입력 2024/10/17 [10:26]

지난 10월2일, 기독교복음선교회(세칭 JMS) 정명석 목사 항소심(2심)에서 재판부는 정명석 목사에게 17년형을 선고했다. 중형(重刑)이다. 이에 따라 정명석 목사는 수감상태로 돌입됐다. 기독교복음선교회는 정명석 목사가 창립한 새 종교. 정명석 목사가 성폭형 혐의로 구속된 이후 이 교단은 시위 등을 이용한 길거리 투쟁, 번호사를 고용한 사법 투쟁을 병행했다. 교단 내부적으로는 기도운동을 통해, 정명석 목사의 무죄(無罪)를 기원하고 있다.

 

정명석 목사가 2심(항소심)판결에서 17년형이라는 중형을 선고를 받은 이후, 이 교단의 내부는 어떤 상태일까? 일부 교인들의 이탈(離脫), 탈교(脫敎) 현상이 이어질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니면, 그 반대로, 이 사건을 계기로, 교단-교인들이 단합(團合)-쇄신(刷新)-치유(治癒)해서, 폭발적인 교인 증가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대반전(大 反轉)이 일어날 수도 있다. 기독교복음선교회는 그동안 세계 70여개 국가에 선교, 한국산(韓國産) 종교로서 활기차게 세계종교를 지향해왔다. 이를 계기로, 종교적인 기적(奇蹟)이 일어나 세계종교로 확실한 기반을 다질 수도 있다. 영험(靈驗)한 종교의 세계에서는 시시때때로 이적(異蹟)이 동반하기 때문이다.

 

정명석 목사 항소심 과정에서 기획고소 정황과 유일한 물증인 녹음파일의 조작 근거가 드러났었다. 그러함에도 재판부가 무죄가 아닌 17년형이라는 중형을 선고, 이 교단 전체를 침울한 분위기로 전환시켰다. 정명석 목사 중형선고 이후 “기독교복음선교회(JMS) 내부 기류는 어떠할까?”를 추적해봤다.

 

▲ 기도하는 정명석 목사.    ©브레이크뉴스

 

우선 법적인 후속조치로는 정명석 목사 변호인 측이 2심 판결 결과에 불복, 지난 10월8일 대법원에 상고했다.

 

기독교복음선교회 선교회의 한 관계자는 “교단 2인자’ 김 아무개의 대법원 상고가 기각되고, 다른 재판이 이어지는 등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2인자로 알려져온 김 아무개는 오랫동안 자신을 중심으로 한 체제를 공고히 해왔고 비리가 드러나자, 이를 감추기 위해 정명석 목사에게 누명을 씌우면서 반란을 일으켜 선교회 교인들을 충격에 빠뜨렸다”면서 “현재 선교회는 영육으로 온전함에 이르는 40일 회개 기도의 조건을 세우면서 각 지역 교회와 함께 충남 금산군 소재 자연성전에서 전도 행사를 여는 등 선교에 매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종교 단체이니만큼, 전 교인들이 참여한 기도운동으로 하나님의 가호(加護)를 바라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정명석 목사 항소심 판결은 전형적인 성인지감수성에 의거한 재판으로 고소인들의 말뿐인 증언을 그대로 인정했다는 평가다. 추가기소 사건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된 검찰의 주요 공소사실인 ‘선교회 교리에 의한 항거불능’은 기성 기독교 교단 시각에서 선교회 주요 교리를 왜곡되게 해석한데다 실제 선교회 교리와 큰 차이가 있다”면서 “고소인의 일기장과 메모엔 이들이 선교회 입교 후에도 교리와 어긋나는 행동을 자유롭게 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있다. 검찰 공소사실의 모순점을 드러내는 결정적인 부분임에도, 재판부는 이 같은 고소인들의 상황이 오히려 그들이 구원을 갈망케 하여 항거불능상태로 만든 것”으로 해석했다.

 

이어 “항소심 선고 결과를 볼 때 원심에서와 마찬가지로 항소심 재판부 역시 무죄추정의 원칙과 증거재판주의에 의한 공정한 재판이 아닌, 넷플릭스 <나는 신이다> 방영 이후 선교회와 정명석 목사에 대해 사회에 팽배해 있는 부정적 여론의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이로 인해 21세기에 말도 안 되는 중세시대 마녀사냥, 종교재판이 이뤄졌다는 것이다”고 강조하고 “선교회 교인들이 가장 공분하는 부분은 홍콩국적 고소인이 유일하게 제출한 물증인 녹음파일이 증거능력을 상실한데 그친 부분이다. 정명석 목사 변호인은 고소인과 반(反)JMS활동가가 공모해 녹음파일을 편집·조작했다고 주장해왔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이 부분은 인정하지 않았다”고 하소연 했다.

 

▲ 충청남도 금산군 월명동의 자연성전에 모인 기독교복음선교회 교인들. ©브레이크뉴스

 

지난 10월2일 정명석 목사 항소심 선고 직후의 기독교복음선교회 교인협의회 입장문에 의하면,  해당 녹음파일은 국내 소리규명연구소와 미국 USA 포렌식 연구소 등 전문감정기관에서 감정한 결과, 제3자의 목소리가 50군데 발견됐다. 또 고소인이 주장하는 사건 현장이 아닌, 50미터 떨어진 다른 장소의 물소리와 전기 장치 소리, 마우스 클릭소리까지 포착돼 통상적 녹음이 아닌 편집·조작된 파일임이 드러났다. 고소인의 기획고소에 관여한 전 선교회 교인 L씨가 법정에 2차례에 걸쳐 제출한 카카오톡 대화 자료에선 고소인들이 반(反) JMS활동가 및 기성 교단 목사와 금전을 목적으로 사전 모의를 했고, 계획적으로 녹음을 해 왔으나 성폭행 증거로 적당하지 않다는 점을 인정한 내용이 있었다. 정명석 목사 항소심 재판부에선 지난 9월 결심공판에서 L씨의 내용증명을 ‘중요한 자료 같다’며 증거로 채택했음에도 충분한 심리를 거치지 않았고 최종 항소심 판결에도 이를 전혀 반영하지 않아 선교회 교인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고, 교단 내부의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기독교복음선교회 교인협의회측은 “2023년 방영된 넷플릭스 <나는 신이다>의 왜곡보도를 바로 잡기 위해 미국 넷플릭스 본사를 대상으로 소송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정명석 목사 항소심 선고에서 녹음파일의 증거능력이 부정되었고 국내외 감정기관에서 편집·조작이 드러난 가운데, 기독교복음선교회 교인들은 대법원으로부터의 승소(勝訴)를 기대하며, 40일 회개 기도 등 '기도운동'에 매진하고 있다.

 

종교 단체들의 경우, 외부에서의 탄압(彈壓)이 극대화되면, 내부적으로 뭉치는 기도(祈禱)운동이 이어진다. 기독교복음선교회 역시 마찬가지이다. 극심한 고난(苦難)의 뒤에 다가올 희망을 구(求)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사이트인 '뤼튼'은 개신교 역사에 있었던 기도운동에 대해 “개신교 역사에서 기도운동은 신도 부흥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었다. 17세기 중반, 영국의 청교도들은 기도를 통해 영국의 개신교 부흥을 이뤄냈다. 기도를 통해 공동체의 연합과 힘을 다졌다. 18세기 중반, 미국의 제1차 대각성 운동은 조지 화이트필드와 같은 설교자들이 기도와 회개를 강조하며 대각성 운동을 이끌었다. 이 운동은 많은 사람들을 개신교로 회심하게 하고, 미국 전역에 신앙의 부흥을 가져왔다”면서 “한국에서도 기도운동이 이어졌다. 20세기 초, 한국의 개신교는 기도회를 통해 많은 사람들을 기독교로 이끌었다. 특히 1907년 평양의 대부흥 운동은 기도를 통한 큰 부흥의 사례로 남아 있다. 기도운동이, 공동체의 단합과 신앙의 회복에 크게 기여했다”고 답했다.

 

기독교복음선교회가 정명석 목사 사건의 계기로 기도운동을 벌이는 것은 교단의 단합, 교단 내부의 신앙 회복(回復)에 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또한 정명석 목사가 고령(高齡=1945년 생)인 점을 감안, 포스트 정명석(교단의 미래지도자) 대안(代案) 찾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월동명 자연 성전에 세워진 예수상.   ©브레이크뉴스

[후기]정명석 목사의 사역(使役) 가운데 최대의 역작(力作)은 충남 금산군 월명동에 세워진 야외성전이다.

 

그 규모는 47만평. 일본의 기독교 사상가 우찌무라 간조의 무교회사상이 현실화 됐다.

 

하나님의 창조 공간인 야외에서 예배를 볼 수 있게 만든, 대규모 야외(野外) 성전이기 때문이다.

 

정명석 목사는 이 야외 성전에 예수의 조각상(彫刻像)을 배치했다. 이는 본인이 예수를 믿고 따른다는 의지를 담았을 것. 정명석 목사는 자신이 예수의 추종자임을 과감하게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

 

moonilsuk@naver.com

 

*필자/문일석. 시인. 신문사(본지) 발행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astor Jeong Myeong-seok, sentenced to 17 years in the second trial, appeals to the Supreme Court... “Prayer movement for hope of innocence”

“Internally in the JMS denomination, through prayer movements, we pray for the innocence of Pastor Jeong Myeong-seok”

- Moon Il-suk, publisher of the newspaper

 

On October 2, in the appeal trial (second trial) of Pastor Jeong Myeong-seok of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commonly known as JMS), the court sentenced Pastor Jeong Myeong-seok to 17 years in prison. It is a heavy sentence. Accordingly, Pastor Jeong Myeong-seok is now incarcerated.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is a new religion founded by Pastor Jeong Myeong-seok. Since Pastor Jeong Myeong-seok was arrested on charges of sexual assault, the denomination has engaged in street protests and legal battles using number agents. Internally in the denomination, we pray for the innocence of Pastor Jeong Myeong-seok through prayer movements.

Pastor Jeong Myeong-seok was sentenced to a heavy sentence of 17 years in the second trial (appeal). After the sentencing, what is the state of the church internally? It is estimated that some of the church members will continue to leave and defect. Or, on the contrary, it is estimated that this incident could lead to the church and its followers uniting, reforming, and healing, which could lead to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llowers.

A great reversal may occur.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has been actively pursuing a world religion as a Korean religion by doing missionary work in over 70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may be an opportunity for a religious miracle to occur and solidify the foundation for a world religion. This is because in the world of spiritual religions, miracles sometimes accompany them.

During the appeal trial of Pastor Jeong Myeong-seok, the circumstances of the planned lawsuit and the fabrication of the recording file, the only evidence, were revealed. Despite this, the court sentenced Pastor Jeong Myeong-seok to a heavy sentence of 17 years in prison instead of not guilty, casting a gloomy mood on the entire church. We investigated “what is the internal atmosphere of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JMS) after Pastor Jeong Myeong-seok’s heavy sentence?”

 

First, as for legal measures, Pastor Jeong Myeong-seok’s defense team appealed to the Supreme Court on October 8, dis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he second trial.

An official from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Missionary Society said, “The church’s second-in-command, Kim, has been suffering from bad news such as the Supreme Court’s dismissal of his appeal and other trials being held. Kim, known as the second-in-command, has long solidified the system centered around him, and when corruption was revealed, “In order to hide it, they falsely accused Pastor Jeong Myeong-seok and caused a rebellion, shocking the members of the missionary society,” he explained. “Currently, the missionary society is dedicated to missionary work, such as holding an evangelistic event at the Natural Temple in Geumsan-gun, Chungcheongnam-do, with each local church while setting the condition of a 40-day repentance prayer that leads to spiritual and physical perfection.” As a religious organization, they explained that they are hoping for God’s protection through a prayer movement in which all members participate.

This official said, “The appeal trial verdict for Pastor Jeong Myeong-seok is a typical trial based on adult sensibility, and it is evaluated that the plaintiffs’ memorandum was accepted as is. The prosecution’s main claim, ‘inability to resist due to the doctrine of the missionary society,’ which was also commonly applied to the additional indictment case, is a distorted interpretation of the main doctrine of the missionary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ed Christian denominations,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from the actual doctrine of the missionary society.” “The plaintiffs’ diaries and notes reveal that they freely engaged in actions that went against the doctrine even after joining the missionary society. Although this is a crucial part that reveals the contradiction in the prosecution’s indictment, the court interpreted that the plaintiffs’ situation “rather made them yearn for salvation and rendered them unable to resist.”

He continue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ppeals trial, just like the original trial, the appellate court was also influenced by the negative public opinion that has been prevalent in society about the church and Pastor Jeong Myeong-seok since the airing of Netflix’s <I Am God>, rather than conducting a fair trial based on the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and the principle of evidentiary trial. This has led to an absurd medieval witch hunt and religious trial in the 21st century.” He emphasized, “The part that the church members are most outraged about is that the only physical evidence submitted by the plaintiff, a Hong Kong citizen, was the recording file, which lost its evidentiary value. Pastor Jeong Myeong-seok’s attorney has argued that the plaintiff and anti-JMS activists conspired to edit and manipulate the recording file, but the appellate court did not acknowledge this part.”

According to a statement from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Church Members' Council immediately following the October 2nd appeal trial verdict for Pastor Jeong Myeong-seok, the recording file in question was analyzed by professional authentication agencies including the Sound Identification Research Institute in Korea and the USA Forensic Research Institut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voices of third parties were found in 50 places. In addition, the sounds of water, electrical devices, and mouse clicks were captured from a different location 50 meters away than the scene of the incident claimed by the plaintiff, revealing that it was an edited and manipulated file rather than a regular recording. In the KakaoTalk conversation data submitted to the court twice by former church member L, who was involved in the plaintiff's planned lawsuit, there were contents in which the plaintiffs admitted that they had conspired in advance with anti-JMS activists and pastors of established denominations for money and had been recording intentionally, but that it was not suitable as evidence of sexual assault. The appeal trial of Pastor Jeong Myeong-seok accepted Mr. L’s certified content as evidence in the final trial last September, saying it was “important material,” but it did not undergo sufficient examination and was not reflected at all in the final appeal decision, which is causing strong opposition from church members, according to the atmosphere within the denomination.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Church Members’ Council stated, “We are currently in the process of filing a lawsuit against Netflix headquarters in the United States to correct the distorted reporting of Netflix’s <I Am God> aired in 2023.”

While the evidentiary value of the recorded file was denied in the appeal trial of Pastor Jeong Myeong-seok and editing and manipulation were revealed by domestic and foreign appraisal agencies, church members of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are devoting themselves to prayer movements in anticipation of a victory in the Supreme Court.

In the case of religious groups, when external oppression is maximized, internal prayer movements continue.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is no different. Seeking hope after extreme hardship.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site 'Luton' responded to the prayer movement in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by saying, "In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the prayer move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vival of believers. In the mid-17th century, the Puritans of England achieved a Protestant revival in England through prayer. They strengthened the unity and strength of the community through prayer. In the mid-18th century, the First Great Awakening in the United States was led by preachers such as George Whitefield, who emphasized prayer and repentance. This movement converted many people to Protestantism and brought about a revival of faith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The prayer movement continued in Korea as well.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Protestantism led many people to Christianity through prayer meetings. In particular, the great revival movement in Pyongyang in 1907 remains as an example of a great revival through prayer. The prayer movement greatly contributed to the unity of the community and the restoration of faith." We expect that the Christian Gospel Mission's prayer movement in response to the Pastor Jeong Myeong-seok incident will be of great help in uniting the denomination and restoring faith within the denomination. Also, considering Pastor Jeong Myeong-seok's advanced age (born in 1945), it will also contribute to finding an alternative post-Jeong Myeong-seok (future leader of the denomination). 

[Review] The greatest masterpiece of Pastor Jeong Myeong-seok's ministry is the outdoor temple built in Wolmyeong-dong, Geumsan-gun, Chungcheongnam-do. Its size is 470,000 pyeong. The idea of ​​a non-church by Japanese Christian thinker Kanzo Uchimura has become a reality. This is because it is a large-scale outdoor temple that allows worship to be held outdoors, which is God's creation. Pastor Jeong Myeong-seok placed a statue of Jesus in this outdoor temple. This must have been to express his will to believe in and follow Jesus. It can be said that Pastor Jeong Myeong-seok boldly expressed that he is a follower of Jesus.

 

- Statue of Jesus erected in the Wolmyeong Natural Temple. moonilsuk@naver.com

 

*Author/Moon Il-suk. Poet. Publisher of the newspaper (this paper).

 

- Members of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gathered at the Natural Temple in Wolmyeong-dong, Geumsan-gun, Chungcheongnam-do.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 머거니 2024/10/23 [14:44] 수정 | 삭제
  • 친JMS 기자의 쓸모없는 기사!
  • 아리 2024/10/17 [22:08] 수정 | 삭제
  • 참 억울하시겠네요.목사님~ 잘될거에요.화이팅
  • 자두 2024/10/17 [22:05] 수정 | 삭제
  • 마녀사냥,여론재판 맞네요~~ 힘내세요.하나님은 악인의 편이 아닙니다!!!!반드시 실체가 드러날겁니다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