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내가 뭘 잘못했나요?”…계급과 같은 대기업, 중소기업의 이중구조

강채림, 최성진 TM기자 | 기사입력 2022/12/02 [15:48]

최모씨(36)는 이모씨(36)와 둘도 없는 친구였다. 같은 분야, 비등한 스펙의 그들이 취업한 회사는 딱 한 가지만 달랐다. 최모씨가 취업한 회사는 소위 말하는 중소기업이었고 이모씨가 취업한 회사는 대기업으로 분류되는 회사였다. 최모씨는 이모씨 보다 업무 강도가 높았지만, 급여는 적었다. 상여금도 없었고 사내 복지도 미약했다. 이모씨 회사의 작은 정책 변경에도 최모씨의 회사는 휘청거렸다. 잘못한 것은 없지만, 최모씨는 이모씨와 거리감을 느꼈고 왠지 모를 울분이 느껴졌다. 최모씨가 느끼기에, 대한민국 사회에는대기업중소기업이라는 계급이 존재했다.

 

한국 사회엔황금 티켓 신드롬이 만연해 있다. 모두가 명문대 진학, 대기업 취업이라는 일원화된 황금 티켓을 원한다. 실패하면 끝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OECD 한국 경제 보고서 2022(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22)”에서도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과도한 생산성 격차가황금 티켓 신드롬을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 출처 = 산업연구원

 

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1984~1990년 기간에는 100~199명 사업체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가장 높고 200~299명 사업체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가장 낮은것으로 나타난다. 2001~2010년 기간에는 500명 사업체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가장 높고 200~299명 사업체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격차는 심화되었고, 이는 임금 격차로 이어진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300인 이상 근로자의 1월 임금은 역대 최고 수준인 924 8000원을 기록했다. 반면 300인 미만 근로자의 1월 임금은 382 2000원에 그쳤다. ,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임금수준이 모 아니면 도 상황에 취업준비생들은 중소기업 취업을 기피한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으로 쏠린 인재 공급으로 인해 유능한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으며 성장률은 악순환이 지속된다.

 

▲ 자료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한국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두드러진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대기업을 100으로 가정해 중소기업 임금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2002 70.4에서 2018 59.8로 격차가 벌어졌다. 같은 기간 일본은 64.2에서 68.3, 유럽연합은 74.7에서 75.7로 격차가 줄었다.

 

비정규직-정규직 문제도 심각하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도 커지고 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올해 1599000원으로 벌어져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조선업 원·하청 간 이중구조는 지난 30여 년간 누적돼 굳어진 문제이다. 실태를 조사한 결과 하청 근로자의 임금은 원청 근로자의 50∼7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근로일수는 원청 180, 하청 270일로 조사됐다. 하청 근로자는 야근·특근이 잦고 쉬는 날에도 일할 때가 많아 원청 근로자보다 근로 시간이 훨씬 긴 것으로 파악됐다. 하청 근로자들이 원청 근로자들보다 더 일하고도 임금을 덜 받는 것이다.

 

▲ 출처 = 중소기업중앙회

 

이러한 중소기업, 대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 및 임금 격차는 고용 안정성을 위협하며, 이는 다시 생산성 격차와 임금 격차를 심화시킨다. 악순환의 반복이다. 중기중앙회가 주관한중소기업 취업 관련 청년층 인식조사에 따르면 청년 구직자들은 고용 안정성과 관련하여 중소기업 취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2020년 잡코리아의 조사에 따르면, 청년 구직자들의 25.1%중소기업 취업 시 고용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라고 생각했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따르면 중소기업의 54.6%현재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OECD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노동생산성 격차는 노동시장에서의 이중구조로 이어져 임금·안전망·고용 보호 등의 격차를 유발한다고 분석했다. 나아가 이러한 격차가 학벌주의를 초래하고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 노동시장 진입 지체, 결혼·출산 지연 등의 여러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와 고용안정성 격차는 노동력의 이동을 단절시켰고 인적자원의 차이를 만들었다. 이러한 인적자원의 차이는 또 다시 생산성 격차를 재생산하고 있다. 최모씨는 계급과 같은 대기업-중소기업의 이중구조에서 벗어나 보다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이모씨와 다시 친구가 되고 싶다.

 

*필자/대학생 정책연구단체 The Movement(이하 TM). 강채림, 최성진 TM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hat did I do wrong?”… The dual structure of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uch as class

-Kang Chae-rim, Choi Seong-jin, TM reporters

 

Mr. Choi (36) was close friends with Mr. Lee (36). The company where they worked in the same field and with comparable specifications differed only in one thing. The company where Mr. Choi worked was a so-calle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and the company where Mr. Lee worked was classified as a large corporation. Mr. Choi had a higher work intensity than Mr. Lee, but the salary was less. He had no bonuses and his company welfare was meager. Even with a small policy change at Mr. Lee's company, Mr. Choi's company stumbled. He did nothing wrong, but Mr. Choi felt a sense of distance from Mr. Lee and somehow felt resentment. As Mr. Choi felt, there existed a class of 'larg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n society.

 

The ‘Golden Ticket Syndrome’ is prevalent in Korean society. Everyone wants the unified golden ticket of going to a prestigious university and getting a job at a large company. Because if you fail, it's the end. The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22” also pointed out that “the excessive productivity gap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has caused the’Golden Ticket Syndrome’.”

 

▲ Source =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between 1984 and 1990, the rate of increase in labor productivity was the highest for businesses with 100 to 199 employees and the lowest for businesses with 200 to 299 employees. From 2001 to 2010, businesses with 500 employees showed the highest rate of labor productivity growth, and businesses with 200 to 299 employees showed the lowest labor productivity growth rate. As such, the gap in labor productivity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has widened, leading to a wage gap.

 

According to data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January wages for workers with 300 or more employees reached an all-time high of 9,248,000 won. On the other hand, the January wage of workers with less than 300 employees was only 3,822,000 won. The wage gap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is widening. In a situation where the wage level is not at all, job seekers avoid employ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have difficulty recruiting talented people due to the supply of human resources concentrated in conglomerates, and the vicious cycle of growth continues.

 

▲ Source =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Research Institute

 

In Korea, the wage gap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s striking even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The Korea Employers Federation analyzed the wage level of SMEs by assuming that large companies were 100. As a result, the gap in Korea widened from 70.4 in 2002 to 59.8 in 2018. During the same period, the gap narrowed from 64.2 to 68.3 in Japan and from 74.7 to 75.7 in the European Union.

 

The problem of non-regular workers and regular workers is also serious. Not only is the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increasing, but the wage gap with regular workers is also widening.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widened to 1,599,000 won this year, the largest ever. In particular, the dual structure between shipbuilders and subcontractors is a problem that has accumulated and hardened over the past 30 years. As a result of the fact-finding survey, it was found that subcontract workers' wages were only 50-70% of those of prime contractor workers. The average number of working days per year was 180 for the prime contractor and 270 for the subcontractor. It was found that subcontract workers often work overtime and overtime, and often work even on days off, so they work much longer than prime contractor workers. Subcontract workers are paid less than prime workers even though they work more.

 

▲ Source = Korea Federation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The gap in productivity and wages between SMEs and large corporations threatens employment stability, which in turn deepens the gap in productivity and wages. It is a vicious cycle repeating itself. According to the ‘Awareness Survey on Youth Relations to Employment in SMEs’ ​​organized by the Korea Feder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young job seek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employment in SMEs in relation to employment stability. Also, according to a survey by Job Korea in 2020, 25.1% of young job seekers thought that 'employment stability may decrease when working in a small or medium-sized company', and as a result, 54.6%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said that they are 'currently experiencing a shortage of manpower'. also answered.

 

The OECD analyzed that the gap in labor productivity between SMEs and large corporations leads to a dual structure in the labor market, causing gaps in wages, safety nets, and employment protection. Furthermore, he added that this gap is causing academic racism and manifesting as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xcessive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delays in labor market entry, and delays in marriage and childbirth.

 

The gap in wages and job security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s cut off labor mobility and created a gap in human resources. This difference in human resources reproduces the productivity gap again. Mr. Choi wants to become friends with Mr. Lee again in the Korean society where fairer competition takes place, escaping from the dual structure of larg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uthor/University student policy research group The Movement (TM). Kang Chae-rim and Choi Seong-jin, TM reporters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