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해원(解冤): 그대 안녕하신가요?”

서양화가 홍영숙 초대전, 5월 27일부터 6월 9일까지 광화문 내일 갤러리에서 열려

이일영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2/05/28 [13:58]

▲ 홍영숙 artist 전시 포스터   © 내일 갤러리 제공

 

 

서양화가 홍영숙 초대전이 5월 27일 오픈되어 6월 9일까지 광화문 내일 갤러리에서 열린다. 전시는 “해원(解冤): 그대 안녕하신가요?”라는 부제를 품고 있다. 

 

필자는 “원한을 풀다”라는 뜻을 가진 해원(解冤)이 제시된 작가의 전시에 대하여 생각을 매만졌다. 이어 작가의 스승이었던 한국적 추상표현주의를 대표한 선구적인 삶을 살았던 최욱경 화가를 의미한 것임을 헤아렸다. 홍영숙 작가는 스승 최욱경 화가의 열정적인 작업이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한 시대의 아픔이 해원 되기를 기대하며 시대를 건너 화해의 손길을 내미는 의미를 담은 전시임을 알렸다. “해원(解冤): 그대 안녕하신가요?”라는 전시 명칭에 이와 같은 비원과 풍자가 깊숙하게 담겨있다. 

 

해원(解冤)이란, 중국불교 종파 중 하나인 천태종을 세운 천태지자 대사(538-597)의 “원한의 매듭을 풀다”라는 뜻을 품은 법문 해원석결(解冤釋結)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모든 중생의 삶은 다양한 사유가 빚어낸 불만이 쌓이면서 원통한 마음의 매듭이 되어 모든 해악의 근원이기에 이러한 매듭을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불교 선종의 주요 경전인 능엄경 제5권에 이와 같은 마음에 엉킨 매듭인 업(業)을 푸는 내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능엄경은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이르는 만유(萬有)와 모든 만물은 상대적 의존관계인 인연(因緣)에서 형성된다는 이치를 설파한 불교 선종의 주요 경전이다. 

 

참고할 내용은 불교가 중국에 전파된 시기는 기원전(BC) 2년 무렵의 전한 시대였지만, 능엄경은 인도 국에서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엄격하게 보호한 까닭으로 뒤늦게 알려진 것이다. 730년 당나라 시대 승려 지승(智昇)에 의하여 출판된 능엄경에 대하여 다른 경전과 달리 번역 편찬된 명확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아 많은 논란이 있었다.     

 

▲ 홍영숙 作 “움직이는 잔상”. 85x85, cmmixed medium과 다시 부르는 새타령, 50x50cm, mixed medium 

 

홍영숙 작가는 스승 최욱경의 예술성과 정신세계를 바탕으로 치열한 열정을 쏟아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추구한 아티스트이다. 작가가 스승의 예술성이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한 시대의 아픔을 자신의 전시를 통하여 깊은 울림의 풍자로 제시한 의미는 크다. 이는 단순한 사제의 인과성이 아닌 전업 작가인 자신이 미술계의 현실에서 느껴지고 파악되었던 문제의식을 예술인의 관점에서 강하게 담고 있는 까닭이다.    

 

이는 가난한 아티스트의 개인적인 삶의 애환을 앞세운 심적 토로가 아니다. 예술과 사회, 나아가 예술인과 사회적 삶이라는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순과 괴리를 가슴으로 매만진 치열한 예술가의 비통한 심경의 표출이다.   

    

나름 홍영숙 작가의 많은 작품을 살펴온 입장이지만, 여전히 작가의 작품에 대한 해체가 쉽지 않다. 이는 식별되지 않는 추상의 단순성이 아닌 서정과 표현이 어우러진 작가의 작품에 분방한 빛깔과 자유로운 필선의 호흡이 겹겹으로 녹아내린 까닭이다. 

 

작가의 작품을 회화적 관점에서 헤아리면 빛깔과 형태에 내면적인 심리를 응축하여 조형적인 회화를 빚어내는 서정적 추상성을 살피게 된다. 작가의 작품은 이와 같은 시각적 바탕에 소리라는 청각적인 회화성이 겹겹으로 드리워진 독창적인 특성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요하게 살펴지는 내용이 있다. 

 

먼저 작가의 대다수 작품은 여백이 없는 상황을 뛰어넘어 화면에 넘쳐난 회화성이 퇴적된 지층처럼 포개어진 듯한 느낌을 품고 있다. 이를 면밀하게 접근하면 화면에 구성된 주제의 실체가 울림이라는 사실을 매만지게 된다. 이러한 울림은 동적으로 나타나는 생명력을 그려낸 시각적 요소와 무형적인 소리를 울림으로 그려낸 청각적인 의식이 어우러졌다.            

 

이어 살펴지는 특성은 정형화된 캔버스를 벗어난 제스처의 미학이다. 작가의 많은 작품에서 주제의 대상들이 화면을 벗어나 확장되어있는 사실은 주제의 동적인 확장으로 연결된 단순성이 아니다. 작가의 내면에 응축된 갈망이 비명으로 분출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는 표현적인 붓질이거나 행위의 궤적을 뜻하는 제스처주의와 달리 내재한 의식의 액션 적인 울림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해원(解冤): 그대 안녕하신가요?”라는 깊은 울림의 풍자가 제시된 맥락이다.

 

▲ 홍영숙 作 “재밌고 재미난 이야기”. 70x65cm, egg & tempera on canvas & mixed medium와 한내의 노래. 40x30cm. tempera on canvas   


치열한 의식을 품고 짧은 삶을 살다 간 스승 최욱경의 애통함을 시대의 아픔으로 화해시킨 의미는 작가 스스로 현실과의 괴리를 포용한 것이다. 이를 의미하듯 작가의 작품에 한층 더 정제된 어법의 울림이 충만해졌다. 마치 지면보다 낮아지는 현상인 침강처럼 소리의 울림과 빛깔의 침묵이 겹겹으로 침강된 작가의 작품을 깊이 있게 바라보면 빛깔과 소리의 승화된 의식에서 절제된 사유의 감성을 관통한 고독한 예술가의 찬란한 울음이 들려온다. 

 

세상이라는 호수에 저수된 맑은 강물은 산과 들을 씻겨오며 할퀴고 긁힌 생채기의 통증이 흘린 눈물이다. 작가의 작품에 담긴 울림을 어설프게 매만지며 제1회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시인 쉴리 프리돔의 “금이 간 꽃병”의 마지막 구절을 가슴에서 읊조린다. 

 

(맑은 물은 방울방울 새어 나오고/ 꽃들의 향기는 말라 들었다./ 손대지 말라, 금이 갔으니!) 

 

*필자: 이일영

한국미술센터 관장. 칼럼니스트. 시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Haewon (解冤): How are you?”

Invitational exhibition of Western artist Young-sook Hong, from May 27 to June 9 at the Gwanghwamun Gallery tomorrow.

- Lee Il-young, columnist

 

An invitational exhibition of Western artist Youngsuk Hong opened on May 27th and will be held at the Gwanghwamun Tomorrow Gallery until June 9th. The exhibition has the subtitle “Haewon (解冤): How are you?”

 

The author has changed my mind about the artist's exhibition in which Haewon (解冤), which means “resolve grudges,” is presented. Next, I figured out that it meant the artist Choi Uk-kyung, who was the artist's teacher and lived a pioneering life representing Korean abstract expressionism. Artist Hong Young-sook announced that the passionate work of her teacher, painter Choi Uk-kyung, is an exhibition with the meaning of reaching out a hand of reconciliation across the ages in the hope that the pain of an era that has not been properly evaluated will be relieved. The title of the exhibition, “Haewon (解冤): How are you?”, contains such secret wishes and satires deeply.

 

Haewon (解冤) is derived from the word Haewonseokgyeol (解冤釋結), which means “to untie the knot of resentment” of the great master Cheon Taiji (538-597), who founded one of the Chinese Buddhist sects, the Tiantai Order. This means that the life of all sentient beings becomes a knot of bitterness as the dissatisfaction caused by various thoughts accumulates, and it is the root of all evil, so these knots must be untied.

 

Furthermore, in Volume 5 of the Neungeom Sutra, the main sutra of Zen Buddhism, the content of unraveling the tangled knot in the mind occupies a large proportion. The Neungeom Sutra is a major sutra of Zen Buddhism, which preached the principle that all things exist in the universe and that all things are formed through a relationship, a relative dependence.

 

For reference, the period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was during the Pre-Han period around 2 BC (BC), but it was later known because the sutras were strictly protected in India without exposing them to the outside world. Unlike other sutras, there was no clear record of the translation and compilation of the Neungeom Sutra published by Buddhist monk Ji Seung (智昇) in the Tang Dynasty in 730, causing much controversy.

 

▲ Hong Young-sook’s “Moving Afterimage”. 85x85, cmmixed medium and Saetaryeong, 50x50cm, mixed medium

 

Writer Hong Young-sook is an artist who pursues an original world of work through intense passion based on the artistry and spiritual world of her teacher Wook-kyung Choi. It is significant that her artist presented the pain of her time, when her teacher's artistry was not properly evaluated, through her exhibition as a deeply resonant satire. This is because, not just the causality of a priest, but as a full-time artist, he has a strong sense of problem that he felt and grasped in the reality of the art world from an artist's point of view.

 

This is not a psychological discussion that puts the pain of a poor artist's personal life at the fore. It is an expression of the heartbreaking heart of a fierce artist who dealt with the contradictions and gap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ociety, and furthermore, between artists and social life.

 

Although I have been looking at many of Hong's works, it is still not easy to dismantle her works. This is because, in the artist's work that blends lyricism and expression, rather than the indistinguishable simplicity of abstraction, the breath of free-spirited colors and free strokes melted layer by layer.

 

When she considers the artist's work from a pictorial point of view, she examines the lyrical abstraction that condenses her inner psychology into her colors and forms to create formative paintings. Her works have an original characteristic in which the auditory painting called sound is layered on a visual basis like this. In this context, there are some major considerations.

 

First of all, most of her artist's works have a feeling of being overlaid like a layer of sedimentary layers of paintings overflowing the screen, going beyond the empty space. If you approach this closely, you will touch the fact that the reality of the subject on the screen is echo. These echoes are harmonized with visual elements that depict the dynamic life force and auditory consciousness that depicts intangible sounds with echoes.

 

The next characteristic to be examined is the aesthetics of the gesture beyond the standardized canvas. The fact that the subject's objects extend beyond the screen in many of her artist's works is not the simplicity linked to the dynamic expansion of the subject. It contains the message that the condensed longing inside the artist erupts into a scream. Unlike gestureism, which means expressive brushstrokes or the trajectory of an ac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action echo of the inherent consciousness. This is the context in which the deeply resonant satire of “Haewon (解冤): How are you?” is presented.

 

▲ “Fun and interesting story” by Hong Young-sook. 70x65cm, egg & tempera on canvas & mixed medium and Hannae's song. 40x30 cm. tempera on canvas

 

The meaning of reconciling the mourning of the teacher, Choi Uk-kyung, who lived a short life with a fierce consciousness into the pain of the times, is that the artist himself embraced the gap with reality. As if meant by this, the artist's work was filled with the resonance of a more refined language. If you look deeply at the artist's work, where the echoes of sound and the silence of colors are subdued layer by layer, like subsidence, a phenomenon that is lower than the ground, you can see the brilliant cry of a solitary artist penetrating the emotions of restrained thought in the sublimated consciousness of colors and sounds. I hear it.

 

The clear river water stored in the lake called the world is the tears shed from the pain of scratching and scratching as it washes the mountains and fields. He clings to the sound of the artist's work and recites the last line of "Cracked Vase" by the French poet Schily Friedome, who won the 1st Nobel Prize in Literature.

 

(Clear water seeps out drop by drop/ The scent of flowers has dried up./ Don’t touch it, it’s cracked!)

 

*Writer: Lee Il-young

 

Director of the Korean Art Center. columnist. poe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