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사진기자단 = 안철수(왼쪽부터) 국민의당 대선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가 2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코라시아 2021 포럼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11.25 © 뉴시스 |
브레이크뉴스 정명훈 기자= 차기 대선 가상 대결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간 '양강 구도'가 유지되는 가운데 허경영 국가혁명당 후보의 약진이 눈에 띈다.
25일 여론조사전문기관 아시아리서치앤컨설팅은 지난 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8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주자 정례여론조사를 벌였다. 아시아리서치앤컨설팅측은 본지를 조사 결과 최초 보도매체로 지정했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 본선 가상대결에서 윤석열 후보는 45.5%,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37.2%를 기록했다.
윤석열 후보는 지난 11월 11일 발표한 정례조사 대비 1.9%포인트 하락한 반면, 이재명 후보는 2.6%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따라 두 후보는 오차범위 밖인 8.3%p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어 허경영 후보는 4.7%,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3.5%,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2.5%로 집계됐다. 이외에 기타 후보 1.4%, 지지후보가 없다는 응답은 4.2%, 잘모름(무응답)은 1.2%였다.
허경영 후보의 경우, 지난달 조사(2.9%) 대비 1.8%포인트가 오르며 지지율 상승세가 눈길을 끈다.
![]() ▲ 자료 제공 = 아시아리서치앤컨설팅 ©브레이크뉴스 |
대선 공약으로 본 호감도 조사에서도 윤석열 후보 41.2%, 이재명 후보 36.4%로 양강구도가 유지되고 있다. 뒤 이어 허경영 7.0%, 심상정 4.8%, 안철수 3.3%로 집계됐다.
대통령이 된다면 대선공약을 가장 잘 이행할 것 같은 후보를 묻는 질문에선 윤석열 40.3%, 이재명 37.5%, 허경영 5.3% 안철수 4.8% 심상정 4.4%로 나타났다.
대선 성격을 묻는 질문에선 '정권교체론'을 지지하는 응답이 과반을 넘는 53.0%, '정권재집권'을 원하는 응답은 37.3%로, 15.7%포인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지 정당을 묻는 질문에는 국민의힘 38.1%, 민주당 28.0%, 열린민주당 7.1%, 국민의당 6.0%, 정의당 4.0% 국가혁명당 2.7%로 집계됐다.
아울러 지난 21일 진행된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 내용 전반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는지를 묻는 문항에는 '공감하는편'(매우공감 26.7%, 대체로 공감 14.8%)이라는 응답자가 41.5%, '공감하지 않는다'(별로 공감 않음 17.7%, 전혀 공감 않음 34.7%) 54.4%로 부정적으로 보는 응답자가 많았다.
11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일상회복을 위한 위드코로나 방역지침에 대해선 '방역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40.0%로 가장 많았고, 현행 유지 35.6%, 더 완화 19.4%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자동응답(ARS) 조사 (무선전화 RDD 100%)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 ±3.1%포인트에 응답율은 5.2%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Next presidential election virtual competition, Yoon Seok Yeol 45.5% Lee Jae Myung 37.2%...Heo Kyungyoung 4.7%. "Step forward".
Amid the maintenance of a "two-way structure" between Democratic Party candidate Lee Jae-myung and Yoon Seok-yeol, the candidate of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Huh Kyung-young, is drawing attention in the next presidential virtual showdown.
On the 25th, Asia Research & Consulting, a polling agency, conducted a regular poll of 1,018 men and women aged 18 or older nationwide on the 24th, with Yoon Seok-yeol recording 45.5% and Lee Jae-myung of the Democratic Party recording 37.2%. Asia Research & Consulting designated this magazine as the first media outlet as a result of its investigation.
Candidate Yoon Seok-yeol fell 1.9 percentage points from the regular survey released on November 11, while Candidate Lee Jae-myung rose 2.6 percentage points. As a result, the two candidates are showing an 8.3%p gap outside the margin of error.
Candidate Huh Kyung-young was then counted as 4.7%, Justice Party candidate Sim Sang Jung 3.5% and People's Party candidate Ahn Cheol Soo 2.5%. In addition, 1.4% of other candidates, 4.2% of respondents said there was no candidate for support, and 1.2% said they did not know (no response).
In the case of Huh Management, the approval rating is noticeable, rising 1.8 percentage points from last month's survey (2.9%).
In the favorability survey, which was seen as a pledge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two-way structure is maintained at 41.2% for candidate Yoon Seok-yeol and 36.4% for candidate Lee Jae-myung. It was followed by Huh Management with 7.0%, Sim Sang Jung 4.8%, and Ahn Cheol Soo 3.3%.
When asked about candidates who are most likely to fulfill their presidential pledges if they become president, 40.3% of Yoon Seok-yeol, 37.5% of Lee Jae-myung, 5.3% of Heo Management, 4.8% of Ahn Cheol Soo, and 4.4%.
When asked about the natur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53.0 percent of the respondents supported the "government change theory," and 37.3 percent wanted to regain power, showing a difference of 15.7 percentage points.
When asked about the supporting parties, 38.1% of the people's power, 28.0% of the Democratic Party, 7.1% of the Open Democratic Party, 6.0% of the People's Party, 4.0% of the Justice Party, and 2.7% of the National Revolution Party.
In addition, 41.5% of respondents said they sympathized with President Moon Jae In's overall conversation with the public (26.7% very much, 14.8% generally sympathized), and 54.4% said they did not sympathize (17.7% not much, 34.7% not at all).
As for the With Corona quarantine guidelines for daily recovery, which have been in effect since November, 40.0% of the respondents said quarantine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followed by 35.6% of the current maintenance and 19.4% of the easing.
Meanwhile,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automated telephone response (ARS) survey (100% wireless phone RD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ample error is ±3.1 percentage points over the 95% confidence interval, and the response rate is 5.2 percent. For more information, visit the website of the Central Election Public Opinion Review Committ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