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김교흥 의원 '교통 사각지대 해소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 발의

노선∙시간∙횟수, 승객 요청에 따라 대중교통이 미비한 신도시, 출퇴근 수요 집중지역 등에 우선 접목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 기사입력 2021/01/14 [11:13]

더불어민주당 김교흥 국회의원(인천 서구갑, 국토교통위원회)은 14일,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노선폐지 지역, 규제샌드박스 지역 등에서 수요응답형 교통수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김교흥 의원은 “경직적으로 운행할 수밖에 없는 기존 교통수단의 한계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 사각지대를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을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IT기술과 접목된 새로운 형태의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을 통해 교통 편의가 전 국민에게 확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수요응답형 교통수단은 노선·시간·횟수를 여객의 요청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여객을 운송하는 방식이다. 신도시의 경우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이 개통하기까지 오랜 시일이 걸려 입주자의 불편함이 컸다. 출퇴근 시간에 주거 밀집지역에서 역이나 주요 교통거점 등으로 일시적인 수요가 집중돼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많다.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움직이는 버스는 승객이 없어도 운행해야 하는 경직성과 비효율성을 갖고 있어, 출퇴근 시간대와 같이 수요가 불균형한 경우에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어렵다.

 

IT기술이 접목된 형태의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이 도입되면 승객 수요가 있는 곳에 탄력적인 운행이 가능해 기존 교통체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현행법 상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은 농∙어촌 및 대중교통부족지역에만 운영이 가능해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김교흥 의원이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을 대표발의 했다. 그 주요대상은 ①활성화되기 전까지 수요부족 문제가 있는 신도시, ②일시적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교통거점, ③교통 수요가 집중되는 출퇴근 시간대, ④적자노선을 대체하는 경우, ⑤규제실증 특례를 거친 경우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을 통해 기존 대중교통수단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김교흥 의원은 “경직적으로 운행할 수밖에 없는 기존 교통수단의 한계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 사각지대를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을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IT기술과 접목된 새로운 형태의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을 통해 교통 편의가 전 국민에게 확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Below is an English <Full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Rep. Kim Gyo-heung proposes amendment to the Passenger Vehicle Transportation Business Act to eliminate traffic blind spots

Priority grafting of routes, times, and frequencies to new cities where public transportation is insufficient and areas with concentrated commuting demand at the request of passengers

 

In addition, Democratic Party member Kim Gyo-heung (Incheon Seogu-gap, National Land Transportation Commission) said on the 14th, “Passengers with the content of easing requirements so that demand-responsive transportation can be operated in special zones for large-area transportation, routes abolished, and regulatory sandbox areas. A representative proposal was made for a partial amendment to the Automobile Transportation Business Act.”

 

Demand-responsive means of transport is a method of transporting passengers by flexibly operating routes, times, and frequencies according to passengers' requests. In the case of new cities, it took a long time for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and subways to open, causing great discomfort for tenants. During rush hour, temporary demand is concentrated from residential areas to stations or major transportation hubs, causing inconvenience in many cases.

 

A bus that moves according to a set timetable has rigidity and inefficiency that it must run even without passengers, so it is difficult to operate effectively when demand is unbalanced, such as during rush hour.

 

When a demand-responsive transportation method incorporating IT technology is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flexibly operate where there is demand for passengers, thereby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ransportation system.

 

However, under the current law, demand-response transportation can only be operated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and areas with insufficient public transport, so the above problems could not be resolv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p. Kyo-heung Kim proposed a revised bill of the Passenger Vehicle Transportation Business Act. The main targets are: ① new cities with insufficient demand until activation, ② transportation bases where demand is temporarily concentrated, ③ commuting hours where traffic demand is concentrated, ④ replacing deficit routes, and ⑤ demand in case of special cases of regulatory verification Through responsive transporta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blind spot of existing public transportation.

 

 

Rep. Kim Gyo-heung said, “We will be able to resolve the traffic blind spots caused by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ransportation methods that are bound to operate rigidly through demand-responsive transportation.” “A new form of demand response combined with IT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transportation convenience will be expanded to the entire public through the type of transportation.” hpf21@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