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브레이크뉴스) 이학수 기자=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15일 제63주년 3·15의거 기념식 및 제12회 광주3·15의거기념식에서 “63년 전 쟁취한 민주주의가 다시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며 “일본 전범기업은이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2018년 10월 30일 대법원 판결대로 조속히 이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정부의 제3자 변제방식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과 관련 “최근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과 관련한 정부의 ‘제3자 변제’ 방식은 가해자인 일본과 전범기업의 사죄와 반성 없이, 피해자인 우리가 그들에게 머리를 숙이는 굴종외교의 참담한 결과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강 시장은 “63년 전 수많은 민주화운동을 통해 쟁취한 지금의 민주주의도, 힘겹게 넘어섰던 과거 그 시절로 회귀하고 있다”며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조국해방을 위해 목숨 바쳤던 수많은 독립운동가와 애국선열들의 분노어린 슬픔과 울분도 여전히 들리는 듯하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피해 당사자들도 제3자 대위변제 방식을 거부한 만큼 정부는 그들의 목소리에 다시 귀 기울여야 한다”며 “이는 정치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의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광주3·15의거의 의미와 정신 계승·발전을 통한 ‘일상의 민주주의’ 실현을 강조했다.
강 시장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은 3월 15일이 되면 가장 먼저 마산의거를 떠올리지만, 그보다 2시간 빠른 정오 12시45분 바로 이곳 광주 금남로에서 ‘곡(哭) 민주주의 장송데모’의 함성이 울려 퍼지고 있었다”며 “전국에서 최초로 시작된, 광주의 시위는 항쟁의 불씨가 돼 4·19혁명의 불꽃을 타오르게 한 기폭제가 됐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이어 “그 힘은 80년 5·18민주화운동, 87년 6월항쟁, 그리고 촛불혁명까지 도도히 흐르는 민주주의의 강이 되어 불의와 독재를 극복하고 정의가 살아 숨 쉬는 대한민국을 만들어왔다”고 강조했다.
또 강 시장은 “광주에서 시작된 3·15의거와 독재정권을 끌어내린 4·19혁명은 민주주의의 서막을 연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다”며 “우리는 그 역사와 정신을 온전히 계승 발전시키며, 새로운 광주시대로 나아가려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시장은 “63년이 지난 오늘, 역사를 혁명했던 광주가 나아갈, 그 다음의 광주시대는 무엇인가·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며 “새로운 광주시대는 ‘나’와 ‘나의 가족’, ‘나의 이웃’이 매일 기쁨과 행복 속에서, 재미와 활력이 넘치는 광주를 누리는 ‘일상의 민주주의’가 꽃 피운 광주다”고 밝혔다.
아울러 강 시장은 “인공지능(AI)과 자동차의 양 날개를 달고 지금 광주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기존 주력산업 고도화, 미래산업 육성, 예술과 기술이 만나는 스토리가 있는 문화도시로 탈바꿈하고 있고 눈에 보이는, 손에 잡히는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강 시장은 “광주는 절체절명의 위기가 찾아올 때 늘 함께 힘을 모았고 대한민국의 미래에 광주라는 이름으로 희망의 씨앗을 심었다”며 “광주에서 찬란히 피어날 모든 시민들의 일상의 민주주의가 지금의 대한민국을 바꿀 또 하나의 희망의 씨앗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은 오전 10시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열렸으며, 광주3‧15의거 주역, 3‧15 및 4‧19단체 회원, 지역 기관단체장과 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록영상 상영, 경과보고, 선언문 낭독, 유공자 표창, 기념사, 축사 등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번 기념식에는 4·19혁명 역사계승을 위해 자발적으로 모인 시민으로 구성된 30여명의 4·19합창단원이 참여해 3·15노래를 제창해 자리를 빛냈다.
또 광주시는 부대행사로 관련 단체와 함께 ‘3·15의거 사진 전시회’를 진행하고 광주3·15의거 발생 현장인 광주 금남로공원에서는 당시 시위 시간인 12:45분에 ‘곡(哭) 민주주의 장송’ 데모 시위를 재현해 시민들에게 3·15의거의 숭고한 의미를 알렸다.
광주3·15의거를 기념, 주요 간선도로변에 태극기를 게양하고 전 가정에 태극기 달기 캠페인을 전개하며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기도 했다.
한편 3·15의거는 1960년 3월15일 이승만 자유당 독재 정권유지를 위한 부정선거에 맞서 시민과 학생들이 이에 항의하여 일어난 시위로 자유·민주·정의를 위해 싸웠던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화운동이자 4·19혁명의 기폭제다. 당시 광주 금남로에서는 1000명이 참여해 ‘哭 민주주의 장송’ 데모 시위를 펼쳤다.
광주시는 4·19혁명의 기폭제인 3·15의거 정신 계승을 위해 민간 주도로 개최됐던 기념식을 2017년부터 정부기념일에 맞춰 시 주관으로 진행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wangju City, Ceremony to Commemorate the 63rd Anniversary of the March 15 Uprising... Reproduction of funeral song demonstration at Geumnam-ro Park
Mayor Kang Ki-jeong “The third party reimbursement is a return to the past… Enraged at the government’s solution to forced labor”
(Gwangju = Break News) Correspondent Lee Hak-soo = Gwangju Mayor Kang Ki-jeong said at the 63rd March 15 Uprising Ceremony and the 12th Gwangju March 15 Uprising Ceremony on the 15th, “Democracy won 63 years ago is returning to the past.” “Japanese war criminal companies must promptly implement the Supreme Court ruling on October 30, 2018 to pay compensation to these victims,” he said.
Regarding the government’s third-party reimbursement method for compensation for victims of forced labo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Mayor Kang said, “The government’s ‘third-party reimbursement’ method related to compensation for victims of forced labo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been This is the disastrous result of subservient diplomacy in which we, the victims, bowed our heads to them.”
At the same time, Mayor Kang said, "The present democracy, which was won through numerous democratization movements 63 years ago, is returning to the past when it was overcome with difficulty." I can still hear the young sadness and resentment.”
Mayor Kang emphasized, “As the victims also refused to subrogate to a third party, the government must listen to their voices again,” and “because this is not a matter of politics, but a matter of history.”
Mayor Kang emphasized the realization of ‘everyday democracy’ through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meaning and spirit of the Gwangju March 15 Uprising.
Mayor Kang said, “Even now, when March 15th comes to mind, many people first think of the uprising in Masan, but at 12:45 noon, two hours earlier than that, right here on Geumnam-ro in Gwangju, the shouts of the ‘Democratic Democracy Funeral Demo’ resonate. “The protest in Gwangju, which began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became a spark of resistance and became a catalyst that ignited the flames of the April 19 Revolution.”
Mayor Kang went on to say, “That power has become a river of democracy that flows through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the June Struggle in 1987, and the Candlelight Revolution, overcoming injustice and dictatorship and creating a Republic of Korea where justice lives.” Emphasized.
In addition, Mayor Kang said, "The March 15 uprising that began in Gwangju and the April 19 Revolution that brought down the dictatorship are the great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opened the dawn of democracy." I want to move on,” he said.
At the same time, Mayor Kang said, “Today, 63 years later, what is the next Gwangju era that Gwangju, which revolutionized history, will advance to· “The new era of Gwangju is a Gwangju where ‘everyday democracy’ has blossomed, where ‘I’, ‘my family’ and ‘my neighbors’ can enjoy Gwangju full of fun and vitality in joy and happiness every day. everything,” he said.
In addition, Mayor Kang said, “Gwangju is rapidly changing with both wing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automobiles.” Visible and tangible changes are beginning.”
Lastly, Mayor Kang said, "Gwangju always gathered strength when faced with a desperate crisis, and planted seeds of hope in the name of Gwangju in the future of Korea." I hope it will become another seed of hope to change the world.”
The commemorative ceremony was held at 10:00 am at the Bitgoeul Citizens’ Cultural Center, and about 100 people attended, including the protagonists of the Gwangju 3ㆍ15 Uprising, members of the 3ㆍ15 and 4ㆍ19 organizations, heads of local organizations and citizens. The reading of the declaration, the commendation of meritorious persons, commemorative speeches, and congratulatory speech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In particular, about 30 members of the April 19th Choir, composed of citizens who voluntarily gathered to inherit the history of the April 19th Revolution, participated in this commemoration ceremony and sang the song of March 15th to shine.
In addition, Gwangju City held a '3/15 Photo Exhibi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s a side event, and at Geumnamro Park, the site of the Gwangju 3/15 Uprising, at 12:45, the time of the protest, 'Gok Democracy Funeral' Demonstration demonstrations were reproduced to inform citizens of the noble meaning of the March 15th.
In commemoration of the Gwangju March 15 Uprising, the Taegeukgi was hoisted along major arterial roads and a campaign to hang the Taegeukgi at all homes was conducted, encouraging citizens to participate.
On the other hand, the March 15 Uprising was the first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and the April 19 Revolution that fought for freedom, democracy, and justice with citizens and students protesting against the fraudulent elections held on March 15, 1960 to maintain the dictatorship of the Liberal Party of Rhee Syngman. is the catalyst for At that time, 1,000 people participated in Geumnam-ro, Gwangju, and held a demonstration for the funeral of democracy.
To inherit the spirit of the March 15th, the catalyst for the April 19 Revolution, the city of Gwangju has been holding a commemorative ceremony held by the private sector since 2017 to coincide with the government anniversary.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전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