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오세훈 서울시장, 북한에 대한 방어 강화 위해 핵무기 개발 주장"

오세훈 "우크라, '핵보유국' 러시아 영토 거의 공격 안 해"

임국정 기자 | 기사입력 2023/03/14 [16:47]

▲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5대 서울특별시체육회장 취임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3.03.09. kkssmm99@newsis.com  © 뉴시스

 

브레이크뉴스 임국정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국제적으로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더라도 한국이 북한에 대한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핵무기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3일(현지시간) 단독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오 시장은 "북한은 전술 핵무기의 소형·경량화에 거의 성공했고, 최소 수십개의 탄두를 확보했다"며 "비핵화라는 명분에 얽매여 핵무기 개발을 자제해야 한다는 논리로 국민을 설득하기 어려운 시점에 와 있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비핵화가 매력을 잃었고 핵무기가 북한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전쟁 억지력이 될 것이라는 확신이 굳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러시아는 폭격기를 날려 보내고 미사일을 발사하며 우크라이나의 영공을 마음대로 침범하지만, 우크라이나는 핵보유국에 대한 심리적 열세로 인해 러시아 영토를 거의 공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또, 한국의 핵 프로그램이 북한의 군사력 증강을 억제하라는 메시지를 중국과 같은 국가에 보낼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국제사회로부터 초기 저항이 있을 수 있지만, 결국 더 많은 지지를 얻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오 시장은 이 같은 '자체 핵무장론'을 지속적으로 주장해온 대표적 인물이다. 윤석열 대통령 역시 지난 1월 11일 외교부·국방부 업무보고 당시 "대한민국에 전술핵 배치를 한다든지 우리 자신이 자체 핵을 보유할 수도 있다"며 자체 핵무장론을 띄웠다.

 

하지만 자체 핵무장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미국의 한반도 비핵화 원칙과 정면충돌하는데다,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가 필수적인데 이 경우 불이익과 제재가 반드시 동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도 자신의 발언으로 논란이 확산하자 미국의 핵우산을 신뢰하고 NPT 체제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수습에 나선 바 있다.

 

그럼에도 자체 핵무장론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 언급되는 배경으로는 북한의 연이은 무력 도발도 있지만, 미국의 핵우산 강화를 위한 전략 혹은 정치적 이유 등도 거론된다. 로이터는 윤석열 정부에서의 자체 핵무장론 관련 수사(rhetoric) 증가는 핵무기 계획 수립에서 미국이 한국에 더 많은 발언권을 주도록 압력을 가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는 전직 미국 고위 관리의 발언을 전했다.

 

redsummer@kakao.com

 

#오세훈 #자체핵무장론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h Se-hoon insists on developing nuclear weapons to strengthen defense against North Korea"

Oh Se-hoon "Ukraine rarely attacks Russian territory, a 'nuclear state'"

 

Reporter Lim Kook-jeong of Break News = Seoul Mayor Oh Se-hoon said South Korea should develop nuclear weapons to bolster its defense against North Korea even at the risk of international repercussions, Reuters reported exclusively on the 13th (local time).

 

According to Reuters, Mayor Oh said, "North Korea has almost succeeded in making tactical nuclear weapons smaller and lighter, and has secured at least dozens of warheads." is coming," he said.

 

Mayor Oh explained that, particularly with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denuclearization had lost its appeal and had solidified his conviction that nuclear weapon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deterrent against North Korea. "Russia flies bombers and launches missiles and invades Ukrainian airspace at will, but Ukraine rarely attacks Russian territory because of its psychological inferiority to nuclear powers," he said.

 

Oh was also reported to have said that South Korea's nuclear program would send a message to countries like China to curb North Korea's military buildup. "There may be initial resistanc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it will eventually gain more support," he predicted.

 

Mayor Oh i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has consistently insisted on this 'self-nuclear armament theory'. President Yoon Seok-yeol also raised his own nuclear armament theory at the tim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Defense Ministry's business report on January 11, saying, "We may deploy tactical nuclear weapons in Korea or possess our own nuclear weapons."

 

However, the prevailing opinion is tha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develop its own nuclear armament. In addition to colliding head-on with the US principle of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essential to withdraw from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When the controversy spread due to his remarks, President Yoon also took steps to deal with the situation by revealing his position that he trusted the US nuclear umbrella and respected the NPT system.

 

Nevertheless, North Korea's successive military provocations are also cited as a background for continuing to mention the theory of nuclear armament, as well as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US nuclear umbrella or political reasons. Reuters reported a former senior U.S. official who said that the increased rhetoric in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s own nuclear disarmament theory appeared to be aimed at putting pressure on the U.S. to give South Korea a greater say in nuclear weapons planning.

 

redsummer@kakao.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