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인천시, 주택 슬레이트 철거비 및 어린이집 만5세 아동 필요경비 지원

박상도 기자 | 기사입력 2023/03/06 [09:51]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인천시가 6일 슬레이트 건축자재가 노후화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석면 비산으로부터 시민들의 건강을 지키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슬레이트 철거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인천시에 따르면, 슬레이트는 석면을 10~15% 함유한 대표적인 석면건축자재로 슬레이트가 노후화돼 석면먼지가 공기 중에 퍼지면 시민들의 건강을 헤칠 우려가 높다.


인천시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주택과 비주택(창고, 축사 등)의 지붕재 또는 벽체로 사용한 석면 슬레이트의 철거와 처리를 지원한며 이와 함께, 슬레이트 지붕을 철거한 주택의 경우에는 지붕개량도 지원한다.
 

인천시는 올해 주택 철거 230동, 비주택 철거 88동, 주택 지붕개량 40동을  지원할 계획이다.


주택 철거 시에는 1동당 최대 7백만 원을 지원하며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우선지원가구에는 철거비용 전액이 지원되며 또 주택의 슬레이트 지붕을 철거한 후 개량공사를 하면 1동당 최대 3백만 원(우선지원가구 1천만 원)이 지원된다.


또, 창고, 축사 등 200㎡이하 비주택의 경우에는 철거비 전액을 지원 받을 수 있다.


다만, 지원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부 자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슬레이트 건축물의 철거를 희망하는 건축물 소유자 또는 소유자의 동의를 받은 임차인은 슬레이트 건축물이 소재한 관할 군·구 환경부서에 신청하면, 군·구에서 선정한 공사업체가 방문해 슬레이트를 철거·처리하고 지붕 개량 공사도 지원한다.


한편, 인천시는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2,575동(예산 약 63억 원)의 주택과 비주택의 철거, 지붕개량을 지원했다.


또한, 인천시가 6일 올해 3월부터 관내 모든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2017년생 만5세 아동에게 정부와 시에서 지원하는 보육료 외에 추가적으로 학부모가 부담하는 필요경비(연간 1인 최대 210만 원)를   소득·재산에 관계없이 지원한다고 밝혔다.


인천시에 따르면, 어린이집 부모부담 필요경비란 어린이집 특별활동, 현장학습 등에 드는 실비 성격의 비용을 말하며 아동 1인당 연평균 190만 원 정도의 학부모 추가 비용부담이 발생하고 있다.


어린이집 보육료의 경우 그동안 정부와 자치단체의 지원이 있었지만, 필요경비는 지원이 없어 부모들이 전액 부담해야 했다.


이에 인천시는 양육부담 경감을 위해 부모가 납부하는 현장학습비, 특별활동비 외에도 입학준비금, 부모부담행사비, 특별활동 교재교구비, 차량운행비를 전액 지원하기로 했다.


그동안 특·광역시 중에서는 필요경비 일부 항목만을 지원하는 경우는 있지만, 필요경비 전체항목을 지원하는 특·광역시는 인천시가 유일하다.


지원대상은 지급기준일 현재 인천시 거주 관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2017년생 만5세 아동 약 7천명(외국인 아동 포함)이다. 시는 이번 지원으로 136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학부모의 신청 편의를 위해 별도의 신청없이 해당 어린이집에서 군·구에 직접 보조금을 신청하면 되고, 1인당 지원한도액은 월 최대 17만 5천 원이다.


인천시는 민선8기 공약인 ‘무상교육의 사각지대 해소(어린이집)’를 위해 2026년까지 필요경비 지원 연령을 현재 만5세에서 만 3~5세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인천시는 영유아 부모의 양육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2019년도부터 만 3~5세 아동의 부모부담보육료(1인 월 113~128천 원) 전액을 지원하고 있다.


또, 어린이집 운영 개선을 위해 올해는 조리원 인건비 지원액을 10만 원 인상(36→46만원)하고, 청정무상 급식비를 10% 인상했으며 이외, 관내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 지원을 위한 치료사 순회지원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cheon City, support for housing slate demolition costs and necessary expenses for children aged 5 at daycare centers
-Break News Incheon Reporter Park Sang-do


Incheon City announced on the 6th that it will support slate demolition costs to protect the health of citizens from asbestos scattering that can occur as slate building materials deteriorate and to create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Incheon City, slate is a typical asbestos construction material that contains 10 to 15% of asbestos, and as asbestos dust spreads in the air as the slate ages, there is a high risk of harming the health of citizens.


To prevent this, Incheon City supports the removal and treatment of asbestos slates used as roofing materials or walls of houses and non-houses (warehouses, barns, etc.), and also supports roof improvement in the case of houses with slate roofs removed.
 

Incheon City plans to support 230 housing demolition, 88 non-housing demolition, and 40 housing roof repairs this year.


When housing is demolished, a maximum of KRW 7 million is supported per unit, and the full cost of demolition is supported for households receiving priority support such as basic welfare recipients and the next lowest class. KRW 10 million for supporting households) is suppor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non-housing of less than 200㎡, such as warehouses and stables, full demolition costs can be supported.


However, if the support limit is exceeded, some self-payment may occur.


A building owner who wishes to demolish a slate building or a lessee with the consent of the owner can apply to the environmental department of the county/gu where the slate building is located, and a construction company selected by the county/gu will visit to remove and treat the slate and perform roof improvement work. support


Meanwhile, from 2011 to last year, Incheon City supported the demolition and roof improvement of about 2,575 houses and non-housing houses (with a budget of about KRW 6.3 billion).


In addition, Incheon City announced on the 6th that, in addition to the childcare fees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and the city, additional necessary expenses (up to 2.1 million won per person per year) for 5-year-old children born in 2017 who use all daycare centers in the city from March this year will be paid for income and property. He said he would support it regardless.


According to the city of Incheon, necessary expenses paid by parents at the daycare center refer to actual expenses for special activities at the daycare center and field trips, and an additional cost burden of about 1.9 million won per child per year is incurred by parents.


In the case of day care fees, there has been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but there is no support for necessary expenses, so parents have to bear the full cost.


In order to alleviate the burden of raising children, Incheon City has decided to fully support the admission preparation fee, parental expenses, special activity textbook expenses, and vehicle operation expenses, in addition to field trip fees and special activity expenses paid by parents.


In the meantime, among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there are cases where only some items of necessary expenses are supported, but Incheon is the only special and metropolitan city that supports all items of necessary expenses.


The target of support is about 7,000 five-year-old children (including foreign children) born in 2017 who are living in Incheon and using childcare centers in Incheon as of the base date of payment. The city has secured a budget of 13.6 billion won with this support.


For the convenience of parents, the daycare center can directly apply for the subsidy to the county or district without a separate application, and the maximum amount of support per person is 175,000 won per month.


Incheon City plans to expand the age of support for necessary expenses from the current age of 5 to 3-5 years old by 2026 in order to ‘eliminate blind spots in free education (daycare centers)’, a pledge of the 8th civil election.


Meanwhile, in order to alleviate the parental burden of infants and toddlers, the City of Incheon has been subsidizing the full cost of parental care for children aged 3 to 5 (KRW 113-128,000 per month per person) since 2019.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daycare center, this year, the subsidy for labor costs for cooks was increased by 100,000 won (36 → 460,000 won), and the free clean meal cost was increased by 10%. am.


원본 기사 보기:ebreaknews.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