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소설 삼별초-18>마니산 참성단앞에 선 김통정과 혜성

이동연 작가 | 기사입력 2022/11/30 [11:30]

▲ 이동연  작가. ©브레이크뉴스

 최이는 낙성식 다음 날 측근들에게 일주일 휴가를 주었다. 그동안 해변 진지 구축에 매달렸왔던 김통정은 비로소 여유가 생기자 고려산 자락 백련사로 혜성을 찾아갔다.

 

  마침 혜성이 법당을 나오다가 김통정이 달려오는 것을 보았다. 얼마만인가 강화도 천도후 처음 보는 것이다. 얼마나 반가웠던지 달려가 안고 싶었지만 그럴 순 없었는 노릇,

  둘 다 출신과 신분에 매여 조심해야만 했다. 물론 그럴수록 남모르는 외로움에 서로에 대한 애착이 깊어만 갔지만.

 

    “고려산 자락에 진달래꽃이 가득하네, 구경이나 가자.”

  김통정의 들뜬 제안에도 혜성은 염주알만 굴렸다. 

     “고려산 말고 마니산으로 가자.”

  한참 뒤에 혜성이 말을 꺼내자 김통정도 왜 그러는지 눈치 했다. 

 

  마니산 꼭대기에 2,300년 전 단군 왕검이 하늘에 제사 지냈던 곳, 참성단이 있다. 

  김통정이 연인으로 다가서려니 또 혜성이 신앙으로 벽을 세우는 것이었다. 자신은 이미 속세를 떠난 몸이라는 뜻이다.

  청룡사에서도, 천도하는 길에서도, 김통정이 가까이 다가가기만 하면 혜성은 염주알을 굴리며 피했다. 둘 사이는 지금까지 늘 그래왔다. 김통정이 연인으로 다가가려 하면 혜성이 살짝 피해섰던 것이다.

 

  말 한 마리에 두 사람이 올라타고 쏜살같이 마니산으로 향했다. 말은 마니산 자락 주막에  묶어 두고 참성단까지 가쁜 하게 뛰듯이 올라갔다  

   “나무 관세음보살….”

  천제天帝에게 감사와 기도를 올리는 참성단 앞에서 혜성이 먼저 염불을 외운 후, 장봉산 갯벌, 영종도, 석모도, 교동도와 개경 쪽을 둘러 보았다.

  

   “통정아,  이곳이 고려의 배꼽이다. 백두산과 한라산의 중앙에 있지. 이 나라에서 기氣가 제일 센 곳이라 우두머리 산이라는 뜻으로 마리산(摩利山)이라고도 불러. 단군이 세운 조선의 수도는 아사달이고 고구려 수도는 평양인 거 잘 알지? 사연이야 어쨌든 이제 고려의 수도가 개경에서 이 마니산이 있는 강화도로 왔어. 앞으로 어디로 갈 것 같니?”

   “…….”

  대답 없는 김통정에게 혜성이 암시를 주었다.

   “백두에서 한라까지 한번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겠지.” 

 

  김통정이 혜성을 오늘 만난 이유는 청혼하기 위해서였다. 

  둘 다 나이 스물을 훨씬 넘었다. 혼인할 나이를 넘긴 것이다. 그 나이가 되도록 왜 김통정이 결혼하지 않는지 김준, 김인선, 심지어 최이까지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던 때였다. 

 그렇다고 김통정이 여승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그래서 김통정은 어떻게하든 혜성이 승복을 벗길 원했다.  혜성이 원해서 출가한 것이 아니라 어릴 적 영문도 모른 채 승려가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김통정이 그와 비슷한 얘기만 꺼내려 해도 언제나 혜성이 먼저 막았다.

 

   참성단 우측 급경사 길로 내려가다 보면 소나무와 참나무가 병풍처럼 둘러싼 작은 터가 나온다. 거기서 김통정이 작심하고 속 마음을 밝혔다.

   “혜성, 승복 벗어. 나도 상별초를 떠날 테니. 같이 한라산으로 가자.”

염주알을 굴리던 혜성의 손가락이 김통정의 입술을 눌렀다. 

   “이런 세상에 혼인하고 싶어? 네가 왕족이냐, 귀족이냐? 차라리 썩은 세상을 뒤엎은 다음에 함께 살자고 해야 하는 것 아니니? 혼인하면 자식 생기고, 그러면 너는 고종과 최이의 눈치를 더 봐야 하고. 그럼 나는? 내가 너를 챙겨주는 거야 사랑하니까 그렇다 쳐. 

   아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세상이 여필종부하라 할 텐데, 내가 그런 취급 받는 게 좋아? 출신도 미천한데다가 여자인 내가 이 승복 벗으면 누가 사람 취급이나 해준대? 그런데 중노릇 그만두라고? 내가 그런 대우 받는 것 보고 싶어? 대답해봐. 이런 세상에 너도 남자라고 혼인하고 싶냐고....”

 

  김통정은 딱히 대답할 말이 없었다. 

  어머니 자운선이 양수척이기 때문에, 여자이기 때문에, 당한 고통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혜성도 그랬다. 지금껏 누가 어디서 낳았는지 모르고, 그 흔한 이름조차 가져본 적 없이 동자승이 되었던 것이다. 혜성의 눈에 눈물이 고였다. 강한 줄만 알았던 그녀가, 세속에 초월한 줄만 알았던 그녀가 울고 있었다.

  “미안해, 혜성. 너와 함께하고픈 내 욕심만 앞세웠어. 미안해, 미안해, 출생 신분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이 더러운 세상을 놓아두고 내 욕심만 챙기려 하다니. 미안해. 미안해...” <계속> dyl1010@hanmail.net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Novel Sambyeolcho-18> Kim Tong-jeong and Hye-seong standing in front of Chamseongdan on Mount Manisan

-Writer Lee Dong-yeon

    

   Choi Yi gave her aides a week off the day after the inauguration ceremony. Kim Tong-jeong, who had been clinging to building a beach position, visited Hyeseong at Baeknyeonsa Temple at the foot of Mt. Goryeo when he finally had some spare time.

  Coincidentally, Hye-seong was leaving the temple hall when he saw Kim Tong-jeong running towards him. It's been a while since Ganghwa Island was relocated, and it was the first time I saw it. She was so happy that she wanted to run and hug her, but she couldn't.

  Both of them had to be careful because they were bound by their background and status. Of course, the more they did, the more their attachment to each other deepened in the unknown loneliness.

    “The foot of Mt. Goryeo is full of azaleas. Let’s go and have a look.”

  Despite Kim Tong-jeong's excited proposal, Hye-seong only rolled beads.

     “Let’s go to Mount Manisan instead of Mount Goryeo.”

  After a while, when Hye-seong spoke her words, Kim Tong-jeong noticed why.

   At the top of Manisan Mountain, there is Chamseongdan Altar, where Dangun Wanggeom held a ancestral rite to the sky 2,300 years ago.

  When Kim Tong-jeong tried to approach her as a lover, Hye-seong built a wall with her faith. She means that she has already left the world.

  At Cheongnyongsa Temple or on the road to the capital, whenever Kim Tongjeong got close, Hyeseong rolled a beaded egg and avoided it. It's always been that way between the two. When Kim Tong-jeong tried to approach her as a lover, Hye-seong slightly avoided her.

  Two people rode on one horse and headed towards Manisan like a shotgun. The horse was tied to an inn at the foot of Mount Manisan and galloped up to Chamseongdan Altar.

   “Tree Avalokiteshvara… .”

  Hyeseong first memorized Buddha chanting in front of the Chamseongdan Altar to give thanks and prayers to Emperor Cheonje, then looked around the tidal flats of Jangbongsan Mountain, Yeongjongdo Island, Seokmodo Island, Gyodongdo Island, and Gaegyeong.

  

   “Tongjeongah, this is the navel of Goryeo. I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Mt. Baekdu and Mt. Halla. It is also called Mt. Mari (摩利山), meaning “head mountain,” because it is the place with the strongest energy in the country. You know that the capital of Joseon founded by Dangun was Asadal and the capital of Goguryeo was Pyongyang, right? Anyway, now the capital of Goryeo, Gaegyeong, came to Ganghwa Island, where this Manisan Mountain is located. Where do you think you will go in the future?”

   “… … .”

  Hye-sung hinted at Kim Tong-jeong, who had no answer.

   “I will go down once from Baekdu to Halla and then go up again.”

  The reason Kim Tong-jeong met Hye-seong today was to propose.

  Both are well over twenty. It is past the age of marriage. By that age, she was wondering why Kim Tong-jeong did not marry.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say that Tongjeong Kim loved her nun. So, Kim Tong-jeong wanted Hye-sung to take off his robe no matter what. It is said that Hyeseong did not leave home because he wanted to, but became a monk when he was young without knowing why. However, even when Kim Tong-jeong tried to bring up a similar story, Hye-seong always blocked it first.

   If you go down the steep slope to the right of Chamseongdan Altar, you will come across a small site surrounded by pine trees and oak trees like a folding screen. There, Kim Tong-jeong was determined and revealed her heart.

   “Hyeseong, take off your robe. I will also leave Sangbyeolcho. Let’s go to Hallasan together.”

Hyeseong's fingers, which were rolling her rosary beads, pressed Kim Tongjeong's lips.

   “Do you want to get married in a world like this? Are you royalty or noble? Wouldn't you rather ask to live together after overthrowing the rotten world? If you get married, you will have children, and then you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Gojong and Choi Yi. Then what about me? I'm taking care of you, because I love you.

   The world will tell you to marry a woman just because you are a wife, do you like it when you treat me like that? I'm from a lowly background, and as a woman, if I take off this monk's robe, who treats me like a human being? By the way, stop being a middle man? Do you want to see me treated like that? answer me In a world like this, do you want to marry a man too...”

  Kim Tong-jeong had no words to answer.

  Because her mother's Zhaun line is amniotic, because she is a woman, she knows the pain she suffered.

  So did Comet. Until now, she did not know who gave birth and where, and she had become a child monk without even having that common name. Tears welled up in her comet eyes. The girl who only knew she was strong, the girl who only knew she was transcendent in the world was crying.

  “I’m sorry, Hyesung. I only put my desire to be with you ahead. I'm sorry, I'm sorry, I'm trying to take care of my greed, leaving this filthy world that evaluates people by their birth status. sorry. I'm sorry...” <Continued> dyl1010@hanmail.ne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