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공정위, PB상품 납품업체에 부당 이익 수취 ‘GS리테일’ 과징금 243억 부과

매출의존도 사실상 100% 업체에 성과장려금·판촉비 등 수취

최애리 기자 | 기사입력 2022/08/03 [10:07]

 

브레이크뉴스 최애리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편의점 브랜드 ‘GS25’를 운영하는 ‘㈜지에스리테일’의 하도급법 위반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243억6800만원을 부과했다.

 

지에스리테일은 GS25에서 판매되는 신선식품(FF제품)을 기획·개발해 제품의 규격, 원재료, 제조방법 등을 담은 기술이전서를 수급사업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조를 위탁했다. 이에 수급사업자들은 제공받은 기술이전서에 따라 제품 생산만을 담당했다. 

 

공정위는 “수급사업자들은 자사 기업소개서에 ‘GS25 FF제품 전용공장’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대부분 지에스리테일이 발주한 신선식품만을 생산ㆍ납품하는 등 지에스리테일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사실상 100%에 달하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먼저, 지에스리테일은 2016년 1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8개 수급사업자들에게 신선식품 제조를 위탁하면서, 정당한 사유없이 성과장려금 명목으로 매월 매입액의 0.5% 또는 1%인 총 68억7800만원을 수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통상 성과장려금은 납품업자가 자기 제품 매입을 장려하기 위해 대규모유통업자에게 주는 금전이다. 하지만, 대규모유통업자인 지에스리테일은 스스로 판매할 자기 제품의 제조를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수급사업자로부터 성과장려금을 수취할 이유가 없다는 게 공정위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지에스리테일은 계약서상 수취 조건과 상관없이 매월 일률적으로 성과장려금을 수취했으며, 심지어 자신만의 수익 개선을 위하여 수취 비율을 인상(0.5% → 1%)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에스리테일은 2016년 1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8개 수급사업자들에게 신선식품 제조를 위탁하면서, 매월 폐기지원 및 음료수 증정 등 판촉행사를 진행하고, 정당한 사유없이 전체 판촉비용 중 총 126억1200만원을 수급사업자들로부터 수취했다.

 

지에스리테일은 수급사업자들이 판촉비 부담으로 손익이 악화되는 상황임을 명확히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수급사업자들로부터 수취하는 판촉비를 늘려 자신의 수익을 개선하려 했다. 심지어 목표대비 판촉비 기여도가 낮은 수급사업자들에 대해서는 거래관계를 중단하려고 한 정황도 적발됐다.

 

또한, 수급사업자와 협의 없이 연간 판촉계획을 수립해 판촉행사를 실시하면서도 수급사업자가 자발적으로 판촉행사를 제안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행사요청서와 비용부담합의서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판촉행사가 시작된 이후에 행사요청서 등을 수취했음에도 마치 행사 시작 전에 해당 서류를 수취한 것처럼 꾸며놓기도 했다.

 

이 외에도 지에스리테일은 2020년 2월부터 2021년 4월까지 9개 수급사업자들에게 신선식품 제조를 위탁하면서, 정당한 사유없이 정보제공료 명목으로 총 27억3800만원을 수취했다.

 

수급사업자들은 단순히 지에스리테일의 발주서에 따라 발주 품목, 규격, 수량대로 생산하여 납품하므로 제공받은 정보를 활용할 여지가 거의 없음에도, 매월 최대 4800만 원의 정보제공료를 지급한 것이다.

 

실제, 수급사업자들은 제공받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수급사업자는 매월 얼마의 정보이용료가 어떤 방식으로 결정되는지 조차 알지 못하는 등 제공받은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정보제공료는 지에스리테일이 성과장려금 대신 동일한 금액을 수취할 목적으로 그 명목만을 변경한 것으로, 공정위 조사가 시작되자 위반행위를 중단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외양만 바꿔 위반행위를 지속해온 것으로 파악됐다.

 

공정위는 앞으로도 대형유통업체들의 하도급법 위반행위에 대해 지속적 감시활동을 실시하는 한편, 관련 협회 및 사업자단체 등을 대상으로 자발적 거래관행 개선을 위한 교육 및 간담회 등을 병행, PB상품 분야의 공정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break9874@naver.com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Fair Trade Commission imposes fine of 24.3 billion won on 'GS Retail' for receiving unfair profits on PB product suppliers

 

Receive performance incentives and promotional expenses from companies that are 100% dependent on sales

 

Break News Reporter Choi Ae-ri= The Fair Trade Commission imposed a fine of 24.368 billion won along with a correction order for violations of the subcontracting law by GS Retail, which operates the convenience store brand GS25.

 

GS Retail entrusted manufacturing by planning and developing fresh food (FF products) sold at GS25 and providing a technology transfer document containing product specifications,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to suppliers. Accordingly, the subcontractors were only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products according to the technology transfer documents provided.

 

The Fair Trade Commission said, “Most of the suppliers produced and delivered only fresh food ordered by GS Retail to such an extent that they described it as ‘the factory for exclusive use of GS25 FF products’ in their company introductions. explained.

 

First, GS Retail consigned fresh food manufacturing to eight subcontractors from November 2016 to September 2019, and received a total of 6.878 billion won, or 0.5% or 1% of the monthly purchase amount, in the name of performance incentives without justifiable reasons. turned out to be received.

 

Performance incentives are usually money given to large retailers by suppliers to encourage them to purchase their products. However, the FTC explained that there is no reason to receive performance incentives from subcontractors because GS Retail, a large-scale distributor, entrusts the manufacture of its own products for sale.

 

Nevertheless, GS Retail received performance incentives on a monthly basis regardless of the terms of receipt in the contract, and even increased the receipt ratio (0.5% → 1%) to improve its own profits.

 

In addition, GS Retail consigned fresh food manufacturing to eight subcontractors from November 2016 to September 2019, and carried out promotional events such as disposal support and beverages every month. Received 12 million won from subcontractors.

 

Despite the fact that GS Retail was clearly aware that subcontractors were in a situation where their profits were deteriorating due to the burden of promotional expenses,

He tried to improve his own profits by increasing the promotional expenses received from subcontractors. Even with subcontractors with a low contribution to promotion costs compared to the target, circumstances were discovered in which they attempted to suspend the business relation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bcontractor was required to submit an event request form and a cost-sharing agreement in order to appear as if the subcontractor had voluntarily proposed the promotional event while establishing an annual promotion plan without consultation with the subcontractor. Even though the event request form was received after the promotion event started, it was decorated as if the document was received before the event started.

 

In addition, GS Retail consigned fresh food manufacturing to nine subcontractors from February 2020 to April 2021, and received a total of 2.378 billion won in the name of information service fee without justifiable reasons.

 

Subcontractors simply produced and delivered items according to GS Retail's order form, according to the ordered items, specifications, and quantities, so there was little room for utiliz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ut they paid a monthly information service fee of up to 48 million won.

 

In fact, it was confirmed that subcontractors were not able to choose the type of information they received, and some subcontractors were unable to utilize the information they received, such as not even knowing how much information usage fee was determined each month.

 

In particular, it is understood that the information provision fee was changed only in the name of GS Retail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the same amount instead of performance incentives. done.

 

The Fair Trade Commission will continue to monitor the violations of the Subcontracting Act by large retailers, while also providing education and conferences to improve voluntary trade practices for relevant associations and business groups, thereby establishing a fair trade order in the PB product field. plans to work for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