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바람꽃, 괴불주머니, 애기똥풀, 장억새 등 우리말 묻사리 이름을 지은 장형두 선생

망우리공원 남쪽 끝에 잠들어 계시는 국내 첫 식물학자

김수종 작가 | 기사입력 2022/03/01 [08:42]

▲ 장형두 묘지.    ©브레이크뉴스

지난 2021년 봄 한국내셔널트러스트(NT)는 서울시 중랑구청의 요청을 받아 망우리 공원에 대한 묘지 전수조사를 했다. 7,000여 기의 묘소 가운데 70여명의 유명인사의 묘소를 파악하고 있던, 한국내셔널트러스트는 당시 묘지 전수조사를 통하여 30여명의 유명인을 추가로 확인했다.

 

그 가운데 기억에 남는 인물은 감리교 변성옥 목사, 서울대 교수이며 식물학자 장형두 선생, 배우 겸 가수 남춘역, 한국 최초 사진작가인 김규진 선생, 제2대 기상청장 국채표 선생, 한글학자이며 대종교인 독립운동가 신명균 선생 등이다.

 

해방 직후인 1949년 10월 23일 경찰서에서 동생 때문에 좌익으로 몰린 서울사대 교수이며 식물학자 장형두 선생은 고문으로 죽었다. 한 달 후 국회에서는 흥사단, 청년열혈단, 조선어학회 회원이었던 신현모 국회의원이 ‘장형두 변사사건 진상보고의 건’을 발의한다.

 

“조선의 유일무이한 식물학자 장형두로 말하자면 식물연구를 20년 동안이나 하고, 추수 2,000석이나 되는 재산을 다 없애고, 백두산으로부터 태백산, 지리산으로 돌아다니면서 식물을 수집해서 표본을 만들고 장차 서울대 사범대학에 식물표본실을 세계적으로 자랑할 만한 것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지금 사범대학 부설중학 조그만 교실을 하나 빌려 거기서 부인과 어린 자제와 자취하고 있었다”

 

신현모 의원이 발의한 안건은 해방 직후 이념갈등으로 혼란한 시기에 국회에서 좌익으로 몰려 죽은 학자의 억울함을 밝혀 주도록 정부에 촉구한 사건이다. 이후 고문치사사건은 결국 경찰이 조작한 사건으로 밝혀졌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천재 식물학자 한명을 잃게 된 것이다.

 

장 선생은 1906년 전라도 광주시 누문동 119번지 출생이다. 12살 때 도쿄원예학교 연구과에 입학하여 졸업했다. 일본 부립 원예학교에서 공부하다가 관동대지진으로 1923년에 급거 귀국하여 이리 농림학교를 거쳐 다시 일본 동경제국대학 고등 조원학과를 1928년 졸업했다.

 

당시 동경제국대학 식물학 강사이며 일본식물연구의 개척자인 마키노 도미타로(牧野 富太郞)교수에게 사사하고 식물공부에 정진했다. 학창시절에는 스승이 주최한 ‘일본 전국 식물명 찾기 대회’에서 수석을 차지하기도 했다.

 

귀국 이후 조선일보 문화부, 숭실전문, 성균관대 강사를 거쳐 1948년 9월 1일 국립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교수에 임용됐다. 일본에서 귀국하여 학자로 삶을 사는 동안 1935년 정태현, 이덕봉, 박만규, 석주명과 함께 ‘조선박물학연구회’ 창립을 주도했다.

 

동식물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설립됐던 학술단체로 박물(생물학)교사와 동식물학 전공자가 회합하여 서울에서 조직했다. 첫 사업으로 서울 휘문고등보통학교 강당에서 조선에서는 처음으로 대규모 동식물전시회를 열어 많은 학생들이 참관했다.

 

한글학자들과 친분이 있던 연구회원들은 조선말로 통일된 식물이름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어 한글로 식물이름붙이기 연구에 착수했다. 봄철 묻사리(春節 植物, 춘절 식물), 느진봄 묻사리(晩春 植物, 만춘 식물), 여름철 묻사리(夏節 植物, 하절 식물), 외움닢 묻사리(單子葉 植物단자엽 식물) 등이 이때 나온 말이다.

 

깃꼴닢 묻사리(羽狀複葉植物, 우장복엽식물), 가을철 묻사리(秋節 植物, 추절 식물), 맞돋이닢 덩굴풀(對生葉蔓性草本, 대생엽만성초본), 통꽃무리(合瓣花類, 합판화류), 어겨돋이 닢 덩굴풀(互生葉蔓性草本, 호생엽만성초본), 통꽃 갈래꽃 무리(合瓣, 離瓣花類, 합판, 이판화류), 갈래꽃 무리(離瓣花類, 이판화류)도 마찬가지다.

 

맞돋이닢 덩굴풀(갈래꽃 무리), 어겨돋이닢 덩굴풀(갈래꽃 무리), 바닷가 묻사리(海岸植物, 해안식물), 높산 묻사리(高山植物, 고산식물), 물 묻사리(水生植物, 수생식물), 우리나라 벌레 먹이 묻사리(食蟲植物, 식충식물)등의 연구 자료가 나왔다.

 

아울러 양막(애기보), 식물(묻사리), 동물(옮사리), 청신경(듣느끼), 마취제(얼떨약), 보호색(강굼빛), 단백질(흰재탕), 저온(얕따수), 분만(애내), 음문(암부끄리), 난소호르몬(알집속진), 밀도(빽빽가리), 전자(번개티), 색소(빛감), 과학자(보배선비), 촉수(닿치개) 등이 당시 만들어진 말이다.

 

이후 2,000여 종의 식물이름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하여 <조선식물향명집(朝鮮植物鄕名集)> <조선식물명집>을 공동으로 집필 발간했다. 이것은 조선 사람의 손으로 식물을 현대과학에 따라 배열하고, 조선 식물의 표준 이름을 정한 최초의 일이었다.

 

장 선생은 1935년 조선식물연구회 <조선향토식물> 제1호에 2편의 논문 ‘평양식물지(平壤植物誌)’ ‘조선식물소보(朝鮮植物小報)’을 기고한다. 1936년에는 사학자 유홍렬, 동물학자 조복성, 조류학자 원홍구, 나비학자 석주명 등과 백두산 탐사에도 참여했다.

 

이후 선생이 지리산을 포함한 남부지역의 식물조사를 위해 전라남도에 머물면서 발간을 주도한 <전라남도식물(1940년)>는 당시 전라남도와 제주도의 식물 1,939종을 연구 조사 기록한 자료집이다.

 

특히 약 200종의 식물에 대한 용도와 민간처방에 대한 내용은 허준의 <동의보감> 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상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해방 이후 서울대 사범대에 재직 당시 <학생식물도보(1949년, 수문관)>라는 식물도감을 저술했다. 1년 만에 4쇄까지 인쇄될 정도로 주목받았다.

 

장 선생은 일제 강점기 민족주의자로 창씨개명을 거부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젊은 날 안타깝게 고문치사로 억울하게 죽은 선생의 묘소는 망우리공원 남쪽 끝에 있다. 묘지는 지난 2019년 서거 70년 만에 후손들에 의해 새롭게 단장됐다.

 

지난 2020년에는 광주MBC에서 제작한 8.15특집 다큐 ’장형두와 우리 묻사리’가 방영됐다. 바람꽃, 괴불주머니, 애기똥풀, 장억새 등 우리말 묻사리(식물) 이름을 지은이가 바로 우리 최초의 식물학자 장형두 선생이다. daipapa@hanmail.net

 

▲ 김수종 작가. ©브레이크뉴스

*필자/김수종

김수종은 영주시 안정면 출신으로 1968년 가을 벼 베는 날 태어났다. 대학에서 종가학문인 철학을 공부한 덕에 같은 줄기인 문학과 역사에도 관심이 많다. 주로 역사, 문화와 관련된 유물 유적과 지역을 둘러보면서 연구도 하고 사진도 찍고 글도 쓰고 있다. 그동안 <열정과 집념으로 승부한다> <영주를 걷다> <역사 그리고 문화, 그 삶의 흔적을 거닐다>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 등을 집필하여 책으로 출간했다. 현재 민간 문화재청+환경부 역할을 하고 있는 (사)한국내셔널트러스트(NT)에서 문화유산위원회 위원, 망우리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daipapa@hanmail.net

Mr. Jang Hyeong-doo, who gave the names of Korean words such as wind flower, monster fire pouch, celandine grass, and peony flower, etc.

Korea's first botanist sleeping at the southern end of Manguri Park

-Writer Kim Soo-jong

In the spring of 2021, the Korea National Trust (NT) conducted a complete cemetery survey of Manguri Park at the request of the Jungnang-gu Office in Seoul. The Korea National Trust, which identified the graves of 70 celebrities out of about 7,000 graves, confirmed an additional 30 celebrities through a cemetery survey at the time.

Among them, Methodist Rev. Seong-ok Byu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and botanist Hyung-doo Jang, actor and singer Nam Chun-yeok, Korea’s first photographer Kim Gyu-jin, 2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irector Kuk Chae-pyo, and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Myung-gyun Shin etc.

On October 23, 1949,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Professor Jang Hyung-doo, a botanist and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o was driven to the left by his brother at the police station, was tortured to death. A month later, in the National Assembly, National Assembly member Shin Hyun-mo, who was a member of the Heungdandan, Youth Enthusiast Group, and the Korean Language Society, proposes a “report on the truth about the death of Jang Hyung-doo.”

“As for Joseon’s unique botanist Jang Hyeong-doo, he studied plants for 20 years, destroyed all his fortunes worth 2,000 seeds, collected plants from Mt. Baekdu to Mt. Taebaek, Mt. With the aspiration to create something world-class proud of, I rented a small classroom at the junior high school attached to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was living there with my wife and young children.”

The agenda proposed by Rep. Shin Hyun-mo is a case in which the government urged the government to reveal the injustice of a scholar who died as a left winger in the National Assembly at a time of chaos due to ideological conflict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fterwards, the torture and death case was eventually revealed to be a case of manipulation by the police. In the process, we lost a genius botanist.

Jang was born in 1906 at 119 Numun-dong, Gwangju-si, Jeolla-do. When he was 12, he entered and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the Tokyo Horticultural School. He studied at the Japanese Prefectural Horticultural School, then returned to Japan in a rush in 1923 due to the Kanto University earthquake.

At that time, he was a botany lecturer at th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and studied under Professor Tomitaro Makino, a pioneer in Japanese plant research, and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plants. During his school days, he even won the first place in the "National Plant Name Search Contest in Japan" hosted by his teacher.

After returning to Korea, he served as a lecturer at the Chosun Ilbo Cultural Department, Soongsil Specialist, and Sungkyunkwan University, and on September 1, 1948, he was appointed as an associate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While he returned from Japan to live as a scholar, in 1935 he led the founding of the Korean Natural History Research Society together with Jeong Tae-hyeon, Lee Deok-bong, Park Man-gyu, and Seok Ju-myeong.

As an academic organization established for the study of animals and plants, it was organized in Seoul by a meeting of a museum (biology) teacher and an animal and plant major. As the first project, the first large-scale animal and plant exhibition in Joseon was held in the auditorium of Hwimun High School in Seoul, attracting many students.

Research members, who were close to Hangeul scholars, realized the need for a unified plant name in the Joseon language, so they started research on naming plants in Hangeul. At this time, spring burial (春節 植物), late spring burial (晩春 植物, late spring plant), summer musari (summer plant), and monocotyledonous plant appeared at this time. That is.

Feather fern (羽狀複葉植物, bifoliate plant), autumn fern (秋節 植物, autumnal plant), ivy creeper (opposite-leaved chronically herbaceous), whole flower group Flowering, plywood), liana vines The same is true of 瓣花類.

Twisting tendrils (a group of forked flowers), branching tendrils (a group of forked flowers), seaweeds (coastal plants), high-mountainous plants (高山植物, alpine plants), aquatic plants (water life)植物, aquatic plants), and research data on insects feeding in Korea (food and insectivorous plants) have been published.

In addition, amniotic membrane (Agibo), plants (seaweed), animals (mosquitos), auditory nerves (sensation), anesthetics (drowsiness), protective color (gangumbit), protein (white ash soup), low temperature (shallow water), childbirth (Aenae), vulva (ambuguri), ovarian hormone (acceleration of eggs), density (shortcuts), electrons (lightning), pigment (sensation of light), scientist (baebaeseonbi), and tentacles (touchworms) were coined at the time. .

Since then, the names of 2,000 plant species have been systematically compiled and jointly written and published <Chosun Botanical Myeongjip> and <Chosun Plant Name Collection>. This was the first time that Joseon people's hands arranged plants according to modern science and set standard names for Korean plants.

In 1935, Jang contributed two papers, “Pyongyang Mulji (平壤植物誌)” and “Chosun Plant Sophomore (朝鮮植物小報)” in the first issue of the Chosun Plant Research Association <Chosun Native Plants>. In 1936, historian Hong-ryeol Yoo, zoologist Bok-seong Jo, ornithologist Hong-gu Won, and navigator Joo-myung Seok participated in the exploration of Mt. Baekdu.

Afterwards, the teacher stayed in Jeollanam-do to investigate plants in the southern regions, including Mt. Jirisan, and led the publication. <Jeonnam-do Plants (1940)> is a collection of research and study records of 1,939 plant species in Jeollanam-do and Jeju-do at the time.

In particular, the use of about 200 types of plants and the contents of folk prescriptions were evaluated to be much more specific and detailed than Heo Jun's <Donguibogam>. After liberation, while serv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he wrote a botanical encyclopedia called <Student Plant Walk (1949, Hydrological Center)>. It drew attention to the point that it was printed up to 4 prints within a year.

Jang was also a national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o refused to change his family name. The tomb of a teacher who died unfairly from torture and death when he was young is located at the southern end of Manguri Park. His cemetery was refurbished in 2019 by his descendants 70 years after his death.

In 2020, the 8.15 special documentary 'Jang Hyung-doo and our Muse-sari' produced by Gwangju MBC was aired. The first Korean botanist, Jang Hyeong-doo, was the one who gave the names of Korean plants such as windflower, celandine sac, celandine, and juniper. daipapa@hanmail.net

 

*Writer/Kim Soo-Jong

Kim Soo-jong was born in Anjeong-myeon, Yeongju-si, and was born on a rice harvesting day in the fall of 1968. He is also very interested in literature and history, which are the same stems, thanks to his study of philosophy, a scholarly discipline at university. He mainly researches, takes pictures, and writes while visiting relics and sites related to history and culture. In the meantime, he has written and published books such as <Compete with Passion and Perseverance> <Walk the Youngju> <Walk through history and culture, the traces of its life> and <Republic of Korea lives only when the provinces live>.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member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and Manguri Committee at the Korea National Trust (NT), where he is acting as a private cultural agency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