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비화 공개]정주영, 동생 '정신영'을 그리워하며 '정신영 회관'을 만들다!

현대그룹 창업자 고 정주영 회장, '정신영 회관' 기증-은퇴 언론인들 보금자리로 쓰도록 해

김기만 전 청와대 춘추관장 | 기사입력 2021/12/01 [10:22]

1957년 독일유학 출발 전. 왼쪽부터 김주영(정주영 여동생 정희영의 남편, 후에 현대중전기 회장), 정상영 (후에 KCC그룹 회장), 정주영, 정신영, 정인영(후에 한라그룹 회장), 정순영(후에 현대금속 회장).  ©브레이크뉴스

 

필자는 요즘 서울 종로구 인사동(정확히는 관훈동)에 한 주 3-4일 나간다. 지난 달 6일 코바코(방송광고진흥공사) 사장에서 물러난 다음부터 그렇다. 이 곳에는  만들다! 한 마디로 '은퇴한 언론인들을 위해 최적화(最適化)된 공간' , 우리 스스로  '집현전(集賢殿)'이라 이름지은 '정신영 회관'이 있기 때문이다. 4층 건물인 이 회관의 1층은 고(故) 정신영(鄭信永) 기자를 위한 갤러리이다. 31살 짧은 나이로 세상을 떴지만 그가 살아온 족적(足跡), 특히 관훈클럽 창립 때의 사진이랄지  기자생활의 편린(片鱗)들이 가득히 모여 있다.

 

2층은 손님들 맞는 응접실, 회의실, 오락실과 장서실 등으로 잘 꾸며져 있다.

 

그리고, 저희들이 가장 아끼는 공간인 3층에는 컴퓨터실, 신문잡지 독서실, 작은 카페와 함께 20개의 '개인책상'이 놓여있는 이른바 '집필실'이 있다. 모든 시설이 공용(共用)이나 이 책상만큼은 개인용이다. 이 공간에서 책도 보고 글도 쓰고 하다가, 컴퓨터 쓸 일이 있으면 컴퓨터실로 가면 되고, 팩스를 쓰려면 팩스실로 가면 된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이 책상 얻기 경쟁도 심했지만 지금은 그렇지는 않다.  커피를 비롯한 모든 음료는 회관 측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그야말로 무료로 사용하는 '완벽한 개인사무실'이다.

 

▲ 관훈클럽-'정신영 회관' 건물.  -Shin-Young Hall Building.   ©브레이크뉴스

 

무엇보다 이 곳이 좋은 것은 주소지는 관훈동이지만 실제로는 인사동 한복판 골목(수도온누리 약국 맞은 편)에 있기 때문에 지인들과 가성비(價性比) 높은 인사동 식사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대략 1만5천원에서 2만원이면 괜찮은 한정식을 먹을 수 있다.

 

이제 이 회관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기술하려 한다. 언론인들 외에는 잘 모르는 히스토리이다. 현대그룹 창업자인 고(故) 정주영 회장은 자녀도 8명이나 두었지만 그 자신도 7남매의 장남이었다. 강원도 통천(通川, 지금은 이북) 출신인 그는 초등졸업이 학력의 전부였다. 평소 "나는 소년 시절 동아일보로 공부했다"는 말을 자주 했다. 실제로 그는 동네 이장 집에 유일하게 우편으로 들어오는 동아일보를 매일 저녁 이장집에 찾아가 한두시간씩 빌려 읽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18살 때 아버지가 소 판 돈을 훔쳐 서울로 달아났고, 싸전과 자동차 수리업소를 차례로 차리며 현대그룹의 기반을 이루었다. "동아일보를 읽으며 자랐다"고 하는 그는 다섯째 동생인 정신영(鄭信永-1931-1962)을 특히 사랑했고 , 그가 공부를 잘 해 서울법대를 졸업하자 형의 권유로 동아일보 기자가 되게했다. 여기까지는 해피(행복한) 스토리이다. 

 

정신영 기자는 1957년 형의 권유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하기 위해 독일 함부르크 대학으로 떠났다. 공부를 하면서도 그는 '동아일보 유럽통신원'으로 기자 일을 겸한다. 1961년에는 당시 '베를린 위기'를 취재해 동서 베를린으로 갈리는 생생한 현장을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불행히도 1962년 8월 독일취재 중 '장폐색증'이 발견됐고, 함부르크대 병원에서 수술 도중 사망했다. 더욱이 그는 사망 두 달 후인 10월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을 예정이었기 때문에 더욱 큰 안타까움을 샀다.

 

정신영 기자가 사망하자 정주영 회장은 너무 슬퍼한 나머지 일주일 동안 회사에 출근하지 않고 울었다고 한다. 정주영 회장의 단장(斷腸)의  슬픔은 그의 자서전에도 적나라하게 적혀 있다.

 

"나는 신영이를 특별히 좋아한다는 것도, 기대가 크다는 것도, 자랑스러워 한다는 것도 단 한번도 말하고 표현하지 못한 게 평생 후회 된다".

 

▲정신영 회관 1층에 있는 정신영(鄭信永) 흉상(왼쪽)과 김기만 전 청와대 춘추관장(오른쪽).    ©브레이크뉴스

고 정신영 기자의 부인 장정자 여사(1935년 생)는 서울현대학원 이사장이며, 슬하에 1남1녀가 있다. 동생이 떠난 뒤 정 회장은 언론계를 위해 여러 가지 뜻있는 일을 한다. 먼저 거액을 내놓아 '신영기금'을 만들고 언론인의 해외연수와 언론활동을 도왔다. 이어 동생이 고 박권상, 조세형 님 등 한국 언론계의 거목(巨木)들과 함께 '관훈클럽'을 만들었던 터에 '정신영 회관'을 지어 기증하고, 은퇴 언론인들의 보금자리로 쓰도록 했다.

 

정신영은 기자정신이 충일했던 것 같다. 한국전쟁이 터진 와중에 모두가 피난을 가는데, 정 기자는 동아일보 사옥에 혼자 남아 "서울의 외국기관들이 철수하려 준비한다"는 내용의 '호외(號外)'를 1950년 6월27일자로 만들어 뿌리고 홀로 피난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지난 11월30일 세류(細流)같은 비속에 낙엽이 포도(匍道)를 채운 인사동 거리는 늦가을 서정의 절정이었다. 이 길을 걸으며 공부 공간 '정신영 회관'으로 오다 정주영(鄭周永), 정신영(鄭信永) 형제에 대해 생각해 봤다. 동아일보를 읽고 자란 정주영 회장이 그렇게 자랑스러워 했던 동아일보 기자 정신영의 죽음을 알았을 때 그 심정이 어떠했을까를 유추해 보면서. 

 

<편집자의 글>이 글은 김기만 전 청와대 춘추관장(전 동아일보 파리특파원. 전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11월30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며, 필자의 허락을 얻어 본지에 게재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as'Google Translate'.

 

[Secret Story Revealed] Joo-Young Jung misses her younger sister, ‘Shin Jung-Young’ and creates a ‘Shin Jung-Young Hall’!

Hyundai Group founder and late Chairman Ju-Young Chung, donated the 'Shin Jung-Young Hall' - Let it be used as a home for retired journalists

- Kim Keyman, a former Blue House press secretary

 

These days, I go to Insa-dong (Kwanhun-dong, to be exact) in Jongno-gu, Seoul 3-4 days a week. This has been the case since he resigned as president of Kobaco (Broadcast Advertising Promotion Corporation) on the 6th of last month. In a word, this is because there is a 'space optimized for retired journalists' and 'Jiphyeonjeon (集賢殿)', which we called 'Shin Jeong-young Hall'. The first floor of this four-story building is a gallery for the late reporter Shin Jeong-young. Although he passed away at the young age of 31, he is full of traces of his life, especially photos from the founding of the Kwanhun Club, or fragments of his life as a journalist.

 

The 2nd floor is well decorated with a reception room for guests, a meeting room, an entertainment room and a library.

 

And, on the 3rd floor, our favorite space, there is a so-called 'writing room' with 20 'personal desks' along with a computer room, newspaper and magazine reading room, and a small cafe. All facilities are shared, but this desk is for personal use. In this space, you can read and write, and if you need to use a computer, you can go to the computer room, and if you want to use a fax, you can go to the fax room. Before COVID-19, competition for this desk was fierce, but not now. All beverages, including coffee, are provided free of charge by the hall. It is truly a 'perfect personal office' that you can use for free.

 

The best thing about this place is that although it is located in Gwanhun-dong, it is actually located in the middle of Insa-dong (opposite Sudo Onnuri Pharmacy), so you can enjoy high-cost Insa-dong meals with your acquaintances. You can eat decent Korean food for about 15,000 won to 20,000 won. Now I am going to describe how this hall came into being. It's a history that nobody knows except journalists. The late Chairman Chung Ju-young, the founder of Hyundai Group, had eight children, but he was also the eldest of seven children. Born in Tongcheon, Gangwon-do (now north of North Korea), graduating from elementary school was all he had. He often said, "I studied with the Dong-A Ilbo when I was a boy." In fact, it is said that he borrowed the Dong-A Ilbo, the only newspaper that comes in the mail to the head of the neighborhood, and borrowed it for an hour or two every evening. Then, when he was 18, his father stole some money from the sale and fled to Seoul, where he established a car dealership and an auto repair shop, forming the foundation of the Hyundai Group. He said,

 

"I grew up reading the Dong-A Ilbo," especially loved his fifth younger brother, Shin Jung-Young (1931-1962), and when he studied well and graduated from Seoul Law School, his older brother encouraged him to become a reporter for the Dong-A Ilbo. This is a happy story so far.

 

Reporter Shin Jung-young left for the University of Hamburg, Germany, in 1957, at the recommendation of his older brother, to pursue a doctorate in economics. While studying his studies, he also works as a reporter as 'Europe Correspondent for Dong-A Ilbo'. In 1961, he covered the 'Berlin Crisis' at the time and also reported the vivid scene of the division between East and West Berlin. Unfortunately, 'intestinal obstruction' was discovered during a German coverage in August 1962, and he died during surgery at the University of Hamburg Hospital. Moreover, it was even more disappointing because he was due to receive his 'PhD in Economics' in October, two months after his death.

 

When reporter Shin Jung-young died, Chairman Chung Ju-young said he was so sad that he did not go to work for a week and cried. The sadness of Chairman Ju-Young Chung's general manager (斷腸) is also clearly written in his autobiography. “I regret for the rest of my life that I could not say or express that I particularly like Shin Young, that I have high expectations, and that I am proud.”

 

Jung-ja Jang (born 1935), the wife of the late reporter Jung Shin-young, is the president of the Seoul Hyundai Academy, and she has one son and one daughter. After his brother's departure, Chairman Chung does a number of meaningful work for the media industry. He first donated a large sum of money to create a 'Shinyoung Fund' and help journalists train abroad and engage in media activities. Then, he built and donated the 'Shin Jung-Young Hall' on the site where his younger brother, the late Park Kwon-sang and Jo Se-hyung, had made the 'Kwan-Hun Club' together with the big trees of the Korean media industry, and made it a home for retired journalists.

 

It seems that Shin Jung-young was full of journalistic spirit. While the Korean War broke out, everyone was evacuating, and reporter Jung remained alone in the Dong-A Ilbo office building and distributed an 'extraordinary' dated June 27, 1950, saying, "Foreign organizations in Seoul are preparing to withdraw." There is an anecdote that he escaped alone. The streets of Insa-dong, where fallen leaves filled grapes in the rain like a trickle on November 30th, were the peak of late autumn lyricism. As I walked down this road, I thought about the brothers Jung Ju-yeong (鄭周永) and Jung Shin-young (鄭信永), who came to the study space 'Shin Jung-young Hall'. By inferring how Chairman Jung Ju-young, who grew up reading the Dong-A Ilbo, would have felt when he found out about the death of Dong-A Ilbo reporter Shin Jung-young, whom he was so proud of.

 

<Editor's Note> This article was posted on Facebook by Kim Keyman (former Paris Correspondent for Dong-A Ilbo), a former Blue House press secretary, on November 30, and is published in this paper with the author's permission.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