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거짓으로 점철된 유태인 디아스포라 이야기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2/03 [02:28]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디아스포라(Diaspora)의 어원은 고전 그리스어 '흩뿌리거나 퍼트리는 것' 을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 디아스포라(διασπορά)에서 유래하였다. 이 단어의 좁은 의미와, 대표적인 의미에서 디아스포라라고 하면 대체로 유태인 디아스포라를 의미하고 있다. 디아스포라가 처음으로 언급되는 부분은 <구약성경-신명기> 28:25의 추방에 대한 내용인 "그대가 이 땅의 모든 왕국에 흩어지고"이다. 그러나 유태인 디아스포라가 유명해지기 전에는 그리스인 디아스포라가 대표적인 디아스포라로 알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잦은 대규모 이주가 행해졌으며 폴리스를 생활 단위로 삼고 있었던 고대 그리스인들은 유럽 전역에 진출하여 도시국가를 건설했다. 이들 중 일부는 지금까지 대도시로 넓게 분포해 생존해 있다. 프랑스의 마르세유, 이탈리아 남부의 나폴리, 타란토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또한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정복과 대제국 건설 이후로는 많은 그리스인들이 동방에 식민시를 건설하기도 했다. 

 

히브리어 성경이 그리스어로 번역되면서, B.C 587-586년 바빌로니아인들이 이스라엘에서, A.D 70년 로마 제국이 유대 지방에서 유태인들을 추방하는 부분에서 디아스포라라는 단어가 쓰여 이 말이 지금의 의미를 얻게 되었다. 유태인의 경우, B.C 6세기 바빌론 유수로 인하여 중동 전역에 유태인 집단이 확산되었는데,  그 전까지는 선지자들과 왕들이 이에 대해 언급해도 유태-현지의 혼합 종교적인 관습이나 다신교 신앙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유수기의 시련을 거치면서 이와 같은 혼합 종교 관습이나 신앙 양태가 거의 사라질 정도로 대부분 근절되었다. 신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자유는 무조건 좋은 것이라는 일반적인 상식과는 다르게, 유태인들이 유수기 기간 동안, 삶에서 자율성을 탈취당한 것에 익숙해졌고, 더불어 자아가 약해졌으며 어렵고 힘든 삶 속에서 더욱 신앙에 의지하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기 때문에 유태인들의 유일신 신앙이 오늘날과 같았던 것이라 볼 수 있다. 

 

나중에는 이스라엘 신앙 분파들끼리 서로 우상숭배자 내지는 다신교도라고 비난하면서 경쟁적으로 일신교의 방향으로 나아갈 정도였다. 이후로도 유태인들은 팔레스타인에 지역의 재정착과 외세의 침입으로 인해 이주를 반복하게 된다. 역사상 가장 유명한 디아스포라 132년에 일어났는데, 제1차 유태-로마 전쟁(A.D 66~70), 바르 코크바의 난(A.D 132~135)에서 유태인들이 패배하고 난이 진압된 이후,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유태인들의 예루살렘 거주를 금지했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디아스포라 유태인들은 영적인 의미로 죄 많은 세상 가운데 자신들의 본향인 천국을 소망하면서 신앙을 지키며 힘겹게 살아가는 성도들을 상징하고 있다. 유태인들의 바빌론 유수 기간은 70년이었는데, 이 기간은 성경에서 말하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수명에 해당하는 기간이기도 하다. 즉, 당시 성도들은 인생 자체가 바빌론 유수 시기였고 그 한 세대 자체가 바빌론에서 포로 생활을 했던 것이다.

 

기독교가 퍼지기 시작했던 기원후 2~3세기에 이미 로마 시내 곳곳에는 유태인들의 집단 거주지인 게토들이 존재했다. 초창기 기독교인 사회의 중추는 유태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했던 이들, 혹은 유태교에 호감을 가지고 있던 그리스인들이 중추가 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유로 기독교 교세가 확장되기 이전에는 유태교와 기독교가 엄밀히 구분되었던 것도 아니었다. 또한 유태인들 외에도 유태교에서 개종한 기독교인들도 집단 거주지가 존재하고 있었다. 초기의 기독교는 유태교의 새로운 한 분파로써 시작했기 때문에 유태인들부터 기독교 전도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국제 언어나 마찬가지였던 그리스어를 이미 사용하고 있는 유대인 집단이 지중해 권역 곳곳에 자리잡고 있었다. 그동안 팔레스타인을 지배했던 아시리아, 히타이트, 페르시아, 마케도니아, 그리고 그 뒤를 이은 로마 제국까지 모두 광대한 영토를 차지했던 다민족 국가들이었다. 

 

또한 유태인들은 기독교가 지중해 문화권의 주요 종교가 되기 이전에 비(非) 유태인에 대한 선교를 하는 경우 역시 적지 않았고 디아스포라 및 개종자들이 증가하면서 아람어 및 그리스어 사용자들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고대의 그리스인이나 페니키아인, 카르타고인들도 그와 같이 지중해 전역에 퍼져 살면서 디아스포라 집단을 이루었다. 고대의 지중해는 하나의 큰 경제적 권역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지중해 권역 내에서 교류가 잦았던 것도 디아스포라 집단이 자리잡는데 큰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많은 유태인이 중동이나 유럽으로 퍼지면서 그들의 유랑기가 이어졌다. 많은 유태인들이 국외로 이주하게 되면서 이들은 로마 제국 내 각 지역에서 속주민으로 살아가게 된다. 이처럼 유태인들이 팔레스타인 일대에서만 거주하고 있다가 강제로 추방되었다는 인식이 있지만, 유태-로마 전쟁 이전에도 이미 많은 유태인들이 자발적으로 이집트나 소아시아 일대로 이주하고 있었다. 

 

애초에 B.C 4세기부터 A.D 1세기까지 약 500년 간 이어졌던 헬레니즘 시대부터 이미 분위기 자체가 국외 이주에 대해 반감하는 분위기가 아니었던 것이다. 상대적으로 로마 제국 속주화에서 미개발 지역이나 마찬가지였던 팔레스타인보다는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이 먹고 살기에는 매우 유리했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로마 제국이 예루살렘을 제외한 다른 팔레스타인 지방을 포함해 전 지역에서의 유태인 거주를 허용했다는 것에 있다. 또한 예루살렘 거주가 금지된 것은 유태교를 믿는 유태인들뿐이지 다른 신앙을 가진 유태의 혈통은 지속적으로 거주가 가능했다는 것이다. 이미 예루살렘이 아닌 다른 팔레스타인 지역에 거주가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유태인들은 거의 자발적으로 팔레스타인을 떠났다. 압제자들에게 온갖 고통을 받으며 이스라엘 유태인들이 세계를 떠돌아 다녔다는 세계사의 고정적인 관념은 결국 거짓이고 홀로코스트로 나타난 피해자 코스프레의 사기극이었다. 

 

그런 자들이 팔레스타인 땅에 들어와 말뚝을 박고, 본인 조상들의 고유 영토라 주장하는 뻔뻔함을 보이고 있다. 결국 거의 자발적으로 팔레스타인을 떠난 유태인들을 보고 압제자에 의해 강제로 흩뿌려진 디아스포라(Diaspora)라 볼 수 있을까? 유태인들의 역사적 사기극, 세계인들에 대한 기만의 기원은 그들이 주장하는 피해자 코스프레, 디아스포라(Diaspora)에 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tory of the Jewish Diaspora Filled with Lies

Columnist Jeong Gil-seon

 

The etymology of the word diaspora comes from the Greek word diaspora (διασπορά), which means 'to scatter or spread' in classical Greek. In the narrow sense of this word and in the typical sense, diaspora generally refers to the Jewish diaspora. The first mention of diaspora is in the Old Testament - Deuteronomy 28:25, which is about the expulsion, "You will be scattered throughout all the kingdoms of the earth." However, before the Jewish diaspora became famous, the Greek diaspora was known as the representative diaspora. Frequent large-scale migrations took place since the ancient Greek era, and the ancient Greeks, who used polis as their living unit, expanded throughout Europe and built city-states. Some of them have survived to this day, widely distributed in large cities. Marseille in France, Naples and Taranto in southern Italy are representative examples, and after Alexander the Great conquered the East and established a great empire, many Greeks also established colonies in the East.

 

When the Hebrew Bible was translated into Greek, the word diaspora was used in the part where the Babylonians expelled the Jews from Israel in 587-586 B.C. and the Roman Empire expelled the Jews from Judea in 70 A.D., and this word acquired its current meaning. In the case of the Jews, the Jewish group spread throughout the Middle East due to the Babylonian exile in the 6th century B.C., and until then, although prophets and kings mentioned this, mixed religious practices and polytheistic beliefs of the Jews and locals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However, after going through the trials of the exile period, such mixed religious practices and religious forms were mostly eradicated to the point of almost disappearing. From a religious perspective,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that freedom is unconditionally good, during the period of exile, Jews became accustomed to having their autonomy taken away from them, and their ego became weaker, and they became more reliant on their faith in difficult and hard lives, which is why the monotheistic faith of Jews was like today.

 

Later, the religious sects of Israel even went so far as to criticize each other as idolaters or polytheists, and to move competitively toward monotheism. After that, Jews repeatedly migrated to Palestine due to local resettlement and foreign invasion. The most famous diaspora in history occurred in 132, when the Jews were defeated and suppressed in the First Jewish-Roman War (A.D. 66-70) and the Bar Kokhba Rebellion (A.D. 132-135), and Emperor Hadrian prohibited Jews from living in Jerusalem.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se Diaspora Jews symbolize the saints who live in a world full of sin, spiritually, while maintaining their faith and struggling to live while hoping for their homeland, heaven.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Jews lasted 70 years, which is the same as the life span of a typical person in the Bible. In other words, the saints at that time were in the Babylonian captivity themselves, and that entire generation was a captive in Babylon.

 

In the 2nd and 3rd centuries AD, when Christianity began to spread, ghettos, Jewish residential areas, already existed throughout Rome. The core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was made up of those who had converted from Judaism to Christianity or Greeks who had a favorable view of Judaism. For this reason, before the spread of Christianity, Judaism and Christianity were not strictly separated. In addition, there were also residential areas for Christians who had converted from Judaism in addition to Jews. Early Christianity began as a new sect of Judaism, so the missionary work began with the Jews, and in particular, Jewish groups that already spoke Greek, which was practically an international language, were established throughout the Mediterranean region. Assyria, Hittite, Persia, Macedonia, and the Roman Empire that followed, which ruled Palestine, were all multi-ethnic states that occupied vast territories.

 

In addition, Jews often conducted missionary work to non-Jews before Christianity became the main religion of the Mediterranean cultural sphere, and as the diaspora and converts increased, the number of Aramaic and Greek speakers began to increase. The ancient Greeks, Phoenicians, and Carthaginians also spread throughout the Mediterranean and formed diaspora groups. Since the ancient Mediterranean formed a large economic zone, frequent exchanges within the Mediterranean region were also a major factor in the establishment of diaspora groups. For this reason, many Jews spread to the Middle East and Europe, continuing their period of wandering. As many Jews emigrated abroad, they began to live as subjects in various regions of the Roman Empire. There is a perception that Jews were living only in the Palestine area and were forcibly expelled, but even before the Jewish-Roman Wars, many Jews were already voluntarily emigrating to Egypt and Asia Minor.

 

In the first place, the atmosphere itself was not antipathetic to emigration since the Hellenistic period, which lasted for about 500 years from the 4th century B.C. to the 1st century A.D. In order to make a living, it was much more advantageous to emigrate to other regions than Palestine, which was relatively undeveloped in the Roman Empire.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the Roman Empire allowed Jews to reside in all regions of Palestine, except Jerusalem. In addition, only Jews who believed in Judaism were prohibited from living in Jerusalem, while Jewish bloodlines of other faiths were allowed to continue to reside there. Even though it was already possible to reside in other Palestinian regions other than Jerusalem, Jews left Palestine almost voluntarily. The fixed idea of ​​world history that Israeli Jews wandered the world, suffering all kinds of pain from their oppressors, was ultimately a lie and a fraud of victim cosplay that appeared in the Holocaust.

 

Such people are shamelessly entering Palestinian land, driving stakes, and claiming it as their ancestors’ original territory. Can we ultimately see the Jews who left Palestine almost voluntarily as a diaspora forcibly scattered by their oppressors? The origin of the historical fraud of the Jews and their deception of the world lies in their victim cosplay and diaspora.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