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북부 이스라엘에 대한 헤즈볼라의 공격으로 대규모 전쟁을 벌이게 되면서, 이는 양측에 큰 인명 피해를 초래했다. 이후에도 이스라엘은 레바논 남부와 시리아 내 헤즈볼라 군사기지에 대한 공습을 지속하며 헤즈볼라의 군사력 강화를 억제하려 했다. 그리고 헤즈볼라의 수장 하산 나스룰라는 하마스의 수장 이스마일 하니예와 개인적 친분과 더불어 두 단체 연대 의사를 표시했으며, 팔레스타인 문제에 있어 이스라엘에 반대하는 입장을 공유하면서 이스라엘에 저항했다. 그러나 2023년 하마스-이스라엘 전쟁 이전까지 헤즈볼라는 군사적 개입을 자제하고 이스라엘과의 직접적 충돌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유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2006년의 레바논 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헤즈볼라는 공식적으로 전쟁을 벌이지 않았지만 국경 인근에서 크고 작은 무력 충돌이 자주 발생하면서 소규모적인 전투를 벌인다. 2019년 베이루트에서 발생한 드론 충돌 사건이나 2020년 골란고원 인근 교전 등이 대표적인데 그 외에도 2010년 8월 이스라엘 군의 경계초소에 대한 헤즈볼라의 공격, 2012년 12월 이스라엘 군이 레바논 국경 근처에서 헤즈볼라의 군사적 활동을 저지하기 위해 공습을 단행했다.
2015년 이스라엘 군이 시리아에서 헤즈볼라 전투원들을 공습, 2018년 이스라엘 군이 레바논 국경 근처에서 헤즈볼라의 터널을 발견하고 파괴, 2021년 7월 국경 근처에서 교전, 2022년 이스라엘 해군이 레바논 해안 근처에서 드론을 사용하여 헤즈볼라의 무기 공급선을 감시 등의 크고 작은 개별적인 전투가 있었다. 그러면서 이스라엘은 헤즈볼라가 레바논 내에서 군사력을 증강하고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을 우려하며 정기적으로 공습을 감행했고, 헤즈볼라는 이에 대응해 이스라엘 측 군 시설을 공격하곤 했다. 이후 하마스가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에 대대적인 공격을 개시한 후, 헤즈볼라는 가자 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강경 대응에 맞서기 위해 북부 전선에서 공격에 가담하게 된다. 이는 하마스와의 연대 의식을 표명하고, 레바논 내부 및 아랍 세계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목적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헤즈볼라는 이로써 이스라엘의 군사력을 분산시키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로부터 병력을 이탈하도록 압박하려는 전략적 목표도 포함했으며 이란의 지원과 예멘 후티의 후방 압박의 지원을 받아 다른 때와 달리 좀 더 여유있는 상태에서 이스라엘과 맞붙을 수 있었다.
본시 헤즈볼라는 이란으로부터 군사적,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고 이란의 대리전(Proxy Warfare) 전략의 일환으로 이스라엘과의 충돌을 지속하고 있었다. 이는 헤즈볼라가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강한 지지를 표명하며 이스라엘을 적대시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로 팔레스타인의 권리와 독립을 주장하고 있다. 헤즈볼라는 레바논 내부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해 반(反) 이스라엘주의 정서를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레바논 내에서의 지지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한 전략적 일환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이스라엘은 과거에 레바논 남부를 점령했던 역사가 있기 때문에 레바논 주민들의 반 이스라엘 감정은 매우 강한 편에 있다. 더불어 이스라엘군이 가자 지구를 통제하게 되면 레바논과 시리아 등 다른 지역의 무장 세력에게 간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도 함께 가지고 있다. 헤즈볼라는 이스라엘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레바논 남부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이스라엘의 지역적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는 것에 대해 매우 위협적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도 비슷한 양상이다. 나토가 지속적으로 동진을 추구하면서 러시아 국경 일대까지 나토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는 것에 대해 러시아가 이를 매우 위협적으로 간주했던 것이다.
따라서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내로 진입하는 것은 헤즈볼라 입장에서 이스라엘이 넘지 말아야 할 선으로 판단했다.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의 북부 지역을 위협함으로써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하는 것에 부담을 주고, 자원을 분산시키는 전략으로 일관해 결국 이스라엘군의 하마스 공략과 헤즈볼라와의 전면전으로 양분화 되는 현상을 만들었다. 이는 이스라엘의 군사 작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스라엘은 두 개의 전선에서 전력을 분산해 집중해야 했다. 헤즈볼라는 로켓과 무인 항공기를 사용해 이스라엘 북부의 군사 및 민간 시설을 타격했고, 이에 맞서 이스라엘도 보복 공격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전면전이 시작되었다. 이후 2024년 2월 4일에는 헤즈볼라가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과의 연대를 선언하면서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격에 대해 민간인 폭격 등으로 인한 각종 전쟁 범죄를 비난했다. 이 때 헤즈볼라는 알 자지라와 인터뷰에서 "가자지구가 자유를 찾을 때까지 저항을 멈추지 않을 것(لن نتوقف عن المقاومة حتى تحرير غزة.)"이라고 경고했다.
2024년 5월 13일 하산 나스룰라는 가자지구의 상황이 종료되지 않는 한, 이스라엘과의 국경 지역에서 전투가 계속될 것이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그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철수하지 않으면 충돌이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명확히 했으며 7월 27일에는 헤즈볼라가 골란 고원의 마즈달 샴스 지역에 로켓을 발사하면서 이스라엘 측의 어린이 12명을 포함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공격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와의 분쟁이 확대되는 시기에 일어났고, 이후 헤즈볼라는 북부 이스라엘 지역으로 지속적인 공격을 감행하면서 이스라엘의 공격 효율성을 떨어뜨렸다. 이러한 공격은 이스라엘이 헤즈볼라 고위 인사인 푸아드 슈크르(Fuad Shukr)에 대한 보복 타격을 가하기 직전의 사건으로 이스라엘이 헤즈볼라의 주요 인사들에 대한 암살을 시도하는 계기가 된다. 결국 7월 30일 이스라엘이 헤즈볼라의 고위 인사인 푸아드 슈크르를 목표로 베이루트 남부의 하레트 흐레이크에 위치한 슈크르의 주거 건물을 공습했다. 이스라엘은 이 공습이 푸아드 슈크르를 대상으로 한 것임을 밝혔으며 당시 슈크르는 헤즈볼라의 군사 지휘 최고 기구인 지하드 위원회의 핵심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과거 1983년 베이루트에서 발생한 미 해병대 막사 폭탄 테러에 관여했던 인물이었고, 이후 이란으로부터 장거리 미사일 기술을 이전하는 역할을 수행해 온 인물로 이란 군부와 아주 각별한 사이다. 헤즈볼라는 슈크르의 생사 여부에 대해 즉각적인 언급을 피했지만 공습으로 인한 피해를 조사 중에그의 사망을 확인했다. 8월 25일에는 헤즈볼라의 무기 저장고와 드론 기지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습이 있었다. 이스라엘은 헤즈볼라가 슈크르 암살에 대한 대규모 보복 공격을 준비 중이라는 정보를 바탕으로 이를 방해하기 위해 공습을 강화했던 것으로 보여 진다. 그리고 다음 날 새벽, 헤즈볼라는 수백 발의 로켓과 무인 항공기를 이스라엘 북부 지역에 발사하며 반격했다. 주요 목표는 이스라엘의 군사 기지와 민간 인프라였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 방어 시스템에 의해 일부 공격이 차단되었지만 상당수가 이스라엘 영내로 낙하하여 많은 피해를 입었다. 그러면서 헤즈볼라는 또한 이스라엘에 대한 대규모 지상 공세 가능성도 시사했다. 9월 17일에는 이스라엘에 의해 레바논 및 시리아 무선호출기 폭발하면서 사망 사건이 발생했고 9월 20일에는 헤즈볼라 특수부대 라드완 부대 이브라힘 아킬 사령관의 공습을 받고 아킬 사령관 사망했다.
9월 20일 이스라엘은 다시 한 번 레바논 남부에 있는 헤즈볼라의 군사 시설을 대대적으로 공습했다. 이 공습으로 헤즈볼라 고위 간부들이 사망하였고, 그중에는 이스라엘과의 충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이들이 포함되었으며 일주일 뒤인 27일에는 헤즈볼라의 지휘부가 폭격을 당해 수장인 하산 나스룰라가 사망했다. 헤즈볼라는 폭격에 의해 수장은 물론 고위급 인사들이 대부분 사망한 비상사태가 일어났다. 이는 이스라엘이 헤즈볼라를 대상으로 한 핵심 인사들을 향한 암살 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났음은 물론 이란과 전면전을 불사하겠다는 강경 의사를 내비친 사건이 되었다. 그리고 10월 1일에는 레바논 접경 지역에 대규모 전차와 보병을 집결시킨 이스라엘군이 결국 레바논 남부를 전격 침공했다. 이스라엘군은 점령과 레바논 주민들이 목표가 아니라 주장했지만 이는 앞으로 있을 장기적인 공격작전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스라엘은 주로 남부 지역에서만 헤즈볼라를 목표로 한 지상작전을 빠르게 수행하고 철수할 것이라 밝혔지만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주 전장은 가자지구에서 레바논 남부로 옮겨가게 되었다.
그리고 당일에는 이란이 공식적으로 군사작전을 개시했다. 이는 제2차 진실의 약속 작전으로 불리며 헤즈볼라 수장 하산 나스랄라의 암살에 대한 보복 조치로 가한 미사일 공격이다. 이번 공격은 지난 4월 공격과 같이 이스라엘의 군사시설을 목표로 삼았다. 당시와 차이점이 있다면 미사일 200발에 달하는 형태로 이루어졌고, 드론은 거의 동원되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결국 이틀 전, 11월 27일 헤즈볼라-이스라엘은 60일 휴전에 합의했다. 이에 이스라엘 내각이 극적으로 휴전을 승인하면서 2024년 11월 27일 오전 4시부터 60일 동안 휴전이 시행된다. 휴전 합의 내용은 최소 2개월 동안 서로 교전을 중단하고 레바논 남부와 이스라엘 접경지에 헤즈볼라 무장 세력이 철수하는 조건이 붙었으며 이스라엘 군대도 철수하기로 했다. 레바논 남부 지역에는 10,000명 이상의 레바논군과 유엔 평화유지군(UNIFIL)이 배치되고 미국이 주도해 휴전 합의 사항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유엔 결의안 1701과 같은 내용으로 미국 입장에서는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처음으로 이루어진 외교적 성과라 볼 수 있겠다.
그러나 휴전에 합의한 이후에도 불과 이틀 밖에 지나지 않았는데도 이스라엘군의 산발적인 포격과 공습이 레바논 남부에 이루어졌다. 헤즈볼라는 휴전이 발효되자마자 이스라엘에 끝까지 저항하고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로 인해 양측의 긴장 수위는 여전히 높고 휴전이 제대로 이행될지에 대한 여부는 매우 불투명한 상황이다. 또한 미국이 휴전 이후에도 이스라엘에 무기와 탄약을 지원하면서 휴전은 그저 말뿐에 문서는 한낱 종이쪼가리 정도에 지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사실상 이 휴전의 의미는 이미 ICC로부터 기소되어 체포 영장을 발부 받은 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가 국제적인 비난을 환기시키며 ICC 결정에 불응하여 항소하는 시간을 벌기 위한 측면도 있다. 게다가 현재 이스라엘은 지속적인 병력 손실과 무기 손실이 막대하다. 1년이 넘게 싸우면서 장기전에 특화되지 못한 이스라엘이 군사적으로 버티기 힘들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미국이 얼마나 앞으로 지원해줄 수 있을지 알 수 없고, 반면 헤즈볼라는 이란의 지원이 끊기지 않을 것은 명확하다. 이어 전쟁을 극도로 혐오하는 트럼프의 입장으로 볼 때도 이스라엘의 현 상황은 불안하기 이를데 없다. 즉, 헤즈볼라에 비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물론 이스라엘은 국가고, 헤즈볼라나 하마스는 정당이자 단체다. 이들을 상대로 전쟁을 1년 넘게 끈다는 것도 그 동안 중동에서 강력함을 자랑했던 이스라엘의 자존심에 스크레치가 난 것은 사실이다. 게다가 이스라엘은 경제 사정도 썩 좋지는 않다. 더불어 미국도 예전의 모습이 아니다. 그동안 미국의 막강한 무력으로 인해 상당수의 중동 국가들이 가만히 있었던 것 뿐, 미국이 중동에서 영향력이 약화되면 가장 먼저 안보의 위협을 받는 국가가 이스라엘이다. 일련의 사태가 길어질수록 이스라엘은 중동 국가들에 의해 포위를 당하는 상황으로 몰릴 것이고 점차 불리하게 작용될 것은 당연하다. 물론 헤즈볼라도 재정비와 휴식이 필요하지만 타격이 큰 것은 이스라엘이다. 1년이 넘도록 싸우는 동안 거둔 소득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하마스와 헤즈볼라의 수장을 제거했지만 항상 은닉형 수장 및 관리들을 두는 아랍 문화적 전통으로 지도자는 늘 거기에 걸맞는 인물로 대체되어 왔다. 반면 지속적인 장기전을 치뤄본적이 없는 이스라엘은 전쟁의 피로도가 상당하다. 우크라이나도 마찬가지고 미국의 무기 지원이 없다면 두 나라 모두 파멸되었을 싸움인 것이다. 이 60일 동안의 휴전은 늘 중동전쟁에서 승승장구했던 이스라엘에게 있어 패배나 마찬가지다. 이스라엘은 이 전쟁에서 사실상 패배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60-Day Ceasefire Between Hezbollah and Israel
- Columnist Gil-seon Jeong
In 2006, Hezbollah's attack on northern Israel led to a large-scale war, which resulted in heavy casualties on both sides. Since then, Israel has continued to conduct airstrikes on Hezbollah military bases in southern Lebanon and Syria, attempting to suppress Hezbollah's military buildup. Hezbollah's leader Hassan Nasrullah expressed his personal friendship with Hamas' leader Ismail Haniyeh and his intention to unite the two groups, and shared a stance opposing Israel on the Palestinian issue, resisting Israel. However, until the Hamas-Israel War in 2023, Hezbollah refrained from military intervention and kept direct conflicts with Israel at a limited level. Nevertheless, since the 2006 Lebanon War, Israel and Hezbollah have not officially fought a war, but small-scale battles have occurred frequently, with large and small armed clashes occurring near the border.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drone crash in Beirut in 2019 and the clash near the Golan Heights in 2020. In addition, there were Hezbollah's attack on an Israeli military outpost in August 2010 and the Israeli military's airstrikes near the Lebanese border in December 2012 to stop Hezbollah's military activities.
There were individual battles, large and small, such as the Israeli military's airstrikes on Hezbollah fighters in Syria in 2015, the Israeli military's discovery and destruction of Hezbollah's tunnels near the Lebanese border in 2018, the clash near the border in July 2021, and the Israeli Navy's use of drones to monitor Hezbollah's weapons supply lines near the Lebanese coast in 2022. Meanwhile, Israel regularly conducted airstrikes out of concern that Hezbollah was building up its military power and developing missiles in Lebanon, and Hezbollah responded by attacking Israeli military facilities. After Hamas launched a large-scale attack on Israel on October 7, 2023, Hezbollah joined the attack on the northern front to counter Israel's hardline response to the Gaza Strip. This included expressing solidarity with Hamas and strengthening its influence within Lebanon and the Arab world. Hezbollah also had the strategic goal of dispersing Israel's military power and pressuring Israel to withdraw its troops from the Gaza Strip, and with the support of Iran and the Yemeni Houthis' rear pressure, it was able to confront Israel in a more relaxed manner than usual.
Originally, Hezbollah received military and financial support from Iran and continued to clash with Israel as part of Iran's proxy war strategy. This i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Hezbollah strongly supports the Palestinian issue and is hostile to Israel, insisting on Palestinian rights and independence. Hezbollah is using anti-Israeli sentiment to maintain and strengthen its political influence within Lebanon, which can be seen as a strategic move to solidify its support base within Lebanon. In particular, since Israel has a history of occupying southern Lebanon in the past, anti-Israeli sentiment among Lebanese residents is very strong. In addition, there is a sense of anxiety that if the Israeli military takes control of the Gaza Strip, it could indirectly threaten armed groups in other regions, such as Lebanon and Syria. Since Hezbollah is based in southern Lebanon, which borders Israel, it can view Israel’s growing regional influence as a great threat. This is similar to the Russia-Ukraine War. Russia viewed NATO’s continued eastward expansion and its growing influence up to the Russian border as a great threat.
Therefore, Hezbollah considered the Israeli military’s entry into the Gaza Strip as a line that Israel should not cross. By threatening the northern part of Israel, Hezbollah has consistently used a strategy of burdening Israel's military operations in the Gaza Strip and dispersing its resources, which has ultimately led to a situation where the Israeli army's attack on Hamas and an all-out war with Hezbollah have been divided. This has had a direct impact on Israel's military operations, and Israel has had to concentrate its forces on two fronts. Hezbollah used rockets and drones to strike military and civilian facilities in northern Israel, and Israel responded with retaliatory attacks, starting a full-scale all-out war. Later, on February 4, 2024, Hezbollah declared solidarity with the Palestinian resistance forces and condemned Israel's attacks on the Gaza Strip for various war crimes, including the bombing of civilians. At that time, Hezbollah warned in an interview with Al Jazeera that "We will not stop resisting until Gaza is free (لن نتوقف عن المقاومة حتى تحرير غزة.)" On May 13, 2024, Hassan Nasrullah announced that fighting along the border with Israel would continue unless the situation in Gaza ended. He made it clear that the conflict would not end unless Israel withdrew from Palestinian territories, and on July 27, Hezbollah fired rockets into the Majdal Shams area of the Golan Heights, causing many casualties, including 12 children on the Israeli side. This attack occurred during an escalation in the conflict with Israel in Gaza, and Hezbollah continued to launch attacks into northern Israel, reducing the effectiveness of Israeli attacks. This attack occurred just before Israel launched a retaliatory strike against a senior Hezbollah official, Fuad Shukr, and led to an Israeli attempt to assassinate key Hezbollah figures. Finally, on July 30, Israel targeted a residential building in Haaret Hreik, south of Beirut, targeting Fouad Shukr, a senior Hezbollah figure. Israel said the strike was aimed at Fouad Shukr, who was known at the time as a key figure in Hezbollah’s top military command body, the Jihad Council. He was a close friend of the Iranian military, having been involved in the 1983 bombing of the US Marine Corps barracks in Beirut and later played a role in transferring long-range missile technology from Iran. Hezbollah declined to comment immediately on whether Shukr was alive or dead, but confirmed his death while investigating the damage caused by the strike. On August 25, Israel conducted an airstrike on a Hezbollah weapons depot and drone base. Israel appears to have stepped up its airstrikes to disrupt Hezbollah’s preparations for a large-scale retaliatory attack in response to Shukr’s assassination. And the next morning, Hezbollah retaliated by launching hundreds of rockets and drones into northern Israel. The primary targets were Israeli military bases and civilian infrastructure. Some of the attacks were blocked by Israel’s Iron Dome defense system, but many landed in Israeli territory, causing significant damage. Hezbollah also hinted at the possibility of a large-scale ground offensive against Israel. On September 17, Israeli forces killed a Lebanese and Syrian radio beeper when it exploded, and on September 20, Hezbollah’s Radwan Special Forces unit commander Ibrahim Aqil was killed in an airstrike.
On September 20, Israel again launched a massive airstrike on Hezbollah’s military facilities in southern Lebanon. The airstrikes killed several senior Hezbollah officials, including those who had played a key role in the conflict with Israel, and a week later, on the 27th, the Hezbollah command center was bombed, killing its leader Hassan Nasrullah. Hezbollah was hit by a bombing, and most of its high-ranking officials were killed. This was an incident that showed Israel's strong will to launch an all-out war with Iran, as well as the successful conclusion of an assassination operation targeting key figures in Hezbollah. Then, on October 1, the Israeli army, which had massed a large number of tanks and infantry in the Lebanese border area, finally launched a surprise attack on southern Lebanon. The Israeli army claimed that the occupation and the Lebanese people were not the target, but this was evaluated as carrying out a long-term offensive operation to come. Israel announced that it would quickly conduct a ground operation targeting Hezbollah mainly in the southern region and then withdraw, but this promise was not kept, and the main battlefield shifted from the Gaza Strip to southern Lebanon.
Then, on the same day, Iran officially launched a military operation. This was called the Second Promise of Truth Operation, and it was a missile attack in retaliation for the assassination of Hezbollah leader Hassan Nasrallah. This attack, like the attack in April, targeted Israeli military facilities. The difference from that time was that it consisted of 200 missiles and almost no drones were mobilized. Finally, two days ago, on November 27, Hezbollah and Israel agreed to a 60-day ceasefire. The Israeli cabinet dramatically approved the ceasefire, and the ceasefire will be implemented for 60 days from 4:00 AM on November 27, 2024. The ceasefire agreement included conditions for a minimum of two months of fighting, the withdrawal of Hezbollah militants from southern Lebanon and the border with Israel, and the withdrawal of Israeli troops. More than 10,000 Lebanese troops and UN peacekeeping forces (UNIFIL) will be deployed in southern Lebanon, and the United States will take the lead in monito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easefire agreement. This is the same content as UN Resolution 1701, and from the US perspective, it can be seen as the first diplomatic achievement since Trump was elected president. However, even after only two days since the ceasefire agreement, sporadic Israeli artillery fire and airstrikes have been carried out in southern Lebanon. As soon as the ceasefire went into effect, Hezbollah announced that it would resist Israel to the end and support Palestine. As a result, tensions between the two sides remain high and it is very unclear whether the ceasefire will be properly implemented. In addition, the United States has continued to supply weapons and ammunition to Israel even after the ceasef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