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혁명주의를 정립하고 발전시키며 확산시킨 이들이 '1860년대의 사람들'이다. 이들은 자신들을 반체제 혁명 운동의 새 세대로 자처하고, 선배들을 옛 세대라고 비판하면서 '1840년대의 사람들'보다 훨씬 더 과격하게 사고하고 행동했다. 그들 가운데 대표적 이론가이며 운동가가 체르니셰프스키(Николай Гаврилович Чернышевский, 1828~1889)였다.
체르니셰프스키 역시 라즈노치네츠 출신으로, 이미 대학생 시절에 차리즘의 파괴를, 곧 러시아의 혁명을 주장하게 되었다. 지방의 교사로 출발했던 그는 곧 수도의 출판계로 전직하여, 벨린스키의 제자뻘로 당대의 정상급 시인인 네크라소프(Nikolai Nekrasov)가 이끌던 잡지 「소브레멘니크(Sovremennick : 동시대, 현대, 동시대인, 현대인 등으로 번역됨.)」의 편집에 참여하게 되었다. 「동시대인」은 「러시아의 말(Russkoe Slovo)」과 더불어 과격한 잡지로서 쌍벽을 이루고 있었다.
1860년대에 들어서면서 러시아에서 제일 가는 월간지로 자리를 굳히게 되는 「동시대인」에서의 활동을 통해 그는 곧 도브롤류보프(Nikolai Dobroliubov) 및 피사레프(Dmitrii Pisarev)와 같은 젊은 급진주의자들을 만나게 되었고, 이들과 함께 과격한 혁명주의를 전파하기 시작했다. 그들 가운데 피사레프는 제정러시아의 독특한 사상적 조류인 니힐리즘(Nihilism), 이른바 허무주의를 정립하고 전파한 사람들 가운데 대표적인 사람으로 꼽힌다. 이들에게는 곧바로 불운이 뒤따랐다.
도브롤류보프와 피사레프는 요절했고, 체르니셰프스키는 투옥되었다. 만 34세의 체르니셰프스키는 그 때로부터 2년 동안 계속된 첫 번째 옥중 생활을 보람 있게 보냈다. 「무엇을 해야 하나? 새로운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들(What Is To Be Done? Tales about New People)」이라는 정치소설의 집필을 통해 '사회주의 러시아 국가'의 상(像)을 제시한 것이다.
그는 여기서 지식인의 사명은 인민을 교육함과 아울러 지배층을 각성시키는 것이라고 가르쳤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는 지식인에 의해 계몽된 인민이 이끈 차리즘의 타도와 사회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사회 질서'의 창건을 제창했다. 그러면 농업적인 국가인 러시아가 어떻게 사회주의적 질서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인가? 유럽에서 이미 비판되고 있는 불건전하고 부도덕한 자본주의의 단계를 거쳐야 할 것이 아닌가?
이 물음에 대해 그는 '회피의 원칙'과 '역사의 도약 이론'을 제시했다. 러시아는 러시아 특유의 농촌공동체적 전통을 잘 살림으로써 자본주의의 단계를 회피하고 사회주의의 단계로 도약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물론 헤겔(Georgy W.Friedrich Hegel, 1770~1831)이 제시했던 변증법적 역사 발전 과정의 부인이었다. 그러나 그 주장은 러시아의 농민을 바탕으로 사회주의 혁명을 성취하고 싶었던 1860년대와 1870년대의 러시아 청년들에게 큰 자극을 주었다.
러시아 전제정치의 근본적 변화는 불가능하다는 개혁가들의 예상과는 달리 20세기 초반 예기치 않게 혁명이 발생한다. 역사는 이를 ‘제1차 러시아 혁명’ 혹은 ‘1905년 혁명’이라고 불렀는데, 불을 당긴 것은 러일전쟁의 패배 분위기에서 터졌던 이른바 ‘피의 일요일 사건(1905년 1월 22일)’이었다. 오랜 시간 중노동과 열악한 임금으로 고통받던 사람들은 극심한 가난과 배고픔에 지친 나머지 황제에게 직접 탄원하기 위해 한겨울의 매서운 추위에도 불구하고 페테르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광장과 거리를 가득 메웠다.
이들이 한 목소리로 외친 것은 8시간 노동과 최저임금제였다. 시위대는 차르의 초상화를 든 노동자들이 중심이 되어 황제가 있는 왕궁(겨울궁전이라 불린)으로 향했다. 왕궁 경비병들의 발포로 시위 첫날에만 3천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왕궁 경비대의 무자비한 발포는 19세기 중반 이래 차르 정부의 반동개혁정치의 여파로 누적된 문제들과 연속적인 전쟁 패배(크림전쟁과 러일전쟁 등)로 고조되어있던 러시아인들의 불만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이어 전국의 도시에서는 노동자들의 동맹파업, 농노들의 폭동, 소수민족의 반란까지 일어났다. 페테르그라드에서 시작된 시위가 경비대의 무자비한 발포 이후 모스크바를 비롯한 전국 각지로 퍼지며 제1차 러시아혁명이 일어났다. 모스크바에서는 대규모 무장봉기로까지 발전했다. 차르였던 니콜라이 2세가 국민의 기본권 인정, 선거에 의한 제헌의회 창설 등을 약속하는 ‘10월 선언’을 발표했지만, 노동자들과 농노들의 투쟁은 그해 12월까지 이어졌다. 시위대의 수는 모스크바에서만 무려 5만 명을 넘어섰다.
20세기 초반 제정 러시아를 위기로 몰고 갔던 제1차 러시아 혁명은 차르의 군대가 효과적인 진압 작전을 펼치고, 혁명세력들의 내부 분열이 겹치면서 같은 해 12월 19일 종언을 고한다. 제1차 러시아 혁명은 제정 러시아를 뒤집지는 못했지만 다음 해인 1906년 5월, 러시아 역사상 처음으로 간접선거에 의한 민선 의회인 ‘두마(Duma)’의 창설을 이끌어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Nikolai Gavrilovich Chernyshevsky (1828-1889) and Russian Revolutionism
- Columnist Gil-seon Jeong
The people who established, developed, and spread Russian Revolutionism were the 'people of the 1860s'. The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a new generation of anti-establishment revolutionary movements, criticized their predecessors as the old generation, and thought and acted much more radically than the 'people of the 1840s'. Among them, the representative theorist and activist was Chernyshevsky (1828-1889).
Chernyshevsky was also from Raznochnetz, and while still a university student, he began to advocate the destruction of tsarism, that is, the Russian revolution. Starting out as a local teacher, he soon moved to the capital's publishing world, where he participated in the editing of the magazine "Sovremennik" (translated as contemporary, contemporary, contemporary, contemporary man, etc.) led by Nikolai Nekrasov, a disciple of Belinsky and a leading poet of the time. "Sovremennik" was on par with "Russian Words" (Russkoe Slovo) as a radical magazine.
Through his activities at "Sovremennik", which solidified its position as the leading monthly magazine in Russia in the 1860s, he soon met young radicals such as Nikolai Dobroliubov and Dmitrii Pisarev, and together with them he began to spread radical revolutionaryism. Among them, Pisarev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figure among those who established and spread nihilism, a unique ideological trend of Imperial Russia. Misfortune soon followed them.
Dobrolyubov and Pisarev died young, and Chernyshevsky was imprisoned. Chernyshevsky, who was 34 years old, spent his first two years in prison fruitfully. He presented the image of a 'socialist Russian state' through the writing of a political novel called 'What Is To Be Done? Tales about New People.'
Here, he taught that the mission of the intellectuals was to educate the people and awaken the ruling class. More specifically, he advocated the overthrow of tsarism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social order' based on socialism led by the people enlightened by the intellectuals. So how could Russia, an agricultural country, achieve a socialist order? Shouldn't we go through the unhealthy and immoral capitalist stage that is already being criticized in Europe?
In response to this question, he proposed the 'principle of avoidance' and the 'theory of historical leap'. He argued that Russia could avoid the stage of capitalism and leap to the stage of socialism by making good use of its unique rural community traditions. Of course, his argument was a denial of the dialectical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presented by Hegel (Georgy W. Friedrich Hegel, 1770-1831). However, this argument greatly stimulated the Russian youth of the 1860s and 1870s who wanted to achieve a socialist revolution based on the Russian peasantry.
Contrary to the reformers' expectations that a fundamental change in Russian autocracy was impossible, a revolution unexpectedly occur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History called it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or the ‘1905 Revolution’, and the spark that ignited it was the so-called ‘Bloody Sunday Incident (January 22, 1905)’ that broke out in the atmosphere of defeat in the Russo-Japanese War. People who had suffered from long hours of hard labor and poor wages, exhausted from extreme poverty and hunger, filled the squares and streets of St. Petersburg (now St. Petersburg) despite the bitter cold of midwinter to appeal directly to the emperor.
What they shouted in unison was the eight-hour workday and the minimum wage. The protesters, led by workers holding portraits of the tsar, headed to the palace (called the Winter Palace) where the emperor was. More than 3,000 people were killed or injured on the first day of the protest due to the palace guards firing. The merciless shooting of the palace guards added fuel to the Russian people's discontent, which had been growing due to the accumulated problems caused by the Tsarist government's reactionary reformist politics since the mid-19th century and the continuous defeats in wars (such as the Crimean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Then, workers' strikes, serfs' riots, and ethnic minority rebellions occurred in cities across the country. The protests that began in St. Petersburg spread to Moscow and other parts of the country after the merciless shooting of the guards, leading to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In Moscow, it developed into a large-scale armed uprising. Although Tsar Nicholas II announced the "October Manifesto," promising to recognize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establish a Constituent Assembly through elections, the struggle of workers and serfs continued until December of that year. The number of protesters exceeded 50,000 in Moscow alone.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which brought Imperial Russia to a crisis in the early 20th century, ended on December 19 of the same year due to the effective suppression operation of the Tsar's army and internal divisions among the revolutionary forces.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did not overthrow Imperial Russia, but in May of the following year, 1906, it led to the creation of the Duma, the first indirectly elected parliament in Russian history. lukybaby7@gmail.com
*Author/ Gil-seon Jeong.
Novatopos member,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