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문홍철 기자= 미국의 민주당과 공화당 양당이 동시에 지지하고 있는 청정경쟁법안이 의회를 통과해 2025년부터 시행될 경우, 국내 산업계는 향후 10년(2025~2034년)간 총 2조7000억원의 비용을 부담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8일 ‘미국 청정경쟁법의 국내 파급효과 및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청정경쟁법 도입에 따른 비용 규모를 추정하고, 탄소세 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 시사점을 제시했다.
한경협은 청정경쟁법이 도입될 경우, 향후 10년간 총 2조7000억원의 탄소세 비용이 유발되며, 적용범위에 따라 원자재(primary goods)와 완제품(finished goods)에 대해서 각각 1조8000억원, 90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석유 및 석탄제품(1조1000억원), 화학제조업(6000억원)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됐다.
미국 민주당이 2022년 6월 최초 발의한 청정경쟁법안은 국가 간 탄소집약도 차이에 따른 생산비용 격차와 가격경쟁력 약화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됐다. 민주당 상원 셀든 화이트하우스와 하원 수잔 델베네 의원은 2023년 12월 청정경쟁법안을 재발의한 상태로 해당 법안은 민주당과 공화당 양당이 모두 지지하는 법률로 평가된다.
청정경쟁법이 시행되면 미국과 원산지간의 탄소집약도 격차에 탄소가격을 곱한 규모의 탄소세가 부과되며, 탄소가격은 매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고려해 인상된다.
일례로, 한국 기업이 미국에 원자재를 수출하는 경우, 미국의 수입업자는 동법에 따라 탄소세를 납부하게 된다. 이때 수입업자는 국내 기업에게 이 비용을 전가하게 되며, 탄소세는 국내 기업에게 비용 부담으로 작용한다.
탄소세는 미국과 한국의 탄소집약도 격차, 탄소가격, 적용비율을 수출중량에 곱한 값에 의해 결정된다. 수치로 예를 들면 탄소집약도 격차가 1, 탄소가격이 톤당 55달러, 적용비율 1일 때 국내 수출기업이 100톤을 미국에 수출할 경우 5500달러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탄소세는 2025년 26개 에너지 집약 산업군에서 생산된 원자재에 최초 적용된 이후 2027년 완제품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한경협은 한국의 탄소집약도 개선속도가 주요국과 비교해 저조한 수준으로 미국이 청정경쟁법을 시행할 경우 국내 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5년간(2016~2020년) 한국의 탄소집약도 개선속도(2.4%)는 미국(4.9%), 일본(2.7%) 등 주요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정경쟁법의 탄소세 산식에 활용되는 국가 단위 탄소집약도는 2020년 기준으로 한국(0.14)이 미국(0.11)에 비해 1.2배 뒤처지며, 탄소집약도 개선속도는 2.5%p 하회(미국 4.9%, 한국 2.4%)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경협은 청정경쟁법 도입 시 기업들의 비용 경감을 위해 ‘발전부문’의 무탄소에너지 전환을 통한 탄소집약도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청정경쟁법에서 탄소세는 국가 단위(일반경제) 탄소집약도의 격차를 기준으로 산정된다. 발전부문의 무탄소에너지 전환은 산업, 건물, 수송 등 여타 부문의 주요 탈탄소화 전략인 전기화의 선결조건으로 알려진다.
실제, 국가 단위 탄소집약도 개선율에 따른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연간 탄소집약도 1% 개선 시 미국 탄소세(청정경쟁법) 비용은 4.9%(약 88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아울러 청정경쟁법은 원산지의 데이터 신뢰성에 따라 업종별 특수성을 고려한 탄소세 산출의 가능성을 명시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도로 출범한 탄소감축포럼(IFCMA)은 기후정책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및 탄소집약도를 연구하고, 그 결과는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포함해 청정경쟁법의 탄소세 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포럼에서 한국 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업종별 탄소집약도 개선 효과가 탄소세 비용 절감에 반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청정경쟁법은 탄소클럽(carbon clubs) 조항을 통해, 원산지에서 온실가스 배출에 대해 명시적인 비용을 부과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경우 탄소세(일부) 면제 규정을 명시하고 있다. 정부는 배출권거래제 유상할당 비율 상향 추이와 탄소가격 현황 등 탄소가격제 운영 현황을 바탕으로 미국과의 협상력을 사전에 확보할 필요가 있다.
break9874@naver.com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Hankyunghyup: If the US Clean Competition Act is introduced, domestic industries will incur costs of 2.7 trillion won over 10 years
It has been claimed that if the Clean Competition Act, supported by both the Democratic and Republican parties in the United States, passes Congress and is implemented from 2025, the domestic industry could incur a total of KRW 2.7 trillion in costs over the next 10 years (2025-2034).
On the 28th, the Korea Economic Association released a report titled ‘Domestic Impact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US Clean Competition Act’, estimating the scale of cos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Clean Competition Act and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burden of carbon taxes.
The Korea Economic Association analyzed that if the Clean Competition Act is introduced, a total of KRW 2.7 trillion in carbon tax costs will be incurred over the next 10 years, and depending on the scope of application, KRW 1.8 trillion and KRW 900 billion will be incurred for primary goods and finished goods, respectively. By industry, it is estimated that petroleum and coal products (KRW 1.1 trillion) and chemical manufacturing (KRW 600 billion) will be most affected.
The Clean Competition Act, first proposed by the US Democratic Party in June 2022, was motivated by concerns about the gap in production costs and weakened price competitiveness due to differences in carbon intensity between countries. Democratic Senator Sheldon Whitehouse and House Representative Susan DelBene re-introduced the Clean Competition Act in December 2023, and the bill is considered a law supported by both the Democratic and Republican parties.
When the Clean Competition Act is implemented, a carbon tax will be imposed based on the carbon intensity gap between the US and the country of origin multiplied by the carbon price, and the carbon price will be increased annually by considering the consumer price increase rate.
For example, when a Korean company exports raw materials to the US, the US importer will pay the carbon tax according to the law. In this case, the importer will pass this cost on to the domestic company, and the carbon tax will act as a cost burden for the domestic company.
The carbon tax is determined by the value of the carbon intensity gap between the US and Korea, the carbon price, and the application rate multiplied by the export weight. For example, if the carbon intensity gap is 1, the carbon price is $55 per ton, and the application rate is 1, when a domestic export company exports 100 tons to the US, the cost will increase by $5,500. The carbon tax will be first applied to raw materials produced in 26 energy-intensive industries in 2025, and will be expanded to finished products in 2027.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predicted that if the US implements the Clean Competition Act, it will inevitabl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domestic economy, as the carbon intensity improvement rate in Korea is low compared to major countries.
The carbon intensity improvement rate (2.4%) in Korea over the past five years (2016-2020)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S (4.9%) and Japan (2.7%). In particular, the national carbon intensity used in the carbon tax calculation of the Clean Competition Act was 1.2 times lower in Korea (0.14) than in the United States (0.11) as of 2020, and the carbon intensity improvement rate was 2.5%p lower (US 4.9%, Korea 2.4%).
Accordingly, the Korea Economic Association argued that efforts such as improving carbon intensity through the transition to carbon-free energy in the ‘power generation sector’ are necessary to reduce costs for companies when introducing the Clean Competition Act.
Under the Clean Competition Act, carbon taxe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gap in carbon intensity at the national level (general economy). The transition to carbon-free energy in the power generation sector is known as a prerequisite for electrification, which is a major decarbonization strategy in other sectors such as industry, buildings, and transportation.
In fa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enarios according to the national carbon intensity improvement rate, it was estimated that the cost of the US carbon tax (Clean Competition Act) would decrease by 4.9% (approximately KRW 8.8 billion) if the annual carbon intensity is improved by 1%.
In addition, the Clean Competition Act stipulates the possibility of calculating carbon taxes that take into account industry-specif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liability of data from the country of origin. The Carbon Reduction Forum (IFCMA), launch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alyzes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s of climate policies and studies carbon intensity, an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bon tax calculation of the Clean Competition Act, including the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play a leading role in this forum, thereby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effects of improving carbon intensity by industry to be reflected in reducing carbon tax costs.
In addition, the Clean Competition Act stipulates a carbon club provision that exempts (some) carbon taxes when a policy that explicitly charges costs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is implemented in the country of origin. The government needs to secure negotiating power with the United States in advance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bon pricing system, including the upward trend in the paid allocation ratio of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and the current status of carbon pr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