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1동 869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이자 과학중점고등학교가 청주고등학교(청주고. 이 학교 출신은 청고인)이다. 이 학교는 1924년에 ‘감사보은(感謝報恩)·지성관행(至誠貫行)·불언실행(不言實行)’으로 교훈을 제정했다.
현재는 ‘자아를 실현하는 학생, 사회에 봉사하는 학생, 국가에 헌신하는 학생’이라는 목표 아래, ‘청고인은 겨레 앞에 땀을 바치자, 청고인은 전통을 지키고 빛내자, 청고인은 신의와 우애로 뭉치자.’라는 구호를 정하고 실천에 힘쓰는 충청북도 최고의 명문 고등학교이다.
일찍이 1929년 광주학생사건 때 대대적인 항일운동을 전개하고, 독립운동에 앞장서 왔으며 과외활동으로 원탑문학회· 관악합주단· 미술부·유네스코학생회 등은 물론, 체육부의 야구·육상·탁구부 등에서 국가대표선수들을 다수 배출한 최고의 스포츠 문화예술의 산실이다.
그 배출한 인력들은 지혜롭고 진취적이며, 명예로운 청고인은 졸업생 총수가 이미 34,860명으로 한국의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전시의 타이틀처럼 “글월 문文()자에 칼끝 봉(鋒)자” 를 써서 문봉학사로서 최상 학문의 정점에 서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간 청주고는 각 분야에서 고르게 명사 졸업생을 많이 배출했는데, 여기에서는 한국의 문화 예술 중심에 우뚝 서 있는 예술계의 명사 중에 한국의 미술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분야는 서양화, 동양화, 조각, 사진, 서예, 애니메이션까지 폭넓고 다양하게 펼쳐져 있다.
먼저 조각가로는 김경화 작가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와 동 대학원 졸업하고, 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역임, 한국 현대 조각 회 회장, 홍익 조각 회 회장, 예총 예술문화상 대상 수상 대한민국 예술인상 대상 수상 공주대학교 명예교수를 지낸 그는 한국 조 각계의 입체적이고 조형적인 공간 세계를 구축한 최고의 원로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다음 김영택 사진작가는 전국 사진 공모 전 충북지부 금상을 받고 충북 예총 우수 예술인상을 받을 정도로 풍경 사진에 명성과 두각을 보여주었는데 그는 특히 해바라기나 이끼 등의 정적인 풍경을 독창적으로 포착하여 눈길을 끈 중견 사진작가이다.
동양화에는 다수의 작가가 배출되었는데 그 가운데 한국화가 김식이 활발하게 활동중이다.
1980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하고,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동경예술대학 대학원에서 유학, 귀국 후에는 홍익대학교 미술 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국내의 유명 샘터화랑을 비롯하여 특히 일본에서 KINTETSU 미술관 (동경)에서 전시를 하며 그의 작업은 청와대 금수 강산도로 유명하며, 풍경 위에 숫자를 형상화하는 독창적인 작업으로 주목을 받았다.
동문 중 빼놓을 수 없는 현대작가가 서양화에 김재관 작가이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 서양화를 졸업하고 홍대 국내에 미술학 박사 1호로도 유명하다. 특히 김재관 작가는 권위 있는 문신미술상 수상과 하종현 미술상 특별상, 자랑스런 박물관인상 수상할 정도로 미술계에 크게 기여했으며, 기하학적 평면과 입체 세계를 구축,프랑스와 이태리들에서 주목을 받은 국제적인 작가와 쉐마미술관 관장으로서도 그 명성이 드높다.
서예가로 널리 알려진 무각 김종칠도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서예과를 졸업 동대학원 수료,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는 물론, 청주 창작스튜디오 1기 선정작가로 선정, 개인전 25회로 프랑스, 러시아, 스위스, 폴란드, 키르키스탄 등 드물게 서예가로 모스크바 서예 박물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조각가 김지택도 역시 충북미술대전 초대작가, 청주교육대학교 명예교수로 공군사관학교 상징 조형물 건립하고, 청주교육대학교 명예교수로서 명성이 자자한데 그의 작품은 아주 부드러운 선과 조형으로 형상과 입체적인 감각적인 작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문인화가로 알려진 박해순 작가는 대한민국 서예대전에서 특선, 충북 서예대전 초대작가, 전국 단재서예대전, 세계 서예 전북비엔날레에서 우수상을 수상할 정도로 명성이 높은 작가이다.
화풍은 문인화풍의 분위기로 대나무 바람 좋은 날, 소나무 숲에 묘사를 탁월하게 표현했다.
수채화가 박희종 작가는 전공과는 다르지만 역시 공주사대 수학과 졸업하고, 바람 같이 살고 싶어 하면서 그림과 음악을 가까이 한 재주가 많은 전천후 작가의 스토리 작가이자 시민기자 출신이다.
그는 10여 회의 수채화 전시회를 할 정도로 활동도 많고 겸재진경 미술대전, 도솔 미술대전 등에 다수 입상하면서, 파도의 몸짓, 색깔 표현에서 그 감각과 표현력에서 우수성을 보여주었다.
아쉽게도 작고한 변상봉 한국 화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를 졸업하고 조복순, 청전 이상범, 천경자 교수로부터 표현기법을 배운 걸출한 작가였다. 후에는 비구상 계열 작품 쪽으로 경향을 바꿔 ‘시공회(時空會)’를 창립하고, 한국 동양화의 장르를 확장하고, 버섯 등 비구상작업으로 그 이름을 널리 알린 경남대학교 교수이기도 했으며 경남의 후학들을 많이 양성한 교육자이기도 했다.
서양화를 전공한 손동락은 1997년부터 애니메이션을 대학원에서 전공한 독특한 인재였다. 특히 그의 회화 및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3회의 개인전과 더불어 미국, 프랑스, 러시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대만, 일본, 국내 TV 방송 등에서 100여 회 이상 전시가 되고 상영될 정도로 인기를 끈 베스트셀러 작가였다.서양화가 신영식은 한국미협 회원전, 대한민국 회화제, 구상선언 66인전 충북 미협 회원전, 청주 미협 회원전, 충북 구상작가 회원전 등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며, 청주 미협 60주년 전, 충북미술대전 심사위원, 충북미술대전 초대작가전, 국내외 다수 각종 초대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개인전 3회의 경력으로 전형적인 구상회화 만추나 가을 풍경 작업을 훌륭하게 표현한 작가였다.
한국 시각디자이너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고 디자인계에 보물인 안상수 교수는 결코 지나칠 수 없는 최고의 인재이다. 홍익대학교에서 디자인을 전공한 안상수는 글꼴에도 자신만의 모국이 있다고 주장하며, 한국을 대표할 만큼 유명한 안상수 글씨체를 창조했다. 길쭉하게 각 잡힌 글자가 바로 그가 만들어낸 안상수체이다.
파주타이포그라피 학교(교장),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 명예교사, 독일 라이프치히시 구텐베르크상,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 교장이면서, 서울디자인재단 이사장이며 이번에는 매화에 글씨체를 융합한 독특한 작품을 출품하면서 후반기 인생을 디자인을 넘어 예술과 융합하는 예술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안상철 작가는 특이하게도 연세대학교, 동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언어학 박사를 한 후, 경희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현 러시아 북동연방 대학교 교수로 근무하면서 문인화와 서예에 각 방면에 활동하는 등 훌륭한 업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가는 한국민족 서예협회, 한국 전통서예협회, 세종 한글서예 대전 특선, 한국 추사 서화예술대전 우수상, 장려상 한국민족 서예대전 대상을 수상한 보기 드문 인재이기도 하다.
서양화가 안영목 역시 홍익대학교 대학원을 수료, 1979년 한국 전시 미술대상전 초대작가상을 수상하면서 재능을 돋보인 작가이다.
일본 국제 공모아세아 현대미술전에서 내각총리 대신 상을 수상할 정도로 뛰어나다.
국제미술위원회 위원장들 현대사생회, 국제화우회 회장, 제2대 재경 충북작가회 회장으로 프랑스와 미국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안영목 작가는 한국의 전형적인 구상회화 작업을 하고 있는 작가이기도 하다.
한국화가 이재호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하고, 동양화의 대가인 청전 이상범 화백에게 사사했다.
1953년 대학 재학시절 이미 국전에 입선한 후, 무려 17번 입선할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그의 화풍은 자연을 소재로 세필과 담채 기법을 통하여 사실적 작업과 파필 등의 기법으로 일필이나 일회성의 두터운 필치로 박진감 넘치는 양식을 추구하여, 조형미를 작품 속에 투영시킨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수십회의 개인전, 인천교육대학교에서 정년 런던, 파리, 암스테르담, 스위스에서 전시회를 개최한 경륜이 많은 화가이다.다음은 한국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작가가 이종목이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정년 후 동대학교에서 조형 예술대학 명예교수로 있는 그는 2021년 즉비(即非) 테마로 UM갤러리에서, 그리고 아트싸이드 갤러리 등 이름이 있는 갤러리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그 외에도 이종목 작가는 스페이스 몸, 금호미술관 등 미술관에서 작품을 발표, 작품성을 인정받은 한국화의 새로운 세계를 추구하고 있는 중견작가이다.
임정한은 2002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졸업하고 채묵화회 회장으로 미술그룹 아트하이웨이에 운영위원으로 활동하며 2023 “필연”, 청주시 한국공예관에서 2019 “세상구경”, 동부창고 34동 갤러리에서 작품을 주로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업은 나무에 나이테를 보고 구체화 시키는 형태로 나이테에 메시지를 함축시키고 세상을 가득 채운 인간의 오만과 욕심으로 지구가 지금 처해있는 다양한 위기를 바꾸는 인간의 마음을 세우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서양화가 원암 장영주는 일찍이 목우회 공모전 대상 수상을 할 정도로 뛰어난 표현력의 구상화가 이다. 1985년에는 한국 크로키회를 설립하고 개인전 13회, 뉴욕 등 국제전 다수 출품했다.
The Art Students League of New York에서 수학, '명상으로 몸 그리기' 출간(2019년) '순신, 누구를 위한 목숨인가'를 출간하고 사)국학원 원장(대) 역임하고 화가 외에도 국학원 상임고문, 국학 충무공 연구소 고문, 명예 철학박사로 부지런히 글과 그림을 발표하는 구상회화에 뛰어난 작가이다.
서양화가 최선길은 1984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2000년 University of the Nation DTS, FMS.(USA)를 마치고 백석대학교 기독예술대학원을 졸업 후에 동아미술대전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그는 특히 나무의 울림을 역동적이고 극적으로 표현하여 특선을 받기도 했으며 이화여대 출강하며 단원 미술제 심사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조각가 최익규는 충북대학교에서 조각을 전공하고 평면과 회화를 넘나들면서 2015-6년 올해의 좋은 작가상(우민아트센터)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2015년 베니스 비엔날레 특별전, 2013년 후기에스펙트 25주년 기념전을 비롯하여 김수현 미술상전에도 출품했다.
예술에 대한 기본개념에 대한 고민과 삶과 예술 사이에서의 개별적 철학의 성찰로 기존의 예술적 관념들을 완전히 버리고 그냥 반복되는 바느질과 즉흥적인 선들과 통제되지 않는 채색에 의한 그 결과물을 작품으로 남기고 있다.
하선용 한국화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와 경희교육대학원을 졸업 후 서원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작업 활동을 벌인 교수이자 작가이다. 예술대학장을 역임한 그는 제3회 충청북도미술대전 초대작가, 운영위원, 심사위원 이후 청주문화원에서 ‘하선용 동양화 개인전’ 일본 송본사에서 ‘하선용 개인전을 개최하고 1996년 충북예술상 수상, 충북미술대전 초대작가상 수상, 2005년 대한민국 ‘황조근정훈장’ 수상한 우수한 교육자와 작가로 활동했다.
작가 한승엽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졸업, 청주대학교 미술대학 겸임교수와 일실 문화 연구소 조형예술부 팀장을 역임한 작가이다.
독일 Bonn Goethe Institute 선정작가, 2013년 인도 Chennai Chamber Biennale 참가.
2014년 제50회 아시아 태평양 미술대상전 - 최우수상·일본 2014 아세아현대미술전에서 우수상. 2024년은 Art Vancouver Contemporary Art Fair에 작품을 발표 이상적인 무의식 세계를 믹스트 미디어로 다양하게 표현하여 국내외로 주목을 받았다.
한희환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하고 유명한 광고대행사 “오리콤”에서 제작국장을 역임했다. 디자인 프로덕션 “아트뱅크”를 설립 운영하면서 캐나다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 회화제 회원이기도한 그는 한국적인 풍경을 유화로 담아내는 재능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청주고를 빛낸 한국의 화가와 조각가, 서예가 사진작가 선후배들 모든 작가들이 각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과 평가를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도 그 후배 미술학도들은 선배들의 빛나는 활약에 힘입어 더욱 한국미술을 세계 속에서 빛나게 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러한 문봉미술 100주년 전시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세계속에 한국, 한국 속에 청주고를 빛나게 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미술전이 다른 고등학교에도 기폭제가 되어 전시가 기획되고 도내연합전이 결성되어 한국미술 속에 충북 예술인들의 역량을 연구하고 평가받는 기회가 되길 간절히 희망한다. 한편 문봉 미술전은 10월19일부터 11월3일까지 청주시립미술관 오창 전시관에서 열린다. critickim@naver.com
*필자/김종근 미술평론가.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t is the 100th anniversary of Cheongju High School, the birthplace of Chungbuk Art!
-Kim Jong -geun Art Critics
It is a general high school located at 869, Bokdae 1 -dong, Heungdeok -gu, Chungcheongbuk -do, and is a science high school school. In 1924, the school enacted a lesson with 'audit, intelligence practices, and unemployment.'
Currently, under the goal of 'a student who realizes self, a student who serves society, a student who devotes herself to the state', 'Qingo gives a sweat before the arm, and the Qingo keeps the tradition and shines. Let's get together with friendship. '
Earlier, during the 1929 Gwangju Student Incident, a massive anti -Japanese movement was carried out and lead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is the birthplace of the best sports culture and arts produced.
The emissions are wise and progressive, and the honorary blue and highlights have 34,860 graduates.
Like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t is a story that he is at the top of the best scholarship as a bachelor of Moonbong by writing a "sword end bong" in the text.
In the meantime, Cheongju High School has produced a lot of noun graduates evenly in each field.
The field is wide and diverse, ranging from Western paintings, oriental paintings, sculptures, photographs, calligraphy and animation.
First of all, the sculptor is Kim Kyung -hwa, a writer of the College of Art, Hongik University,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the Graduate School, and a national exhibition writer, an first writer, a judges, a chairman of the Korean Modern Sculpture Association, a Chairman of the Hongik Sculpture Association, He is an honorary professor of Gongju University, and is regarded as the best elder artist who has established a three -dimensional and formative spatial world of Korean groups.
Next, Kim Young -taek, a photographer, received a gold award in Chungbuk Branch before the national photo competition and showed his reputation and prominence in the landscape photography so that he could receive an excellent art impression of Chungbuk. I am a photographer.
Many writers were produced in Oriental paintings, and Korean painter Kim Sik is active.
In 1980, he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went to Tokyo, and studied at Tokyo University of Arts.
In addition to the famous samhwaang in Korea, especially at the Kintetsu Museum of Art (Tokyo), his work is famous for the Blue House Geumsu Gangsan -do, and it was noted for its original work to shape the number on the landscape.
A modern writer who is indispensable to the alumni is Kim Jae -gwan in Western paintings.
It is also famous as the first doctor of arts in Hongdae in Hongdae, a doctorate in art department in Hongik University. In particular, Kim Jae -gwan, the artist, contributed to the art world so much that he won the prestigious tattoo art award, Ha Jong -hyun Art Award, and a proud museum impression. That reputation is high.
Kim Jong -chil, a calligrapher, completed the Department of College of Art,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Art, graduated from the Graduated Dongdae Academy, a master's degree in Myeongji University, as well as a selection of the first artist of Cheongju Creative Studio. Calligraphy is a collection of works in the Moscow Calligraphy Museum.
Sculptor Kim Ji -taek is also the first writer of Chungbuk Art Daejeon and Honorary Professor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et it.
Park Hae -soon, known as a literary artist, is a famous artist in the Korean Calligraphy Fair, a special artist in the Korean Calligraphy War, the first artist of Chungbuk Calligraphy, the National Danjae Calligraphy Exhibition, and the World Calligraphy Jeonbuk Biennale.
The painting style is an atmosphere of literary style, expressing the description of the pine forest on a good day.
Watercolor artist Park Hee -jong is different from his major, but he is also a story writer and a citizen reporter of all -thousand artists who have graduated from the Princess Mathematics and wants to live like the wind.
He has been active enough to hold 10 watercolor exhibitions, and he has won a number of winners in the Gumjae Jin -kyung Art Exhibition and Dosol Art Competition, showing excellence in his senses and expressions in the gestures and color expressions of the waves.
Unfortunately, the small and small Korean painter, Sang -bong Sang -bong, was an outstanding artist who graduated from the Oriental Painting Department of Hongik University, and learned the expression techniques from Professor Cho Bok -soon, Cheongjeon Lee Sang -bum and Chun Kyung -ja. Later, he was a professor at Kyungnam University, who changed his tendency to the work of the bhikku, founding the 'Society', expanded the genre of Korean oriental painting, and made her name for her mushrooms such as mushrooms. He was also an educator.
Son Dong -rak, who majored in Western paintings, has been a unique talent who majored in animation since 1997. In particular, his paintings and animation works were the best -selling writers who became more than 100 times in the United States, France, Russia, Croatia, Macedonia, Taiwan, Japan, and domestic TV broadcasts, along with three solo exhibitions. The Korean US Cooperative Membership Exhibition, the Korean Conversation Festival, the Initiative Declaration 66 Innocent Chungbuk US Cooperative Membership Exhibition, Cheongju US Cooperative Member Exhibition, Chungbuk Introduction Artist Membership Exhibition. He also participated in various invitations.
He was a good artist who expressed a typical false painting and autumn landscape work with three careers in solo exhibitions.
Professor Ahn Sang -soo, who is widely known as a Korean visual designer and treasure in the design world, is the best talent that cannot be overlooked. Ahn Sang -soo, who majored in design at Hongik University, insisted that there is his own country in the font, and created Ahn Sang -soo, which is famous enough to represent Korea. The elongated letters are Ahn Sang -soo.
Paju Thai Porpy School (Principal), 20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onorary Teacher of Culture and Arts, Germany Chihechi, Germany, Gutenberg, Paju Taipo Graphi School, and the president of the Seoul Design Foundation. It is building an art world that fosters life beyond the design of life beyond the design.
Ahn Sang-cheol, an artist, graduated from Yonsei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nglish Literature, and then a Ph.D. He has excellent achievements, such as working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artist is also a rare talent who won the Korean National Calligraphy Association, the Korean Traditional Calligraphy Association, the Sejong Hangul Book Daejeon Special, the Excellence of the Korean Chusa Seohwa Arts Excellence Award, and the Encouragement Award.
Western artist Ahn Young -mok is also a talented artist who completed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and won the first artist award at the 1979 Korea Exhibition Art Awards.
It is excellent enough to win the award instead of the Cabinet Prime Minister at the Japan International Art Competitio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The Chairman of the International Art Committee Chairman, the French and the United States, was the chairman of the International History Association, the International Hwa Woo Chairman, and the Chairman of the 2nd Jaekyung Chungbuk Artist. Ahn Young -mok is also an artist who is working on Korea's typical concept.
Korean painter Lee Jae -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at Hongik University, and studied Chung Jeon -bum, the master of oriental painting.
After joining the national war in 1953, he was recognized for his skills to win 17 times. His painting is regarded as a writer who projected the formative beauty into the work by pursuing a thrilling form with a thick stroke of one -time work and one -time stroke through the techniques such as realistic work and pafil.
He is a painter who has held an exhibition in London, Paris, Amsterdam, and Switzerland at dozens of solo exhibition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fter gradua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he was an honorary professor at Dongdae University after retirem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The work was published.
In addition, Lee Jong -mok is a mid -sized artist who is pursuing a new world of Korean painting that has been recognized for his work by publishing works at the museum such as Space Body and Kumho Art Museum.
Lim Jung -han graduated from the 2002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and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art group Art Highway as the chairman of the art group. Mainly published works.
His work is regarded as a work that implies a message on the tree and embodies the name of the tree, and is considered a work that establishes a human mind that changes the various crisis that the earth is currently in place due to the arrogance and greed of human beings who filled the world.
Western paintings Wonam Jang Young -joo is an excellent expression of expressive power to win the Mokwoo Society. In 1985, he founded the Korea Croki Association and participated in a number of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13 solo exhibitions and New York.
The Art Students League of New York publishes mathematics, 'drawing body with meditation' (2019) 'Soon Shin, who is your life for?' He is an artist who diligently publishes articles and paintings as an advisor to the Institute and Honorary Philosophy.
Western painting was recognized for his skills in Dong -A Art Competition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Paint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84, after graduating from Baekseok University, after graduating from Baekseok University. He was particularly special by expressing the ringing of the tree dynamically and dramatically, and served as a judge of the Danwon Art Festival.
Sculptor Choi Ik-kyu, who majored in sculpture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crossed plane and painting, presented his works at the 2015-6 Good Artist Award (Woomin Art Center), and the 2015 Venice Biennale Special Exhibition In addition, Kim Soo -hyun was also exhibited,
As a reflection of the basic concepts of art and the individual philosophy between life and art, the work is completely abandoned and the results of the sewing and improvised lines, and the color that are not controlled.
Ha Sun -yong is a professor and writer who worked as a professor at Seowon University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and Kyung Hee Education, Hongik University. He served as the Dean of the University of Arts, and he held the 3rd Chungcheongbuk -do Art Exhibition, the Steering Committee, and the Judge after the judges, and held a solo exhibition at Hae Sun -yong in the Songgonsa Temple in Japan, and won the 1996 Chungbuk Art Award. In 2005, he served as an excellent educator and writer who won the Korean Hwangjo Geunjeong Medal.
The artist Han Seung -yeop is a graduate of Hongik University's Art University Graduate School, an Adjunct Professor at Cheongju University, and a team leader of the Ministry of Arts and Arts.
German Bonn Goethe Institute Selected Artist, 2013, India Chennai Chamber Biennale.
In 2014, the 50th Asia -Pacific Art Awards -Best Prize, Japan 2014 Asia Contemporary Award. In 2024, he received attention at home and abroad by expressing the ideal unconscious world in the Art Vancouver Contemporary Art Fair as a mixed media.
Han Hee -hwan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Art University and served as the director of production at the famous advertising agency "Oricom." He is working in Canada by establishing the design production “Art Bank”.
He is also a member of the Korean conversation, and he shows his talent to capture Korean landscapes.
Korean artists, sculptors, and calligraphy seniors who have shined Cheongju -go are showing great achievements and evaluations in each field.
In the future, the junior artists do not doubt that they will make Korean art brilliant in the world thanks to the brilliant performance of seniors.
I hope that the 100th anniversary exhibition of Munbong Art will continue to continue to be a valuable opportunity to shine Cheongju in Korea and Korea.
Lastly, I hope that these art exhibitions will become a catalyst in other high schools, and the exhibition is planned, and the alliance in the province will be formed, and it is an opportunity to study and evaluate the competence of Chungbuk artists in Korean art.
On the other hand, the Munbong Art Exhibition will be held at the Ochang Exhibition Hall in Cheongju Museum of Art from October 19 to November 3.critickim@naver.com
*I/Kim Jong -geun art cri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