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다는 것은 지혜를 아주 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책보다는 경험을 중시한다. 책을 많이 읽기를 권장하지만 안되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면 내가 생활하는 공간 집을 북카페로 만든다면 환경을 바꿔야 사람이 바뀌는 법이다.
용인 수지의 동문굿모닝힐6차 48평 아파트 리모델링 현장. 일반적인 리모델링과는 달리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을 컨셉으로 거실만 보면 책을 읽는 북카페를 연상시킨다. 이번 리모델링 공사는 커먼아이디(commonI.D)가 진행했다.
현관
큰 폭의 테라조 타일 마감을 진행하여 콘크리트 느낌의 내추럴한 현관 디자인을 연출했다. 신발장과 마주한 벽면으로는 스텐 프레임의 전신 거울을 구성해 시각적 세련미를 강조했다.
우드 텍스처의 간살 슬라이딩 중문은 현관에서 들어오는 먼지와 찬기를 막는 기능적 장점과 함께 동양적 인테리어 포인트로 손색없다.
거실
발코니 확장으로 공간감을 확대시키면서 한 면을 채운 책장형 거실 벽면 연출로 공간의 컨셉과 실용성까지 두마리 토끼를 잡았다. 양방향 레일 조명 시공은 다각도의 조도 연출로 공간 무드를 감성적으로 이끌어 냈다. 발코니 중심의 테이블 스타일링을 통해 휴식과 독서, 식사의 모든 기능을 깔끔하게 구현해냈다.
주방
강마루에서 타일 마감으로 바닥재를 전환하여 시각적 공간 레이아웃을 깔끔하게 변화시킨 주방. 가벽 안쪽으로 깔끔히 매립된 냉장고장 및 키큰장 제작은 수납적 기능까지 깔끔하게 마감했다. 아일랜드 하부장과 발코니 도어, 그리고 우측 벽면으로는 우드 텍스처를 입혀 모노 톤의 차가움을 따뜻하게 보완해 주는 화이트 우드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침실
에어드레서 빌트인 구성의 붙박이장 제작으로 깔끔한 가전 & 가구 레이아웃을 연출했다. 사각 템바 보드 디자인의 우드 헤드 보드 제작은 따뜻하고 감각적인 패턴이 침실의 매력을 높여주는 포인트 요소가 되었으며 침실 등에 설치한 마그네틱 조명은 눈의 피로를 더는 동시에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한다.
안방 욕실
1200각 타일의 고급스러운 텍스처를 욕실 전체로 활용함으로 인해 공간 자체를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어냈다. 욕조를 감싸주는 조적 파티션 제작은 흡사 조적 욕조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전달되는 시각적 효과를 주기에 충분했다. 욕조 앞 벽면으로도 젠다이를 시공하면서 선반 활용성과 함께 깔끔한 배관 구성을 완성한 안방 욕실을 보여줬다.
자녀방
벽지 컬러의 차이점을 활용하여 디자인 컨셉과 공간 무드를 다른 개성으로 꾸민 것이 특징인 자녀방의 모습. 두 자녀방 모두 레일 & 마그네틱 조명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자녀방 한 곳은 확장된 발코니 공간으로 윈도우 시트를 제작해 특별한 쉼과 공부 공간을 만들었다.
거실욕실
거실 욕실은 안방 욕실과 동일한 1200각 타일 마감으로 전체적인 디자인과 무드를 고급스럽게 연출했다. 샤워실 앞으론 조적 파티션을 제작해 깔끔한 구조 분리를 구성하였으며, 샤워실 안쪽 벽면으로는 'ㄱ'자 라인의 젠다이 및 간접 등박스를 시공, 사용성과 아늑한 무드를 추가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48 pyeong interior with book sensibility... Home becomes a 'book cafe'
Reading books is a very easy way to gain wisdom. However, Korean people value experience more than books. I recommend reading a lot of books, but it is true that you should not. Then, if I turn my living space into a book cafe, I have to change my environment to change people.
The remodeling site of the Dongmun Good Morning Hill 6th 48-pyeong apartment building in Suji, Yongin. Unlike ordinary remodeling, the concept of a place where people can read books reminds them of a book cafe where people can read books in their living room. The remodeling work was carried out by commonI.D.
the front door
A large terrazo tile finish was carried out to create a natural concrete porch design. On the wall facing the shoe cabinet, a full-body mirror of a stainless steel frame was formed to emphasize visual sophistication.
The wood-textured slithering middle door is perfect for an oriental interior point, along with the functional advantages of preventing dust and cold air from entering the front door.
The living room.
While expanding the sense of space by expanding the balcony, two rabbits were caught for the concept and practicality of the space by directing the wall of the bookcase-type living room that filled one side. The two-way rail lighting construction brought out the spatial mood emotionally with the direction of illumination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e balcony-centered table styling, all functions of relaxation, reading, and eating were neatly realized.
Kitchen
The kitchen has neatly changed the layout of the visual space by changing the flooring material from the steel floor to the tile finish. The production of refrigerator cabinets and tall cabinets neatly buried inside the wall has a clean storage function. The Irish lower cabinet, the balcony door, and the white wood interior, which warms up the monotone coldness by applying wood textures to the right wall, stand out.
a bedroom
It created a clean layout of home appliances and furniture by producing a built-in built-in air dresser. In the production of a wood head board with a square temba board design, warm and sensuous patterns have become a key factor in enhancing the attractiveness of the bedroom, and magnetic lighting installed in the bedroom adds eye strain and creates a sophisticated atmosphere.
a master bathroom
By utilizing the luxurious texture of 1,200 tiles as a whole in the bathroom, the space itself has become a piece of artwork. The creation of the masonry partition covering the bathtub was sufficient to give a visual effect that conveys the luxurious design of the masonry bathtub. While constructing Zendai on the wall in front of the bathtub, it also showed the master bathroom with the utilization of the shelf and a clean piping composition.
a children's room
The appearance of the children's room, which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difference in wallpaper color to decorate the design concept and space mood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Both children's rooms actively used rail & magnetic lighting. One children's room created a special rest and study space by making window seats with an expanded balcony space.
the living room and bathroom
The living room bathroom has the same 1,200-angle tile finish as the main bedroom bathroom, creating a luxurious design and mood. In front of the shower room, a structural partition was created to form a clean structure separation, and a Zendai and indirect lightbox with an "ㄱ" line were constructed on the inner wall of the shower room to add usability and a cozy atmosphere.